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교육과정의 변천
개관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의 배경
사회과 성립 이전의 사회 교육(미국)
사회과의 탄생 배경
한국 사회교육과정의 배경
1) 구한말의 사회과 교육
2) 일제강점기의 사회과 교육 : 사회과 궤멸기
교수요목 시기(1946년 ~ 1954년) : 사회과의 도입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교과 중심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경험 중심 교육과정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 학문 중심 교육과정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 인간 중심 교육 과정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 사회과의 성숙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 통합 교육과정의 정착
제7차 교육과정기(1997~2007)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도입,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구현
2007년 개정 교육과정(2007~)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정착
(1) 개정 배경
(2) 특징
<표> 기존 7차 교육과정과 개정 7차 교육과정 비교
(3) 내용, 방법
<표> 선택과목의 구성
<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변천
개관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의 배경
사회과 성립 이전의 사회 교육(미국)
사회과의 탄생 배경
한국 사회교육과정의 배경
1) 구한말의 사회과 교육
2) 일제강점기의 사회과 교육 : 사회과 궤멸기
교수요목 시기(1946년 ~ 1954년) : 사회과의 도입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교과 중심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경험 중심 교육과정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 학문 중심 교육과정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 인간 중심 교육 과정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 사회과의 성숙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 통합 교육과정의 정착
제7차 교육과정기(1997~2007)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도입,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구현
2007년 개정 교육과정(2007~)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정착
(1) 개정 배경
(2) 특징
<표> 기존 7차 교육과정과 개정 7차 교육과정 비교
(3) 내용, 방법
<표> 선택과목의 구성
<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변천
본문내용
설
다층적 통합의 시도
사회3과의 기계적인 통합이 이루어짐
각 영역의 고유성, 독자성 유지, 영역 내에서의 교육 내용 통합이 충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함
환경확대법의 탄력적 적용
환경 확대법을 획일적으로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공간을 고려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지 못함
지역을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공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환경확대법을 탄력적으로 적용
교육 내용의 적정화 시도
유사, 중복된 내용 등으로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적인 탐구를 하기가 어려움
학습자들이 학습 목표 및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자기주도적인 탐구를 할 수 있도록 내용과 수준 측면에서의 적정화 시도
핵심 개념 중심으로 교육과정 대강화
내용 진술의 수준이 구체적, 상세화되어 있어 수업, 교과서에서 자율성, 전문성이 제한됨
