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H케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AH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헌고찰
(1) 지주막하 출혈(SAH : Subarachnoid Hemorrhage)
(2) 원인/위험요인
(3) 증상
(4) 경과 및 예후
(5) 진단
(6) 합병증

본문내용

proate
PO
300mg
간질,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과 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 수술 후 및 외상 후
발작 치료
설사, 소화불량, 구토,
졸음, 야뇨, 간장애,
빈혈, 두통, 복통
간염, 간장애 환자
에게 금지, 3세
미만의 소아에게
주의
Potassiom
chloride
600mg
k 보급제, 디기탈리스
중독, 이뇨제 투여 후의
저칼륨 혈증
소화기 장애, 심장전도
장애
선천성 심부전,
부신기능장애,
고k혈증 환자에게
금지
Itropride
50mg
기능성 소화불량 치료제
설사, 변비, 두통,
prolactin의 상승
임부 및 수유부,
고령자, 소아에게
금기
Methylpredni
solone
IV
125mg
중등도 작용형 스테로이드
제 / 류마티스성 관절염,
기관지 천식, 골관절염의
치료, 소염제, 쇼크지지
쿠싱 증후군, 체액
저류, 안면 홍반, 발한
이상
cefotaxime
IV
1g
제 3세대 cephalosporin
계 항균제
설사, 황달, 발작, 혼동,
발열, 발진, 두드러기,
백혈구 감소증
아닐리드계 국소
마취 과민증 환자
에게 금기
10% Freamine
IV
500ml
아미노산 영양수액제 /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 전 후 아미노산
보급
발진, 구토, 구역, 빈맥,
심계항진, 흉부 불쾌감,
혈압강하
간성혼수환자, 중증
신장애 환자, 폐수종, 핍뇨증&무뇨증
환자에게 금기
Nimodipine
IV
10mg
뇌혈관에 기인한 뇌기능
장애의 개선, 허혈성
신경장애
혈압강하, 심박동율
증가, 안면홍조, 정맥
염, 간 효소치 상승
뇌부종 또는 두개
내압 상승 환자에
게 사용시 주의
5% D/S 1L
+ KCL 20mEq
IV
전해질/수분보급 ,약물희석
k 보충제
구토, 복통, 복부팽만,
설사, 소화관 출혈
신기능장애 환자,
심질환자에게 주의
Ketonolac
IV
30ng
강력한 진통효과를 가진
acetic acid계 NSAID
중등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오심, 소화불량, 위장관
통증, 두통, 설사, 부종,
졸음, 현기증, 과민반응
임신, 수유부, 16세
이하 소아, 천식
환자, 출혈소인환자
에게 금기
Bisacodel
2T
급,만성 변비, 수술전 후,
방사선 치료전의 장내용물
제거
복통, 오심, 구토,
전해질 이상
Midazolam
5mg/A
수면 리듬 변화 및 수면장애 치료, 외과수술 또는
진단 처치 전 진정 목적
용량의존적으로 호흡억
제, 혈압과 심기능 저하
, 장기투여 시 습관성
급성 협우각녹내장
환자, 증중근무력증
환자에게 사용금기
Pethidine HCL
50mg/A
opioid agonist - 진통,
진정, 진경, 마취전 투약
도취감, 불쾌감, 불안,
오심, 구토, 호흡억제,
중증간질환, 담석,
점액수종, 진전환자
에게 금기, 내성 및
의존성 주의
Sodium
chloride 0.9%
1L/Bag
수분 전해질 보급
Hypertomic,
Hypernatremia,
Uterus,
4.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오랫동안 누워만 있으니깐 엉덩이가 축축해”
“(천골 부위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여기가 좀 아픈거 같애”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활동 정도는 침상안정으로 제한됨.
침상에서 대상자 스스로 체위를 변경할 수 없음.
천골과 둔부 부위에 국소적으로 발적 부위가 관찰됨.
발적은 압력이 완화되어도 소실되지 않음.
간호진단
①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계획
1. 목표
① 천골과 둔부의 발적 부위가 감소할 것이다.
② 뼈 돌출부위에서 더이상 발적 부위가 관찰되지 않을 것이다.
③ 대상자는 피부 상실이나 궤양 등 피부 손상의 징후를 보이지 않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2. 간호중재
①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 압력을 많이 받는 부위의 피부에 창백한 부위, 발적, 찰과상 등을
사정한다.
- 피부를 눌렀다가 떼었을 때 정상적으로 피부색깔이 돌아오는가를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 압력은 피부손상을 초래하는 혈액순환의 장애를
유발한다.
② 욕창 발생부위로 앉거나 눕지 않는다.
이론적 근거 : 그 부위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여 그 부위에 산소공급의 효과를 가져온다.
③ 적어도 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압력을 받은 기간이 주어진 압력의 세기보다 피부에 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혈전이 생성되지 않는 최대 시간이 2시간이다.
④ 압력 부위에 베개 등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한다.
압점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⑤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고 기저귀를 자주 갈면서 습기를 없앤다.
피부감염 위험성을 줄이고, 습기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간호수행
① 매일 8시, 10시, 12시 2시간마다 대상자의 피부에 발적되거나 창백
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였고, 피부를 눌렀다가 떼어 피부 색깔이
돌아오는지 확인하였다.
② 매 4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하였는데, 처음 체위변경 시에는 supine
자세에서 semi-Fowler로, 다음 체위변경 시에는 semi-Fowler에서
supine자세로 변경하였다.
③ 베개나 린넨, 장갑에 물을 넣은 것을 천골과 엉덩이 밑, 발 뒤꿈치
부분에 적용 해주어 압력을 완화시켜주었다
④ 기저귀를 한 시간마다 확인했으며, 확인 시 장갑 낀 손으로 엉덩이를
만져보아 습기가 있으면 파우더를 적용해주었다.
간호평가
① 천골과 둔부의 발적 부위는 더 이상 커지지 않았다.
② 뼈 돌출부위에서 더이상의 발적 부위가 관찰되지 않았다.
③ 피부 상실이나 궤양 등 피부 손상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발적 부위는 감소되지 않았지만 더 이상의 피부 손상은 보이지 않았
다. 다른 부위의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와 피부 손상이
일어난 부위의 치료적 중재가 함께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하겠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下 / 서문자 외 7인 / 현문사
성인간호학 / 이학박사 전산초 / 현문사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성인 질병을 중심으로) / 최정신 / 현문사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 이은옥 외 5인 / 수문사
성인간호학 3 / 김조자 외 공저 / 현문사
간호진단과 중재 / 현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3.3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