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친화적 미래형 항공기 기술 연구
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은 미국 등 기존의 항공우주 선진국과 경쟁분야를 회피하고 틈새시장이나 또는 큰 업체나 국가들이 시도하기 어려운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음.
○ 또한, 자국 시장의 협소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품 개발 전 해외시장에 대한 충분한 판매 가능성을 분석하여 70~80%의 해외 판매가 불가능하면 개발을 시도하지 않음.
○ 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국내 개발의 경우 최대 25% 이내에서 개발비를 지원하고, 더 이상의 지원은 업체 경쟁력 저하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판단 아래 해외 국가 및 업체와의 협력으로 개발비용을 보충함. 이스라엘의 항공우주산업과 시사점, 김성배, 2004, 한국국방연구원.
2. 국내동향
가. 한국형 헬기 사업(Korean Helicopter Program)
○ 당초 군 노후 헬기 대체 헬기기술자립화를 위하여 추진되었던 KMH(Korean Multi-role Helicopter)사업은 정부의 선 기동형 개발, 후 공격형 개발이라는 개발로 사업 구도가 변경되어 KHP(한국형 헬기개발사업)으로 추진 중으로, 2007년 현재 설계가 진행 중이며 2008년부터는 시제기 개발에 착수할 예정임.
- 목표 : 2012년까지 초도 생산 및 핵심부품 국산화로 민수헬기 독자개발 역량 확보
- 소요량 : 245대 (육군 231, 해군 12, 공군 2)
- 개발기간 : ’06.06~’12.06(73개월)
- 개발비용 : 총 12,960억원(정부 10,872억원, 민간 2,088억원)
나. 민항기 국제공동개발사업 지원
○ 국내 항공업체의 세계 주요 ‘민항기 국제공동개발사업’에 위험분담 방식으로 참여를 지원하여 항공산업을 신 수출동력화하기 위해 추진
- 위험분담파트너(RSP: Risk Sharing Partner)란 공동개발에 참여하여 개발비 및 위험을 분담하고, 양산시 개발품목에 대해 독점적 납품권 행사
- 세계 주요 민항기 국제공동개발 프로젝트에의 참여를 지원
- 대상사업 : Airbus(프) A350-XWB, Boeing(미) B787, GE(미) Genx엔진 등
- 사업기간 : 2006년 ~ 2010년 (5년간)
- 소요재원 : 과학기술진흥기금 등
- 투자소요 : 5,240억원(민간투자포함 추정금액)
- ‘06년 정부 융자자금으로 200억원 지원 확정
다. KT-1, T-50 수출 양산사업
○ 군용기 사업으로 기본훈련기(KT-1)를 개발하여 1999년 7월부터 양산에 들어갔으며, 미국 록히드마틴사와 고등훈련기(T-50)를 공동으로 개발하여 2002년 시험비행에 성공 및 2005년에 개발을 완료 산업자원부, 2005산업자원백서, 2006
○ 기본훈련기는 2001년 2월 인도네시아와 7대(6천만불)의 수출 계약이 체결되었고, 2003년에 국산항공기로서는 해외로 처음 납품하였으며, 2007년에는 터키와 55대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였음.
○ T-50의 경우에도 2007년 10월까지 UAE와 수출 계약을 추진하고 있음
라. 스마트무인기 기술개발
○ 충돌 감지/회피, 능동적 속도제어 등 핵심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무인 항공기술 개발 프로젝트임
○ 민수/공공/국방 분야에서 인간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최첨단 스마트무인기 개발 및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 2002. 6 ~ 2012. 3월까지 3단계의 사업기간 동안 총 1,010억원(정부 910억원, 민간 1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할 계획임
○ 최종 목표는 유인항공기 수준의 신뢰성, 헬리곱터 1/2 이하의 운용비용, 수직 이착륙 가능한 수준의 시제기를 개발하고 유/무인기 복합 항공 관제 기술을 개발하는 것임
마.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
○ 항공우주 부품소재분야의 기술개발을 주로 지원하기 위하여 2000년의 30억원 규모로 부품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시작하여 2003년 사업예산은 120억으로 확대되었음.
○ 동 사업에서는 항공전자 및 세부계통 개조에 필수적인 부품을 국내 독자개발하고, 민군수사업 연계로 국내외 시장진출 전망이 높은 핵심기능 부품을 우선 개발할 방침임.
○ 이와 관련 산업자원부는 항공우주부품소재 기술개발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한 기술로드맵 구축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기술수준, 상품화가능성, 연관산업과 시너지 효과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기체설계 및 구조물 분과, 항법제어시스템 분과 등 12개 분과별 전문가를 구성운영하고 있음.
