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백의 연극 '영월행일기' 살펴보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영월행 일기 이해하기

2. 배경과 줄거리
1) 배경, 2) 줄거리

3. 작품의 구성
- 등장인물과 성격, 플롯 분석

4. 영월행 일기의 특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뜻과 같 은 세조는 괴씸하여 노산군에게 사약을 내린다.
파국 - 7장 : 조당전과 김시향의 이야기가 오고간다.
노산군은 사약을 먹고 죽은 게 아니라 먹지 않으려 몸부림치다가 목 졸려 죽 은 것임을 김시향에게 알려주며 ‘영월행 일기’의 마지막 장, 텅 빈 공백을 보 여 준다.
그리고 조당전은 김시향에게 자유를 얻으라하지만, 김시향은 주인의 독촉 전 화에 ‘영월행 일기’를 가지고 집을 나선다.
4. 영월행 일기의 특징
이강백의 영월행일기는 이러한 여러 시간대가 혼재해서 스토리가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오백년 전의 역사적 시간과 연극을 하는 현재의 시간이 겹쳐져 있다. 이러한 시간은 연대기적(물리적)시간이며 사실에 토대를 두고 있다. 여기에 역사적 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자유롭게 오가게 하는 시간대가 작용한다. 표면적 현재가 그것이다. 역사적 시간을 회고하고 현재의 시간에서 재현해 보이는 것은 표면적 현재가 가지고 있는 회상이나 연상의 힘 때문이다. 역사적 시간이나 현재의 시간은 사실에 근거한 리얼리티의 근거가 되고, 표면적 현재는 관객이 가지고 있는 회상이나 연상에서 리얼리티를 얻는다. 그러므로 인간이 보편적으로 회상이나 연상작용을 하는 만큼 표면적 현재는 진실성이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이강백 희곡의 반복 구조와 반복의 철학>, 백현미, 한국극예술학회 논문, 1999
<이강백의 희곡세계와 연극미학>, 김성희, 한국극예술학회 논문, 1997
<1970년대 이강백 희곡 연구>, 김남석, 민족어문학회 논문, 2001
<현역 증진 작가 연구 - 이강백론>, 배봉기, 한국문학연구학회 논문, 1998 등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3.22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