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중간기 연대에 따른 주요사건 및 문화적 배경
-사해문헌(Dead Sea Scrolls)
-외 경
-위 경
-필로와 요세푸스의 저작들
3.결론
2.본론
-중간기 연대에 따른 주요사건 및 문화적 배경
-사해문헌(Dead Sea Scrolls)
-외 경
-위 경
-필로와 요세푸스의 저작들
3.결론
본문내용
것으로 율법연구의 존속을 위하여 준비하는 것이 자기의 임무임을 깨닫게 된다.
요세푸스의 모습은 그가 헬라어로 전쟁사를 기록하였다는 사실과 다른 포괄적인 작품을 통하여 우리에게 분명히 나타나 있다. 그는 헬라인들과 로마인들에게 인류의 여명기로부터 가지 백성의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역사서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그는 헬라-유대주의적인 작가들보다 훨씬 더 성서의 설화에 밀착해 있었다. 그의 관심은 로마 세계에 집중되어 있고 그들의 이해 수준에 가지를 철저하게 적응시키고 있다. Warner Frster, 『신구약 中間史』, 문희석역, 163-164
요세푸스는 A.D. 71년부터 죽을 때까지 저작생활을 하였고 로마에 거주하는 동안 현존하는 4권의 책을 썼다. 『유대 전쟁사』, 『유대 고대사』, 『아피온에 반대한 소논문』, 『요세푸스의 생애』 이상의 4권을 통해 그는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에게 유대인의 역사와 종교를 더 잘 이해시키고자 하였고, 그는 주로 팔레스타인에서 배웠던 헬라어로 저술하였으나 양식에 있어서 실수하지 않기 위하여 경험 있는 저술가들과 협의한 것으로 알려진다. 요세푸스가 어떤 구절에다 리비(Livy)의 작품에서 인용한 것을 보아 라틴어 지식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Raymond F. Surburg, 『신구약 중간사』, 김의원역, 239-251
Ⅲ. 결 론
중간기문헌은 유대민족이 페르시아 시대에서 헬레니즘시대로 시대의 큰 흐름이 변하면서 자신들의 민족적 사상과 종교를 잃지 않고 후대에 계속해서 전해주기위한 처절한 싸움을 담고 있다. 특히 이 중간기 문헌에서 나타나는 묵시문학적 특징들은 그러한 민족적 위기상황을 자신들의 힘으로 어찌 할 수 없기에 외부로부터의 신적 개입이나 도움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들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문헌들-사해문헌, 외경, 위경, 필로와 요세푸스의 저작들-을 통해 유대인들이 얼마나 메시야에 대한 신앙을 키워왔는지를 알 수 있다. 죽은 자의 육체적 부활에 대한 신앙과 더불어 메시야의 도래에 대한 신앙도 나타났으며 그는 왕국을 세우도록 하나님이 기름을 부으신 자였다고 말한다. 이러한 메시야 신앙 역시 민족적 위기 상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이러한 사상적 특징 이외에도 위의 문헌들이 언어의 변환기에 있어서 중요한 문서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해문헌은 같은 동굴에서 발견되었음에도 여러 가지 언어(헬라어, 히브리어, 팔레스타인어, 아람어, 아랍어)로 기록되어 고문서의 번역에 있어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귀한 참고자료가 되었다.
분명 이 시기는 이스라엘 지역의 격변기이며 유대민족의 큰 위기였다. 또한 문화적 흐름이 페르시아에서 로마로 옮겨지며 언어가 변하며 사상이 변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세계 흐름이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최적의 ‘때’였는지 나는 알 수 없지만. 성경은 분명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다.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갈라디아서 4장 4절)
앞으로 수업을 통해 이러한 시대적, 문화적 배경이 그리스도의 나심과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에 교회가 세워지고 복음이 전파되는데 있어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에 대해 알 고 싶어졌다.
< 참 고 문 헌 >
Frster Warner, 『신구약 中間史』, 문희석역, 컨콜디아사, 1992.
Piper. Charles F, 『신구약 중간사』, 조병수역, 한국기독교연구원, 1982,
Russell. D. S, 『신구약 중간시대』, 임태수역, 컨콜디아사, 1995.
