철근 콘크리트 확대 기초 기본 핵심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급하여 그림(a)에 보인 것처럼 기둥 전면에서 d 만큼 떨어진 단면이다. 따라서, 위험단면에서의 전단력 V는 다음과 같이 된다
전단력 = 힘(하중) = 응력 단면적
(2) 2방향 작용의 경우
사인장 균열이 아래 그림(b)와 같이 집중하중의 둘레에서 절두 원추형이나 각추형으로 일어난다고 생각될 경우, 즉 2방향 작용에 의하여 펀칭전단이 일어난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집중하중을 받는 슬래브의 경우와 같다.
이 때 위험단면은 그림 에 보인 바와 같이 기둥 전면에서 만큼 떨어진 곳으로 본다.
그러면 B = ( c1+d )로 되어 위험단면의 주변 길이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그 위험 단면의 전단력 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3) 전단검사
2방향 작용에 대한 전단 검사는 전단 보강 철근을 두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 전단 보강 철근을 두지 않는다면 콘크리트만으로 전단에 견디도록 설계하므로 다음 식이 만족되어야 한다.
()
이 때 는 다음과 같다.
2.5 구조세목
(1) 확대 기초의 하단 철근으로부터 상부까지의 높이는 확대 기초가 흙 위에 놓인 경우는 150mm 이상, 말뚝 기초 위에 놓인 경우는 300mm 이상이라야 한다.
(2) 2방향 직사각형 기초판의 각 방향 철근 배치는 다음과 같다.
a. 장변 방향으로의 철근은 폭 전체에 균등하게 배치시킨다.
b. 단변 방향으로의 철근은 다음 식에서 산출한 철근량을 유효폭 내에 균등하게 배치하고, 나머지 철근량을 유효폭 이외의 부분에 균등하게 배치한다.
여기서, 는 긴변과 짧은 변의 비(L/S)이다.
[그림] 확대 기초의 전단력 강도 검토
(3) 기둥 저부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는 모두 콘크리트의 지압과 철근, 연결철근 및 기계적 연결쇠에 의해 이를 지지하는 확대 기초에 전달되어야 한다.
(4) 현장 치기 시공시에는 종방향 철근을 확대 기초속으로 연장시키거나 또는 연결철근을 배근해서 하중을 전달해야 한다.
(5) 프리캐스트 시공시에는 철근을 앵커 볼트나 적절한 기계적 연결쇠를 배근하여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6) 압축력만 받는 D41과 D51의 종방향 주철근은 연결 철근과 겹침 이음을 해도 좋다. 이 때 연결 철근은 D32 이하이어야 하며, 지지되는 부재 속으로 매입되어야 한다.
3. 연결 확대 기초
연결 확대 기초란 2개 이상의 기둥 또는 받침대를 1개의 기초 판으로 지지하는 확대기초이다.
부분적인 침하 방지와 기둥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므로 강성이 좋다.
기초 판의 도심과 기둥의 합력의 작용점이 동일점이 되어 저면의 압력분포가 등분포 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연결확대 기초 설계시 기둥으로부터 전달된 하중들의 합력이 저판의 도심과 일치하도록 설계하여 지반반력이 직사각형 분포가 되도록 한다.)
연결확대기초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단순보나 연속보로 보고 설계한다.
연결확대 기초의 횡방향 철근은 그의 전면적을 기둥의 하중에 비례해서 각 기둥에 분배해야 한다. 또한 횡방향 철근을 배치하는 폭은 폭 b와 유효깊이 d를 기둥 양쪽에 더한 값 (즉, b+2d)의 폭에 균등히 배치하여야 한다.

키워드

철근,   콘크리트,   확대,   기초,   모멘트,   전단,   위험,   단면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1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