○ 향후 동 사업에 대한 연간 지원규모를 200억 원까지 증액할 계획이며 연간 10여 개 수준의 핵심 부품의 개발을 지원할 예정임.
바. 항공우주기반조성사업
○ 항공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하여 사천-창원-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조립업체, 부품생산업체, 연구시설 등이 복합된 기술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항공우주 부품소재기술의 자립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음.
○ 1997년 3월 기계연구원포항공대경상대 합동으로 “항공우주 부품소재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하였고, 2002년 8월에 창원 기계 연구원내에 Pilot Plant를 조성하였음.
○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간에는 항공기 기술기준 및 적합성 입증기술을 개발보급하는 ‘항공기 품질인증 기술기반구축사업’과 항공기용 축류압축기 소재/설계/생상기술 및 터빈 냉각기술 개발을 위한 ‘가스터빈 구성요소 설계 및 생산기술 기반구축사업’, 항공기 체계종합 및 성능시험을 위한 ‘비행시험센터 구축사업’, 항공우주산업계간 국제기술교류 및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항공우주테크노마트사업’ 기반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
○ 또한, 항공기의 제작수출 등 국내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품질인증체계의 구축과 주요국과의 항공 관련 협정을 추진하고 있음.
- 특히, 개발된 항공기나 관련 부품이 국제적인 인증을 얻기 위해서는 국내 품질인증체제가 선진국 수준으로 갖추어져야 하나 현재 국내 수준은 선진국 대비 30% 수준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 이에, 현재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는 항공우주연구원내 품질인증센터의 인력과 설비를 보강하여 국제 수준의 인증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임.
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은 미국 등 기존의 항공우주 선진국과 경쟁분야를 회피하고 틈새시장이나 또는 큰 업체나 국가들이 시도하기 어려운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음.
○ 또한, 자국 시장의 협소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품 개발 전 해외시장에 대한 충분한 판매 가능성을 분석하여 70~80%의 해외 판매가 불가능하면 개발을 시도하지 않음.
○ 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국내 개발의 경우 최대 25% 이내에서 개발비를 지원하고, 더 이상의 지원은 업체 경쟁력 저하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판단 아래 해외 국가 및 업체와의 협력으로 개발비용을 보충함. 이스라엘의 항공우주산업과 시사점, 김성배, 2004, 한국국방연구원.
2. 국내동향
가. 한국형 헬기 사업(Korean Helicopter Program)
○ 당초 군 노후 헬기 대체 헬기기술자립화를 위하여 추진되었던 KMH(Korean Multi-role Helicopter)사업은 정부의 선 기동형 개발, 후 공격형 개발이라는 개발로 사업 구도가 변경되어 KHP(한국형 헬기개발사업)으로 추진 중으로, 2007년 현재 설계가 진행 중이며 2008년부터는 시제기 개발에 착수할 예정임.
- 목표 : 2012년까지 초도 생산 및 핵심부품 국산화로 민수헬기 독자개발 역량 확보
- 소요량 : 245대 (육군 231, 해군 12, 공군 2)
- 개발기간 : ’06.06~’12.06(73개월)
- 개발비용 : 총 12,960억원(정부 10,872억원, 민간 2,088억원)
나. 민항기 국제공동개발사업 지원
○ 국내 항공업체의 세계 주요 ‘민항기 국제공동개발사업’에 위험분담 방식으로 참여를 지원하여 항공산업을 신 수출동력화하기 위해 추진
- 위험분담파트너(RSP: Risk Sharing Partner)란 공동개발에 참여하여 개발비 및 위험을 분담하고, 양산시 개발품목에 대해 독점적 납품권 행사
- 세계 주요 민항기 국제공동개발 프로젝트에의 참여를 지원
- 대상사업 : Airbus(프) A350-XWB, Boeing(미) B787, GE(미) Genx엔진 등
- 사업기간 : 2006년 ~ 2010년 (5년간)
- 소요재원 : 과학기술진흥기금 등
- 투자소요 : 5,240억원(민간투자포함 추정금액)
- ‘06년 정부 융자자금으로 200억원 지원 확정
다. KT-1, T-50 수출 양산사업
○ 군용기 사업으로 기본훈련기(KT-1)를 개발하여 1999년 7월부터 양산에 들어갔으며, 미국 록히드마틴사와 고등훈련기(T-50)를 공동으로 개발하여 2002년 시험비행에 성공 및 2005년에 개발을 완료 산업자원부, 2005산업자원백서, 2006
○ 기본훈련기는 2001년 2월 인도네시아와 7대(6천만불)의 수출 계약이 체결되었고, 2003년에 국산항공기로서는 해외로 처음 납품하였으며, 2007년에는 터키와 55대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였음.