교육 과정의 내용의 범주를 확대하여 주제나 개념 중심으로 대강화,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도 간략화하여 제시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지침의 명료화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으로 분류되는 기본과 차별화되는 ‘심화’ 부분이 존재
기본과 심화 통합하여 교육과정 내용상의 수준별 요소 제거, 수준별 논의는 교육 방법의 차원으로 다루도록 함
(3) 내용, 방법
초등 사회과
학년별 교육내용의 중복을 최소화, 학습 분량을 적정화 함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의 통합적인 사고를 지향
중등 사회과
중학교
- 역사라는 과목으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유기적으로 연계
- 한국지리와 세계지리의 유기적 통합과 연계를 시도
- 내용 항목과 단원의 위계를 축소, 대강화함
- 3~10학년 역사영역, 지리영역, 일반사회영역 - 통합성
- 국사영역의 강조 - 중학교 2학년 연간 102시간 역사영역 내용으로 지도
고등학교
- 영역 구분이 제6차 교육과정 이전으로 회귀
- 일반사회영역이 뒤로 가고 역사영역이 제일 앞에 제사 → 역사교육의 강화
- 일반사회영역의 내용 : 문화, 정의, 세계화, 인권, 삶의 질 등 개념 및 요소 중심으로 제시
- 심화 과정은 기본 과정에 통합
-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경우, 내용 영역별로 제시
<표> 선택과목의 구성
구분
현행
개정
비고
일반선택
· 인간사회와 환경
· 폐지
· 선택과목에 반영
지리영역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경제지리
· 유지
· 이수단위(6단위)
역사영역
· 한국근현대사
· 과목 대체 : 한국 문화사
· 이수단위(6단위)
· 한국의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민족 정 체성 확립
· 세계사
· 과목명 변경 : 세계 역사의 이해
· 이수단위(6단위)
· 동아시아사
· 신설
· 이수단위(6단위)
일반사회영역
·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 법과 사회
· 유지
· 이수단위(6단위)
<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변천
구분
교육과정
사회적 배경
주요 교육 정책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사
회
과
도
입
기
교수요목기
(1946년~1954년)
· 8.15 해방
· 미군정 시기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한국전쟁
· 일본어로 된 교재 폐기, 한국어 사용
· 교과서 편찬 사업 및 보급
· 교육제도의 민주화
· 문맹자 퇴치교육
· 일제 잔재의 청산
· 자유민주주의 도입
· 반공 이데올로기 강조
· 미국 중심의 이데올로기 강조
제1차 교육과정
(1954년~1963년)
· 전후 복구 시기
· 남북 체제, 이데올로기 강화
· 사회 전반의 대미 의존 심화
· 민주주의, 민족주의 교육
· 반공 교육
· 국사과의 확대를 통한 민주주의 강조
· 도덕 교육 확대를 통한 도의교육, 반공 교육 강조
사
회
과
정
착
기
제2차 교육과정
(1963년~1973년)
· 제3공화국
· 산업화 통치 체제의 시기
· 유신체제의 확립
·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
· 국민교육헌장 선포
· 반공 교육
· 정신문화 교육
· 과학기술 교육
· 교육과정기의 개편
· 반공·도덕 교과 강조
· 산업화 시기에 맞추어 ‘정치·경제’ 교과 등장
제3차 교육과정
(1973년~1980년)
· 안보 교육 체계 정비
· 국민적 자질 함양
· 인간 교육의 강화
· 지식·기술 교육 혁신
· 민족 주체성 확립 위한 국사과 단위 시수 증가
· 직업교육 강화 차원에서 과목명의 확실한 구분
제4차 교육과정
(1981년~1987년)
· 유신 체제의 붕괴
· 제5공화국 출범
· 민주화에 대한 열의
· 자유주의적 개방 경제 전환
· 1980.7.30 교육개혁 ‘교육 정상화 및 과열 과외 해소 방안’ 발표
· 국민 공동체 의식 배양 강조
· 국민정신 교육의 강조
· 사회과의 통합 유도
· 과목에서 선택 기회 확대
· 국민윤리, 국사과의 확대를 통한 국민정신 교육 강조
제5차 교육과정
(1987년~1992년)
· 기초교육의 내실화
· 과학기술 교육의 강조
· 교육 내에서의 민주화 촉진
· 기회 균등 교육, 평생교육
· 통일교육
· 후기 산업사회 대비 분과주의 체제 전환
· 국사, 국민윤리 강조
· 정치, 경제, 세계사, 세계 지리의 강화를 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 모색
통
합
사
회
과
구
축
기
제6차 교육과정
(1992년~1997년)
· 구소련의 해체와 동구권의 몰락을 통한 냉전체제의 확립
· 자유주의 시장경제체제의 구조적 확립
· 시민사회 영역의 확대
· 세계화 국제 경쟁의 시대
· 개인의 소질과 창의성으르 개발하는 다양한 교육
