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이전의 교육과정과 제1차 교육과정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삼국시대의 교육

2. 고려시대의 교육

3. 조선시대의 교육

4. 해방전의 교육과정
1) 구한말의 교육과정
2) 일제 통치기 하의 교육과정
(1)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
(2) 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
(3)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
(4) 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

5. 해방 후 과도기 및 교수요목기
1) 미군정기
2) 교수요목 강조의 시기
3) 6. 25 시기

6. 제1차 교육과정기
1) 이념 및 기본방향
2) 편제 및 운영
(1) 초등학교, (2) 중학교, (3) 고등학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향으로 전환하고자 노력했다.
넷째, 아동의 흥미를 중심으로 하는 작업 단원을 되도록 많이 설정하고, 작업을 통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생활 경험을 심화 확충하는 방향으로 개선했다.
또한 제1차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 생활을 개선하고 향상시킬 사회 개선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즉 전쟁으로 파괴된 국가를 부흥시키고자 했다.
둘째, 정부 수립 후 제정 공포한 교육법에 제시된 교육목적을 달성하는 방도로서의 교육과정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에는 최소한의 필수적인 교육내용만 표시하여 국가 기준으로서의 교육과정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
넷째, 반공 교육, 도의 교육, 실업 교육을 강조한다.
다섯째, 특별 활동 시간을 배당하여 전인교육을 지향한다.
2. 편제 및 운영
(1) 초등학교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 특별활동을 편성하여 교과 활동과 함께 2대 편제를 이루었다. 그리고 교과는 모두 8개 교과로 대교과제를 이루고 있다. 지금의 도덕과는 하나의 교과로 독립하지 않고, 각 학년의 총 이수 시간 수에서 연간 35시간 이상의 시수를 확보하여, 전 교과와 학교 전체의 교육 활동을 통해 도덕 교육을 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간 배당의 기준을 총 이수 시간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2) 중학교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특별활동을 편성하여 교과 활동과 함께 2대 편제를 이루었다. 그리고 대교과제를 취하여 필수 교과(8개 교과)와 선택 교과(실업, 가정, 외국어, 기타 교과)로 하였으나, 지금의 도덕과는 사회생활과에 배당된 시간 수 중 최저 35시간 이상의 시수를 확보하여 수업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간 배당의 기준은 각 학년별로 연간 이수해야 할 시간 수와 주당 시간 수로 표시하였다.
학년
교과
1
2
3
필수
과목
국 어
140(4)시간
140(4)시간
140(4)시간
수 학
140(4)시간
140(4)시간
140(4)시간
사회생활
175(5)
175(5)
175(5)
과 학
140(4)
140(4)
140(4)
체 육
70(2)
70(2)
70(2)
음 악
70(2)
70(2)
70(2)
미 술
70(2)
70(2)
70(2)
실업 가정
175(5)
175(5)
175(5)
소계
980(28)
980(28)
980(28)
선택
과목
실업 가정
35-245(1-7)
35-245(1-7)
35-245(1-7)
외 국 어
105-175(3-5)
105-175(3-5)
105-175(3-5)
기타교과
0-105(0-3)
0-105(0-3)
0-105(0-3)
특별활동
70-105(2-3)
70-105(2-3)
70-105(2-3)

1,190-1,330시간
(34-38)
1,190-1,330시간
(34-38)
1,190-1,330시간
(34-38)
* 이 표에 나타난 총 시간 수는 연간 최소 시간 량이고, ( ) 안의 수는 34주를 기준으로 한 주당 평균 시간 수이다.
(3) 고등학교
초등학교 및 중학교와 마찬가지로 고등학교의 편제도 교과 활동과 특별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교과 구성과 시간 배당 기준을 설정하고, 수업량을 연 단위로 표시하여 지역사회의 실정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덕 과목을 신설하여 주 1시간씩 필수로 수업하게 하였고, 교과 활동에는 필수 교과와 선택 교과를 두었으며,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과 구성에 있어서 필수 교과는 동일하게 하고, 선택 과목에서 실업계 학교는 실업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문 교과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교육학개론>, 홍의일, 한국고시회, 2005
<교육학의 이해 - 교육학개론>, 김재복, 삼경사, 1999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