○ T-50의 경우에도 2007년 10월까지 UAE와 수출 계약을 추진하고 있음
라. 스마트무인기 기술개발
○ 충돌 감지/회피, 능동적 속도제어 등 핵심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무인 항공기술 개발 프로젝트임
○ 민수/공공/국방 분야에서 인간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최첨단 스마트무인기 개발 및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 2002. 6 ~ 2012. 3월까지 3단계의 사업기간 동안 총 1,010억원(정부 910억원, 민간 1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할 계획임
○ 최종 목표는 유인항공기 수준의 신뢰성, 헬리곱터 1/2 이하의 운용비용, 수직 이착륙 가능한 수준의 시제기를 개발하고 유/무인기 복합 항공 관제 기술을 개발하는 것임
마.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
○ 항공우주 부품소재분야의 기술개발을 주로 지원하기 위하여 2000년의 30억원 규모로 부품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시작하여 2003년 사업예산은 120억으로 확대되었음.
○ 동 사업에서는 항공전자 및 세부계통 개조에 필수적인 부품을 국내 독자개발하고, 민군수사업 연계로 국내외 시장진출 전망이 높은 핵심기능 부품을 우선 개발할 방침임.
○ 이와 관련 산업자원부는 항공우주부품소재 기술개발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한 기술로드맵 구축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기술수준, 상품화가능성, 연관산업과 시너지 효과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기체설계 및 구조물 분과, 항법제어시스템 분과 등 12개 분과별 전문가를 구성운영하고 있음.
○ 향후 동 사업에 대한 연간 지원규모를 200억 원까지 증액할 계획이며 연간 10여 개 수준의 핵심 부품의 개발을 지원할 예정임.
바. 항공우주기반조성사업
○ 항공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하여 사천-창원-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조립업체, 부품생산업체, 연구시설 등이 복합된 기술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항공우주 부품소재기술의 자립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음.
○ 1997년 3월 기계연구원포항공대경상대 합동으로 “항공우주 부품소재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하였고, 2002년 8월에 창원 기계 연구원내에 Pilot Plant를 조성하였음.
○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간에는 항공기 기술기준 및 적합성 입증기술을 개발보급하는 ‘항공기 품질인증 기술기반구축사업’과 항공기용 축류압축기 소재/설계/생상기술 및 터빈 냉각기술 개발을 위한 ‘가스터빈 구성요소 설계 및 생산기술 기반구축사업’, 항공기 체계종합 및 성능시험을 위한 ‘비행시험센터 구축사업’, 항공우주산업계간 국제기술교류 및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항공우주테크노마트사업’ 기반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
○ 또한, 항공기의 제작수출 등 국내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품질인증체계의 구축과 주요국과의 항공 관련 협정을 추진하고 있음.
- 특히, 개발된 항공기나 관련 부품이 국제적인 인증을 얻기 위해서는 국내 품질인증체제가 선진국 수준으로 갖추어져야 하나 현재 국내 수준은 선진국 대비 30% 수준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임.
- 이에, 현재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는 항공우주연구원내 품질인증센터의 인력과 설비를 보강하여 국제 수준의 인증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임.
추천자료
항공운송과 CRS
항공사-CRS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산업 현황과 활용에 관하여
대한항공의 문제점 분석과 경영학적 컨설팅 방안
[기술전략][기술개발전략]기술전략과 기술개발전략 사례(항공기재료 기술개발, 정보통신 연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경영전략, 서비스 등 비교분석
[경영학]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글로벌 선도전략(마케팅전략, SWOT 분석, 4P 분석)
[우주산업][우주산업 의의][우주산업 특성][국가별 우주산업][우주산업 지원방안]우주산업의 ...
항공안전관리 시스템 (Safety Management System)
우주개발(우주개발산업) 정의와 목표, 우주개발(우주개발산업) 기술요소와 기본방침, 우주개...
저가 항공사의 현황과 전망
관심 있는 산업 혹은 세분 산업을 선택하여 마이클 포터의 5 Forces Model을 이용하여 산업구...
항공사 전략적 제휴의 의미, 항공사 전략적 제휴의 기대효과, 항공사 전략적 제휴의 해외 현...
항공사 전략적 제휴의 분류, 항공사 전략적 제휴의 동기, 항공사 전략적 제휴의 효과, 항공사...
대한항공Korean Air Lines 기업분석과 경영전략 분석및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마케팅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