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오지호(1905-1982) 연보
오지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오지호의 회화관
1. 순수회화론
2. 데포르메
작품 세계
1기
2기
3기
4기
미술사적 평가
오지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오지호의 회화관
1. 순수회화론
2. 데포르메
작품 세계
1기
2기
3기
4기
미술사적 평가
본문내용
는 그러한 노력의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예술가로서의 지조와 정치적 행동은 1980년대 이후 군사독재 정권에 저항하며 성장한 민족민중미술운동과도 그 맥이 닿아있다. 또한 오지호의 구상회화의 장점은 1980년대 민족미술계열의 청년 작가 층을 형성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
그러나 오지호를 배운 후배화가들을 주축으로 구성된 광주화단은 그의 예술인의 지조와 진보적 민족미술인의 실천 자세를 배우기보다는, 인상주의적 색채와 대담하게 밀어제낀 필법 등 형식만을 계승한 지역주의에 머문 아쉬움이 있다.
오지호 일파는 광주의 보수적 파벌을 구축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으며, 민족주의를 지향했던 오지호 자신도 사회적 실천의 진보성에 비하여, 화가로서 회화 자체의 순수성만을 고집한 점이 남는다. 작품 활동과 정치적 실천관계를 통합시키지 못한 민족미술론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 그의 인상주의의 이념이나 양식이 당시 우리의 민족적 현실이 요구하는 선진적인 예술 양식은 결코 될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예술의 절대성을 내세우면서도 그것을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 실천적 과제로 종합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현대회화사에서 오지호가 차지하는 위치는 당대의 누구보다 중요하다.
화가로써 서양의 인상파 화풍을 고유한 한국의 자연형상으로 토착화 시켰다는데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그림에만 머물지 않고 미술이론과 미학에도 밝은 평론가로써, 국, 한문, 병용 주장 등 학예일치의 울곧은 정신을 가졌으며 미학 사상과 철학을 짧은 단편까지 포함하여 20여 편에 이르는 논문에 담아 꾸준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런 예술가로서의 지조와 정치적 행동은 1980년대 이후 군사독재 정권에 저항하며 성장한 민족민중미술운동과도 그 맥이 닿아있다. 또한 오지호의 구상회화의 장점은 1980년대 민족미술계열의 청년 작가 층을 형성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
그러나 오지호를 배운 후배화가들을 주축으로 구성된 광주화단은 그의 예술인의 지조와 진보적 민족미술인의 실천 자세를 배우기보다는, 인상주의적 색채와 대담하게 밀어제낀 필법 등 형식만을 계승한 지역주의에 머문 아쉬움이 있다.
오지호 일파는 광주의 보수적 파벌을 구축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으며, 민족주의를 지향했던 오지호 자신도 사회적 실천의 진보성에 비하여, 화가로서 회화 자체의 순수성만을 고집한 점이 남는다. 작품 활동과 정치적 실천관계를 통합시키지 못한 민족미술론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 그의 인상주의의 이념이나 양식이 당시 우리의 민족적 현실이 요구하는 선진적인 예술 양식은 결코 될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예술의 절대성을 내세우면서도 그것을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 실천적 과제로 종합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현대회화사에서 오지호가 차지하는 위치는 당대의 누구보다 중요하다.
화가로써 서양의 인상파 화풍을 고유한 한국의 자연형상으로 토착화 시켰다는데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그림에만 머물지 않고 미술이론과 미학에도 밝은 평론가로써, 국, 한문, 병용 주장 등 학예일치의 울곧은 정신을 가졌으며 미학 사상과 철학을 짧은 단편까지 포함하여 20여 편에 이르는 논문에 담아 꾸준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