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복막투석의 목적
복막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혈액 속의 노폐물과과잉의 수분을 제거하며 체액의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체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함
복막투석 과정
1)준비물품
체온 정도로 데운 투석액, 소독된 마개, 저울, 걸대, 배액 받침대, 마스크, 소공포 또는 소독포, 필요시 mix 약물, 멸균 장갑, warmer
2)방법
-주변환경 정리 : 실내공기안정, 선풍기 에어컨 등의 작동 중지
-물품준비
-마스크 착용 후 손씻기
-투석액 점검 : 유효기간, 농도, 온도, 이물질, 파열상태 등
-연결 : 멸균장갑 착용 후 소독포를 깔고 환자의 카테터와 투석액 연결
-배액 : 몸 안의 투석액 배액. 투석액의 색, 투명도, 이물질 등 확인 후 배설량 측정
복막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혈액 속의 노폐물과과잉의 수분을 제거하며 체액의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체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함
복막투석 과정
1)준비물품
체온 정도로 데운 투석액, 소독된 마개, 저울, 걸대, 배액 받침대, 마스크, 소공포 또는 소독포, 필요시 mix 약물, 멸균 장갑, warmer
2)방법
-주변환경 정리 : 실내공기안정, 선풍기 에어컨 등의 작동 중지
-물품준비
-마스크 착용 후 손씻기
-투석액 점검 : 유효기간, 농도, 온도, 이물질, 파열상태 등
-연결 : 멸균장갑 착용 후 소독포를 깔고 환자의 카테터와 투석액 연결
-배액 : 몸 안의 투석액 배액. 투석액의 색, 투명도, 이물질 등 확인 후 배설량 측정
추천자료
만성신부전증의 의학적 이해와 의료사회복지실천 및 사례개입
[신장장애][내부장애][신장장애인][내부장애인]신장장애의 정의, 신장장애의 특성(신장장애의...
만성 신부전
인공신장실 사전레포트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CRF)case study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신장의식 장기보존, 생체이식을 위한 준비, 뇌사자 신장이식을 위한 준비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문헌고찰
의료급여제도에대하여
CRF(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만성 신부전] case 4
만성신부전 case study 입니다.
내과병동)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인공신장실) 만성신부전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