· 수요자(학생, 학부모) 중심 교육으로 방향 전환
· 자율 중심 교육으로 전환
· 통합 교과 ‘공통사회’ 신설 : 미래 사회 대비
· 교과 선택의 폭 확대
·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강조
제7차 교육과정
(1997년~2007sis)
· 신자유주의 교육 정책
· 수요자 중심 교육 강화
· 사회복지 교육의 강화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10교과)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11~12학년) 도입
· 일반 선택, 심화 선택 과목을 통합 수요자 중심 교육 추진
· 사회과 체험 학습, 현장학습 강조(학생 중심)
2007년 개정 교육과정
(2007년 이후)
· 실용주의 교육 강화
· 신자유주의 교육 정책 강화
· 개인의 창의성, 학교의 다양성 강조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체계화
· 역사(국사) 교육의 강화 및 역사 영역 독립
· 한국 정체성 교육 강화
다층적 통합의 시도
사회3과의 기계적인 통합이 이루어짐
각 영역의 고유성, 독자성 유지, 영역 내에서의 교육 내용 통합이 충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함
환경확대법의 탄력적 적용
환경 확대법을 획일적으로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공간을 고려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지 못함
지역을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공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환경확대법을 탄력적으로 적용
교육 내용의 적정화 시도
유사, 중복된 내용 등으로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적인 탐구를 하기가 어려움
학습자들이 학습 목표 및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자기주도적인 탐구를 할 수 있도록 내용과 수준 측면에서의 적정화 시도
핵심 개념 중심으로 교육과정 대강화
내용 진술의 수준이 구체적, 상세화되어 있어 수업, 교과서에서 자율성, 전문성이 제한됨
교육 과정의 내용의 범주를 확대하여 주제나 개념 중심으로 대강화,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도 간략화하여 제시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지침의 명료화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으로 분류되는 기본과 차별화되는 ‘심화’ 부분이 존재
기본과 심화 통합하여 교육과정 내용상의 수준별 요소 제거, 수준별 논의는 교육 방법의 차원으로 다루도록 함
(3) 내용, 방법
초등 사회과
학년별 교육내용의 중복을 최소화, 학습 분량을 적정화 함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의 통합적인 사고를 지향
중등 사회과
중학교
- 역사라는 과목으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유기적으로 연계
- 한국지리와 세계지리의 유기적 통합과 연계를 시도
- 내용 항목과 단원의 위계를 축소, 대강화함
- 3~10학년 역사영역, 지리영역, 일반사회영역 - 통합성
- 국사영역의 강조 - 중학교 2학년 연간 102시간 역사영역 내용으로 지도
고등학교
- 영역 구분이 제6차 교육과정 이전으로 회귀
- 일반사회영역이 뒤로 가고 역사영역이 제일 앞에 제사 → 역사교육의 강화
- 일반사회영역의 내용 : 문화, 정의, 세계화, 인권, 삶의 질 등 개념 및 요소 중심으로 제시
- 심화 과정은 기본 과정에 통합
-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경우, 내용 영역별로 제시
<표> 선택과목의 구성
구분
현행
개정
비고
일반선택
· 인간사회와 환경
· 폐지
· 선택과목에 반영
지리영역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경제지리
· 유지
· 이수단위(6단위)
역사영역
· 한국근현대사
· 과목 대체 : 한국 문화사
· 이수단위(6단위)
· 한국의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민족 정 체성 확립
· 세계사
· 과목명 변경 : 세계 역사의 이해
· 이수단위(6단위)
· 동아시아사
· 신설
· 이수단위(6단위)
일반사회영역
·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 법과 사회
· 유지
· 이수단위(6단위)
<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변천
구분
교육과정
사회적 배경
주요 교육 정책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사
