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1. 방언연구의 필요성
2. 국어교육에서의 방언의 의의
3. 방언교육의 방향
4. 방언교육의 활성화 방안
결론
1. 방언연구의 필요성
2. 국어교육에서의 방언의 의의
3. 방언교육의 방향
4. 방언교육의 활성화 방안
결론
본문내용
이 될 것이다.
5) 방언이 쓰인 영상자료 보여주기
우리 주변에는 방언이 쓰인 영상자료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분야는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하며, 이런 영상 자료는 학생들이 흥미롭게 느낄 것이다. 실제로 영화나 드라마에서의 방언사용은 많고, 학생들 또한 이미 접해보았을 것이다. 영상자료를 통해, 방언이 사용되면서 나타나는 효과와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면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제7차 교육과정에서‘실제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강조했고, 이는 방언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표준어를 쓰는 사람들의 실제적인 국어사용이 표준어라면, 방언을 쓰는 사람들의 실제적인 국어사용은 방언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방언은 세련되지 못한 말로 대중문화나 매스컴에서 다루어 왔다. TV드라마나 영화에서는 하층민이 방언을 사용함으로써, 하찮은 말, 엉뚱한 말로 그려져 왔던 것이다. 그러나 방언은 지역만의 고유한 독자적인 언어이고, 문화유산이기 때문에 이는 계승되어야 마땅하며, 방언교육의 의의와 필요성은 여기에 있다.
방언교육은 사라져 가는 말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말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언문학작품 읽기, 방언말하기대회, 방언퀴즈대회, 방언연구모임, 방언 영상자료 보여주기가 그것이다. 방언교육은 교실 안에서 교과서를 이용해 교육하는 방법보다는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방안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방언은 실제적으로 지역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말이기 때문이고, 제7차 국어과교육과정에서도 ‘실제적인 국어사용능력 향상’에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언교육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다면, 방언에 대한 인식이 부끄러운 언어가 아닌, 자랑스러운 지역문화의 유산으로서 인식 될 것이고, 이는 문화유산의 발전과 계승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1997-15(별책5)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과정, 1997.
김은미, 「지역방언을 활용한 국어지식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석사), 2004.
이경엽, 「지역문화와 교육과정」,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1.
조규태,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262 한글학회, 2003.
진선주, 「방언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경북대학교(석사), 2006.
최희선, 「방언교육의 이해와 실제」, 전북대학교(석사), 2006.
5) 방언이 쓰인 영상자료 보여주기
우리 주변에는 방언이 쓰인 영상자료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분야는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하며, 이런 영상 자료는 학생들이 흥미롭게 느낄 것이다. 실제로 영화나 드라마에서의 방언사용은 많고, 학생들 또한 이미 접해보았을 것이다. 영상자료를 통해, 방언이 사용되면서 나타나는 효과와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면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제7차 교육과정에서‘실제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강조했고, 이는 방언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표준어를 쓰는 사람들의 실제적인 국어사용이 표준어라면, 방언을 쓰는 사람들의 실제적인 국어사용은 방언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방언은 세련되지 못한 말로 대중문화나 매스컴에서 다루어 왔다. TV드라마나 영화에서는 하층민이 방언을 사용함으로써, 하찮은 말, 엉뚱한 말로 그려져 왔던 것이다. 그러나 방언은 지역만의 고유한 독자적인 언어이고, 문화유산이기 때문에 이는 계승되어야 마땅하며, 방언교육의 의의와 필요성은 여기에 있다.
방언교육은 사라져 가는 말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말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언문학작품 읽기, 방언말하기대회, 방언퀴즈대회, 방언연구모임, 방언 영상자료 보여주기가 그것이다. 방언교육은 교실 안에서 교과서를 이용해 교육하는 방법보다는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방안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방언은 실제적으로 지역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말이기 때문이고, 제7차 국어과교육과정에서도 ‘실제적인 국어사용능력 향상’에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언교육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다면, 방언에 대한 인식이 부끄러운 언어가 아닌, 자랑스러운 지역문화의 유산으로서 인식 될 것이고, 이는 문화유산의 발전과 계승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1997-15(별책5)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과정, 1997.
김은미, 「지역방언을 활용한 국어지식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석사), 2004.
이경엽, 「지역문화와 교육과정」,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1.
조규태,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262 한글학회, 2003.
진선주, 「방언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경북대학교(석사), 2006.
최희선, 「방언교육의 이해와 실제」, 전북대학교(석사), 2006.
추천자료
초·중등단계에서의 대안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노인복지] 노인교육의 중요성과 실태 및 노인교육의 활성화 방안
On line 교육에서의 이런닝 활성화 방안-학습 커뮤니티 중심의 활성화 방안
영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
청소년 문화를 통해 바라본 교회 교육의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 원격교육기관(원격대학)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학부모.교사.학생간의 의사소통 활성화로 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
보육교사와 보수교육의 문제 인식과 활성화 방안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토론하시오
[A+레포트]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스마트 TV의 교육 콘텐츠 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
영유아 보육 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부모참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브론펜브르너의 생...
[직무수행계획서] 주민 참여형 방과 후 학교 활성화 방안 - ‘우리 지역 아이는 우리가 키운다...
고령자 직업훈련기관, 활성화 방안, 세대 간 교육의 필요성 및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