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장자, 순자, 묵자, 한비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맹자

2 장자

3 순자

4 묵자

5 한비자

본문내용

맹자
B.C 372년 鄒(추)나라(지금의 산동성 鄒縣)에서 태어남
이름은 가(軻), 자(字)는 자여(子輿)/ 자거(子車/ 또는 子居)라고 한다는 설이 있으나 불확실하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위였으나 역사상 유례가 없는 현모(賢母)의 훈육에 의해 어려서부터 학업에 힘썼다. (孟母三遷之敎
성장, 교육배경
그의 고국인 추나라가 노(魯)나라의 옆에 있었으므로 일찍부터 공자의 사상을 접하게 되어 흠모했으나 당시 이미 공자가 사망한 훨씬 뒤였으므로 직접 배울 기회가 없어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생에게서 들으면서 사숙(私淑)했다. 당시는 제후국들이 서로 부국강병(富國强兵)이나 외교적 책모(策謀)를 획책하던 혼란한 시기였다. 모든 나라가 서로 공벌(攻伐)에 의한 합종연횡책 등 패도(覇道) 정치가 판을 쳐, 영리한 것이 현명한 것으로 이해되고 정의로움보다는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유가치하게 평가되는 형편이어서 덕치는 안중에도 없었다.

키워드

유교,   유가,   중국 사상,   법가,   도가,   성악설,   겸애설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8.03.2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580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