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흡연에 관한 내 외적인 질병과 임신중 흡연이 산모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 흡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여성 흡연

여성 흡연의 질병

여성의 외적인 신체 영향

임신 중의 흡연의 폐해

흡연이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

흡연과 여성의 우울증

청소년 흡연

청소년 흡연율

청소년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청소년 흡연 예방 대책

본문내용

혹을 피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또, 담배 판매 수입을 주요 국가 재정으로 충당하는 상황이 바뀌지 않는 한 결국 정부가 흡연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담배의 중독성은 일부 마약보다 더욱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흡연 청소년들이 10~20년 뒤 폐암 등 각종 질병을 앓을 경우 막대한 국가적 손실이 예상되는 만큼 범사회적 차원의 금연 운동이 절실하다.
청소년 흡연율
최근 청소년의 흡연율은 심각할 정도로 높다. 1991년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중학생 중 3.2%, 고등학교 1학년의 14.3%, 2학년의 38.2%, 3학년의 44.8%가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흡연증가율을 생각할 때, 최근의 흡연율은 그보다 훨씬 높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담배가 도입된 후 1970년대 까지는 가정과 학교, 사회로부터 흡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남학생들의 흡연율은 같은 연령의 미국 남학생의 흡연율이 15%이고 일본학생은 26%라는 사실을 감안하여 볼 때, 가히 충격적인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청소년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담배연기 속에는 무려 4000여종의 유해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그 중 40여종은 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청소년기에 흡연을 시작하면 더 큰 피해를 입는다. 성장기에 있는 10대들은 신체 발육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세포나, 조직 등이 약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담배는 ‘성장기의 독약’이라고 한다.
청소년기에 흡연을 시작하여 계속 흡연하는 사람들은 24년의 수명이 단축되고 25세 이후에 흡연을 시작한 경우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비 흡연자의 2.5배인데 비해서 15세 이전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경우에는 18.7배에 달하며, 폐암은 80-90%, 방광암은 40%, 심근경색증 사망은 40%, 뇌혈관질환은 50%,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만성폐쇄성 폐 질환은 85%가 흡연으로 인해 발생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0년간의 암 사망 중 폐암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는데 지난 10년간 한국인의 전체 암사망의 65%를 차지하는 위암, 간암, 폐암 중 폐암으로 사망한 경우에는 10년 전 10만 명당 사망률이 5명에서 1992년 24명으로 약 5배 증가하였다. 폐암사망은 특히 65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높은데 이는 흡연 후 대체로 30년이 지나면 폐암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폐암사망예측모형을 개발한 후 폐암 사망률을 추계하면 2020년에는 10만 명당 사망률이 70명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이며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서적, 도덕적, 사회적 측면에서 아동으로부터 성인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인 인격 형성 과정에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이 시기에 육체적으로, 정서적으로 백해무익한 담배를 피우는 청소년이 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아닐 수 없다.
청소년 흡연 예방 대책
청소년 흡연예방 대책으로는 잠재적으로 흡연할 수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흡연예방교육이 흡연을 시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연교육을 하는 것보다는 효과적일 것이다. 흡연예방교육의 내용은 청소년들에게 담배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왜냐하면 학생들에게 잘못 알려진 담배에 관한 정보는 흡연을 쉽게 선택하게 하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청소년기의 경우 금연치료보다 흡연예방이 더욱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청소년시기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 성인에 비해 짧은 기간에 습관성이 되기 때문이다. 청소년 흡연을 예방하기 위해 선진국들이 시행하고 있는 대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선진국들이 선호하는 청소년 흡연예방 대책 가운데 가장 보편화된 것은 담뱃값 인상이다. 미국 뉴욕 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담뱃값을 갑당 7달러(약 8500원)로 올렸다. 수년전 담배가격을 인상한 LA에서는 고교생들의 흡연율이 12%나 줄었다. 지난해 2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의사협회는 흡연이 가능한 법적 연령을 현행 18세에서 21세로 올리자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워싱턴에선 청소년이 주체가 된 흡연예방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 매년 9월21일을 ‘담배나 피우기에는 너무 좋은 날’로 정한 뒤 청소년들이 음악·영상자료 등을 통해 친구와 가족에게 “나는 왜 흡연을 하지 않는가.”에 대해 설명하도록 했다. 유럽연합(EU)은 청소년이 좋아하는 축구선수들을 적극 동원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지난해 6월 한·일 월드컵 때 축구스타들이 “청소년의 흡연은 절대 안 된다.”고 호소하는 내용의 20초짜리 광고를 한 달 내내 유럽전역에 방영했다. 뉴질랜드는 2000년에 담뱃값을 20% 올리고 청소년 흡연 예방캠페인을 꾸준히 실시했다. 그 결과 상습흡연자 비율이 남학생은 1999년 14%에서 2001년 12%로, 여학생은 17%에서 15%로 줄어들었다.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eid=pnUo0rA0CiZf7GbWytfNE5/aouT0gubA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eid=NielFNRFzU/vs4uo0sHTQcvcSrAY2ScO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7&dir_id=70103&eid=Jy6f/mvErZTTVZxODoQ+tw7MnghMZ81Y&ts=1119170796
http://www.cbe.go.kr/jsp/board/board2/View.jsp?seq=117&Page=2&SearchWord1=&SearchWord2=&menunum=90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7&dir_id=704&eid=mUZtLuqqGeiSIJSX5/9ptt1sC2JctYuw&ts=1092554206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eid=f/aXPI7cHVKc0Wb+9RI0HSGiYveClelg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7&dir_id=704&eid=bxSAAdLMFHMPcov1gOAGRg2fEySwbR97&ts=1055067107

키워드

흡연,   담배,   여성,   임신,   청소년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