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 역사교육-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이해와 대처를 둘러싼 문제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문제의 전개과정
3. 동북공정에 대한 이해와 대책을 둘러싼 논란들
4. 동북공정에 대한 대처와 역사수업
5. 나오며

본문내용

육은 그 위기론이 나온지 이미 20년은 지났지만 그에 대한 별다른 대책은 나온 적이 없다. 이번과 같이 민족적 자존심을 자극하는 사건이 아니면 사람들은 역사학이나 역사교육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이번 문제가 불거지자 사람들이 종종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는다. ‘중국은 역사연구에 이처럼 엄청난 돈을 쏟아 붙는데, 우리나라는 오히려 학교에서 역사교육을 축소하고 있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 고마운 말이다. 정말 학교교육에서 역사의 비중은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계속 축소되었다. 그런데, 동북공정에 대항하여 100억원의 예산을 들여 ‘고구려 연구재단’을 세우는 과정에서 그 방향을 놓고 치열한 논란이 일어난 것을 두고, 역사학계가 아닌 다른 전공에서는 이 기회를 자신들의 밥그릇을 챙기는데 이용하려고 한다는 시각도 있는 듯하다. 이른바 학문이나 전공 이기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철학을 전공하는 한 교수는 일간지에 기고한 글에서 사뭇 비아냥거리는 투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결국 중국이 고구려사 문제를 제기해 준 덕분에 조성된 국민적 공감을 편취하여 관련 전공자 몇몇만, 국민적 차원의 실천적 부담 없이 거만의 정부 지원금으로 연구재단을 세우는 꼴이 되지 않는가 하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정말 그런가 그렇다면 이왕 하나 더 선심을 써 달라. 인문학에서 가장 소외되어 있는 ‘철학 연구 재단’(가칭)도 100억원을 지원해 달라. 본인이 전공한 사회철학연구재단이면 더욱 좋겠다.” 과연 우리는 역사를 왜 공부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이루어질 때만 역사교육은 이와 같은 문제가 일어날 때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자료1] 중국 동북공정의 과제 목록
1. 중국 동북공정의 2003년 연구과제
*표시는 중점 과제
범위
과제 명칭
1. 중국강역 이론 연구
중국 ‘국가’, ‘강역’, ‘변계(邊界)’ 이론 문제 연구
고대 중국의 주변 족속, 국가에 대한 관념 및 근대적 변화 연구
* 봉건시기 번속(藩屬), 속국, 조공제도 연구
2. 중국 동북지방사 연구
동북변강 역사 형성 및 변천 연구
* 동북변강 영토, 계무(界務) 교섭, 변계조약 문제 연구
* 발해 유적 현상 조사 연구
* ‘간도’ 문제 연구
근대이래 중국 동북 역사지리에 대한 일본, 러시아의 조사 및 연구
3. 동북민족사 연구
* 명청시기 동북 족군(族群)의식 및 변강사회 연구
동북 변강지구 과계(跨界) 민족 연구
* 고조선의 역사, 족원(族源), 문화연구
4. 중주관계사 연구
* 조선반도 고문명 기원
조선반도 국(國), 족(族) 연구
5. 중국 동북변강과 러시아 원동지구의 정치경제관계사 연구
중국 동북변강과 러시아(소련) 원동지구 민족정책 비교연구
* 중러 동쪽 변계 연혁 및 계무 문제 연구
출전: 송기호, 중국의 한국고대사 빼앗기 공작, 역사비평 통권 65호, 2003년 겨울호
2. 중국 동북공정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과제
차례번호
과제명칭
신청인
완성시기
1
黑龍江痛史
普平
2002.04
2
20世紀中國東北邊疆文化硏究
黃定天
2002.06
3
好太王婢1580年
耿鐵華
2002.09
4
中國東北與俄國(蘇聯)經濟關係史
張鳳鳴
2002.09
5
渤海國史
魏國忠
2002.09
6
箕子與箕子朝鮮硏究
張碧波
2002.09
7
俄國東部移民開發問題硏究(1861~1917)
王曉菊
2002.09
8
渤海史論
朱國
2002.09
9
中國東北古民族發達史
李德山
2002.09
10
中韓相關姓氏族源考論
王雅軒
2002.09
11
民國時期東北地方政府治邊硏究
胡玉海
2002.09
12
近代中國東北地區的國際移民問題硏究
王勝今
2002.10
13
簡明高句麗史
孫玉良
2003.01
14
東北民族區域設置硏究
程那
2003.06
15
歷朝東北治邊硏究
徐德源, 鄭泳川
2003.06
16
國際法與中朝邊界爭議問題
焦潤明
2003.09
17
淸代邊疆城鎭硏究
李治亨
2003.12
18
三國史記詳註及硏究
兪子敏, 朴燦奎
2003.12
19
長白山地區歷史與文化及其歸屬問題硏究
劉厚生
2004.02
20
東北漢族人口史硏究
孟廣耀
2004.05
21
中國歷代治理東北邊疆思想硏究
劉信君
2004.06
22
渤海移民的治理與歸屬硏究
武玉還
2004.06
23
淸代鴨綠江流域的封禁與開發硏究
張杰
2004.06
24
鴨綠江以南的高句麗遺趾調査硏究
徐日範
2004.08
25
俄羅斯遼東地區的中國人
張宗海
2004.12
26
東北邊疆多民族文化交流與融合

2004.12
27
僞滿時期東北邊界衝突與界務交涉硏究
王慶祥
2004.12
출전: 동북공정 홈페이지 http://www.chinaborderland.com
3. 중국 동북공정 熱点聚焦[초점이 되는 뜨거운 이슈들]
과제
비고
邊疆定義
疆域史理論
高句麗問題
唐奴烏梁海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영토 분쟁 지역. 현재 러시아의 자치령
‘突厥’問題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영토 분쟁 지역. 현재 러시아에 합병
南沙島群島問題
중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부르나이, 대만의 영토분쟁 지역. 현재 중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대만이 각각 일부 섬 점거
釣魚島問題
중국과 일본 사이에 영토분쟁 지역. 현재 일본령
출전: 동북공정 홈페이지 http://www.chinaborderland.com
4. 중국 동북공정 번역류 과제 현황
차례번호
主持人
審校人
과제 명칭
1
孫啓林
顧銘學
朝鮮韓國史學界的古朝鮮,夫餘硏究論著選編
2
權赫秀
顧銘學
朝韓學界高句麗的硏究文獻
3
鄭永振
朴燦奎
國外渤海史硏究資料編
4
張璉
于翠紅
朝文相關重要著作和資料飜譯
5
高敬洙
許能洙
中朝邊境史-白山資料院叢書選譯
6
張英
曺麗琴
朝鮮半島現狀硏究
7
吳建華
朴成浩
韓國和朝鮮的經濟,社會狀況比較
8
趙立枝
徐昌漢
21世紀俄羅斯東部發展戰略和規劃
9
張宗海
趙立枝
阿穆爾沿岸地區的中國人
10
張宗海
陳本栽
90年代上半期的中國與俄羅斯遼東-地區合作問題
11
王復土
徐昌漢
條約條款業已確定
12
宿鳳林
建恒
俄仲與蘇中經濟貿易關係史
13
王晶
高文鳳
資本主義時代旅俄華工在遼東
14
林樹山
姚風
大黑子島上的女眞考
출전: 동북공정 홈페이지 http://www.chinaborderland.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3.23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