회
과
도
입
기
교수요목기
(1946년~1954년)
· 8.15 해방
· 미군정 시기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한국전쟁
· 일본어로 된 교재 폐기, 한국어 사용
· 교과서 편찬 사업 및 보급
· 교육제도의 민주화
· 문맹자 퇴치교육
· 일제 잔재의 청산
· 자유민주주의 도입
· 반공 이데올로기 강조
· 미국 중심의 이데올로기 강조
제1차 교육과정
(1954년~1963년)
· 전후 복구 시기
· 남북 체제, 이데올로기 강화
· 사회 전반의 대미 의존 심화
· 민주주의, 민족주의 교육
· 반공 교육
· 국사과의 확대를 통한 민주주의 강조
· 도덕 교육 확대를 통한 도의교육, 반공 교육 강조
사
회
과
정
착
기
제2차 교육과정
(1963년~1973년)
· 제3공화국
· 산업화 통치 체제의 시기
· 유신체제의 확립
·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
· 국민교육헌장 선포
· 반공 교육
· 정신문화 교육
· 과학기술 교육
· 교육과정기의 개편
· 반공·도덕 교과 강조
· 산업화 시기에 맞추어 ‘정치·경제’ 교과 등장
제3차 교육과정
(1973년~1980년)
· 안보 교육 체계 정비
· 국민적 자질 함양
· 인간 교육의 강화
· 지식·기술 교육 혁신
· 민족 주체성 확립 위한 국사과 단위 시수 증가
· 직업교육 강화 차원에서 과목명의 확실한 구분
제4차 교육과정
(1981년~1987년)
· 유신 체제의 붕괴
· 제5공화국 출범
· 민주화에 대한 열의
· 자유주의적 개방 경제 전환
· 1980.7.30 교육개혁 ‘교육 정상화 및 과열 과외 해소 방안’ 발표
· 국민 공동체 의식 배양 강조
· 국민정신 교육의 강조
· 사회과의 통합 유도
· 과목에서 선택 기회 확대
· 국민윤리, 국사과의 확대를 통한 국민정신 교육 강조
제5차 교육과정
(1987년~1992년)
· 기초교육의 내실화
· 과학기술 교육의 강조
· 교육 내에서의 민주화 촉진
· 기회 균등 교육, 평생교육
· 통일교육
· 후기 산업사회 대비 분과주의 체제 전환
· 국사, 국민윤리 강조
· 정치, 경제, 세계사, 세계 지리의 강화를 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 모색
통
합
사
회
과
구
축
기
제6차 교육과정
(1992년~1997년)
· 구소련의 해체와 동구권의 몰락을 통한 냉전체제의 확립
· 자유주의 시장경제체제의 구조적 확립
· 시민사회 영역의 확대
· 세계화 국제 경쟁의 시대
· 개인의 소질과 창의성으르 개발하는 다양한 교육
· 수요자(학생, 학부모) 중심 교육으로 방향 전환
· 자율 중심 교육으로 전환
· 통합 교과 ‘공통사회’ 신설 : 미래 사회 대비
· 교과 선택의 폭 확대
·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강조
제7차 교육과정
(1997년~2007sis)
· 신자유주의 교육 정책
· 수요자 중심 교육 강화
· 사회복지 교육의 강화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10교과)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11~12학년) 도입
· 일반 선택, 심화 선택 과목을 통합 수요자 중심 교육 추진
· 사회과 체험 학습, 현장학습 강조(학생 중심)
2007년 개정 교육과정
(2007년 이후)
· 실용주의 교육 강화
· 신자유주의 교육 정책 강화
· 개인의 창의성, 학교의 다양성 강조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체계화
· 역사(국사) 교육의 강화 및 역사 영역 독립
· 한국 정체성 교육 강화
추천자료
교육과정 변천사(1차~5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보건 교육과정 내용의 변천 및 특징
교육기회균등 개념의 변천과정
[경제교육]경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심층 분석(청소년 경제교육의 동향, 사회과 교육에...
교육과정의 변천과 역사성, 7차교육과정 개정안 쟁점 2가지
우리나라 교육과정 정책의 변천과 전망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변천과정과 유의점, 학...
가정과 교육과정 변천과 특징 그리고 가정과 교육의 미래
교육과정의 의미와 유형 및 시행과 평가 교육과정 변천
[지방교육자치]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념,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변천과정, 지방교육자치제도의 ...
유아 교육과정 탐구의 변천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교육과정(敎育課程)의 본질적 변천(내용주의 교육과정, 방법주의 교육과정, 내용주의와 방법...
[한국 교육과정의 발전과정-역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