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 일제 식민통치와 민족의 해방
● 일제통치하 한국의 국가와 계급
● 식민지 국가
● 철도의 역할
● 상업
● 저항
● 일제하의 사회경제적 변동
● 건국준비위원회의 인민공화국
● 전시외교의 전개
제2부 미군정하의 중앙정치 1945 - 1947
● 미군의 진주와 국가기구의 형성과정단정수립
● 국제주의적 정책과 민족주의적 논리
제 3부-미군정의 지방 정치 1945~1947년
● 지방 인민위원회의 개관과 운명
● 9월 총파업과 10월항쟁
● 북한의 사회개혁과 중앙집권화
● 좌절된 해방
• 서평
● 일제통치하 한국의 국가와 계급
● 식민지 국가
● 철도의 역할
● 상업
● 저항
● 일제하의 사회경제적 변동
● 건국준비위원회의 인민공화국
● 전시외교의 전개
제2부 미군정하의 중앙정치 1945 - 1947
● 미군의 진주와 국가기구의 형성과정단정수립
● 국제주의적 정책과 민족주의적 논리
제 3부-미군정의 지방 정치 1945~1947년
● 지방 인민위원회의 개관과 운명
● 9월 총파업과 10월항쟁
● 북한의 사회개혁과 중앙집권화
● 좌절된 해방
• 서평
본문내용
전통주의적 반공 이데올로기에로, 스톤, 할러데이, 황남준 등은 수정주의관점으로 한국전쟁을 이해하듯이 말이다.
그렇기에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이 절대적 완성품일수는 없는 것이고, 오히려 그는 수정주의적 관점에서도 초기 수정주의자로 보여지기에 반공, 반북 이데올로기를 안티체제로써 간과해버린 약점을 지닌 듯 하다. 한국전쟁은 커밍스의 관점으로만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설명과 주장은 단지 비판하며 참조할 일부 지식인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짧지만 너무나 다른 한 면을 접했던 요 몇주는 다시 한번 북한의 실제 삶의 모습에서 진상을 나로 하여금 갈구케 하고 있다. 단지 한국전쟁만을 이해하는 것만을 넘어서서 그것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의미와 앞으로의 모습을 규정지을지도 모르는 가능성을 답습하는 것. . . . . . . 그리고 다시는 그런 비극을 겪지 않도록 나를 비롯한 스스로를 무장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아름다운 한국이다. 그리고 독립된 주권국가이다. 결코 우리의 삶의 터전인 한반도가 세계 이데올로기의 응집 장소가 되어서는 안되며, 동족끼리 반목과 질시를 보내는 비극을 또 다시 재현하는 어리석음을 빚어내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제대로 정립된 지식체계와 관점을 가지고, 북한에 대한 모든 사실을 왜곡시키지 않은 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감정이 아닌 이성으로써 소화하는 것이 필요치 않을까?
## 참고문헌 ##
. 한국전쟁(1950. 6. 25-1953. 7. 27), 구희진
. 한국전쟁의 숨은 뜻 - 6. 25가 남한에 미친 영향, 이채진
. 브루스 커밍스. 세계 원색 세계대백과 사전
그렇기에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이 절대적 완성품일수는 없는 것이고, 오히려 그는 수정주의적 관점에서도 초기 수정주의자로 보여지기에 반공, 반북 이데올로기를 안티체제로써 간과해버린 약점을 지닌 듯 하다. 한국전쟁은 커밍스의 관점으로만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설명과 주장은 단지 비판하며 참조할 일부 지식인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짧지만 너무나 다른 한 면을 접했던 요 몇주는 다시 한번 북한의 실제 삶의 모습에서 진상을 나로 하여금 갈구케 하고 있다. 단지 한국전쟁만을 이해하는 것만을 넘어서서 그것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의미와 앞으로의 모습을 규정지을지도 모르는 가능성을 답습하는 것. . . . . . . 그리고 다시는 그런 비극을 겪지 않도록 나를 비롯한 스스로를 무장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아름다운 한국이다. 그리고 독립된 주권국가이다. 결코 우리의 삶의 터전인 한반도가 세계 이데올로기의 응집 장소가 되어서는 안되며, 동족끼리 반목과 질시를 보내는 비극을 또 다시 재현하는 어리석음을 빚어내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제대로 정립된 지식체계와 관점을 가지고, 북한에 대한 모든 사실을 왜곡시키지 않은 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감정이 아닌 이성으로써 소화하는 것이 필요치 않을까?
## 참고문헌 ##
. 한국전쟁(1950. 6. 25-1953. 7. 27), 구희진
. 한국전쟁의 숨은 뜻 - 6. 25가 남한에 미친 영향, 이채진
. 브루스 커밍스. 세계 원색 세계대백과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