Surburg Raymond F, 『신구약 중간사』, 김의원역,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요세푸스의 모습은 그가 헬라어로 전쟁사를 기록하였다는 사실과 다른 포괄적인 작품을 통하여 우리에게 분명히 나타나 있다. 그는 헬라인들과 로마인들에게 인류의 여명기로부터 가지 백성의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역사서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그는 헬라-유대주의적인 작가들보다 훨씬 더 성서의 설화에 밀착해 있었다. 그의 관심은 로마 세계에 집중되어 있고 그들의 이해 수준에 가지를 철저하게 적응시키고 있다. Warner Frster, 『신구약 中間史』, 문희석역, 163-164
요세푸스는 A.D. 71년부터 죽을 때까지 저작생활을 하였고 로마에 거주하는 동안 현존하는 4권의 책을 썼다. 『유대 전쟁사』, 『유대 고대사』, 『아피온에 반대한 소논문』, 『요세푸스의 생애』 이상의 4권을 통해 그는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에게 유대인의 역사와 종교를 더 잘 이해시키고자 하였고, 그는 주로 팔레스타인에서 배웠던 헬라어로 저술하였으나 양식에 있어서 실수하지 않기 위하여 경험 있는 저술가들과 협의한 것으로 알려진다. 요세푸스가 어떤 구절에다 리비(Livy)의 작품에서 인용한 것을 보아 라틴어 지식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Raymond F. Surburg, 『신구약 중간사』, 김의원역, 239-251
Ⅲ. 결 론
중간기문헌은 유대민족이 페르시아 시대에서 헬레니즘시대로 시대의 큰 흐름이 변하면서 자신들의 민족적 사상과 종교를 잃지 않고 후대에 계속해서 전해주기위한 처절한 싸움을 담고 있다. 특히 이 중간기 문헌에서 나타나는 묵시문학적 특징들은 그러한 민족적 위기상황을 자신들의 힘으로 어찌 할 수 없기에 외부로부터의 신적 개입이나 도움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들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문헌들-사해문헌, 외경, 위경, 필로와 요세푸스의 저작들-을 통해 유대인들이 얼마나 메시야에 대한 신앙을 키워왔는지를 알 수 있다. 죽은 자의 육체적 부활에 대한 신앙과 더불어 메시야의 도래에 대한 신앙도 나타났으며 그는 왕국을 세우도록 하나님이 기름을 부으신 자였다고 말한다. 이러한 메시야 신앙 역시 민족적 위기 상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이러한 사상적 특징 이외에도 위의 문헌들이 언어의 변환기에 있어서 중요한 문서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해문헌은 같은 동굴에서 발견되었음에도 여러 가지 언어(헬라어, 히브리어, 팔레스타인어, 아람어, 아랍어)로 기록되어 고문서의 번역에 있어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귀한 참고자료가 되었다.
분명 이 시기는 이스라엘 지역의 격변기이며 유대민족의 큰 위기였다. 또한 문화적 흐름이 페르시아에서 로마로 옮겨지며 언어가 변하며 사상이 변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세계 흐름이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최적의 ‘때’였는지 나는 알 수 없지만. 성경은 분명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다.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갈라디아서 4장 4절)
앞으로 수업을 통해 이러한 시대적, 문화적 배경이 그리스도의 나심과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에 교회가 세워지고 복음이 전파되는데 있어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에 대해 알 고 싶어졌다.
< 참 고 문 헌 >
Frster Warner, 『신구약 中間史』, 문희석역, 컨콜디아사, 1992.
Piper. Charles F, 『신구약 중간사』, 조병수역, 한국기독교연구원, 1982,
Russell. D. S, 『신구약 중간시대』, 임태수역, 컨콜디아사, 1995.
Surburg Raymond F, 『신구약 중간사』, 김의원역,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추천자료
교육철학 시대적 배경
'구약의배경' 책요약
성녀에서 인간으로 - 막달라 마리아의 도상 변천과 시대적 배경
구약석의 방법론 강의 정리
[교회, 예수, 예수그리스도] 교회와 예수 - w.c.c. 헌장에 나타난 교회의 본성과 사명, 특성,...
[교회][기원과학][창조][진화][창조론교육][교회분열]교회의 본질 및 기원과 분열(교회의 본...
[성령 은사][성령][은사][성경][성서][은혜][성령은사 분류][성령 9가지 은사]성령은사의 분...
[예배][교회예배][한국교회][기독교]예배(교회예배)의 정의, 예배(교회예배)의 역사, 예배(교...
[성경][성서][창세기][생령][기독교][교회]성경(성서) 창세기의 개관, 성경(성서) 창세기의 ...
막달라 마리아의 도상 변천과 시대적 배경
[종교개혁]종교개혁의 개념, 종교개혁의 원인, 종교개혁의 교육론, 종교개혁과 가톨릭, 종교...
생명의 의미, 생명과 가치,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배경,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이론,...
[성서와 선교] 사도행전의 초대교회 선교 이해 (제자들의 선교 이해) 예루살렘 교회와 안디옥...
[A+] 독일의 문학 - 사조, 시대별 대표작가, 기원, 고대 게르만 문학, 르네상스 문학, 바로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