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흉막의 해부 및 생리
1. 흉막의 구조
2.혈관공급과 림프드레인
3. 신경지배
4.흉막의 생리
5.흉막의 병태생리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1. 정의
2. 분류
3. 일차성 자연기흉
4.이차성 자연기흉
5.신생아 자연기흉
6. 월경성 자연기흉
1. 흉막의 구조
2.혈관공급과 림프드레인
3. 신경지배
4.흉막의 생리
5.흉막의 병태생리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1. 정의
2. 분류
3. 일차성 자연기흉
4.이차성 자연기흉
5.신생아 자연기흉
6. 월경성 자연기흉
본문내용
부분인 것은 사실 이지만. 흉부 X-선 사진상에서 벽측흉막에서 장측흉막까지의 거리를 측정 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4)치료
자연기흉의 치료원칙은 먼저 흉강내에서 공기를 제거한 뒤 , 흉강을 효과적으로 폐쇄시켜 재발을 막는 것이다. 구체적인 치료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는데, 환자상태, 재발여부. 폐상태 등을 고려하여 이중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한다.
(1)관찰
①보통 환자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산소를 투여하여 기흉의 흡수를 도모하면 서 관찰한다. 흉강내 공기의 자연흡수속도는 하루에 한쪽 흉곽용적의 약 1.25%의 흡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만인 15%의 기흉이 있으면 더 이상의 공기 유출이 없는 한 완전히 흡수되는 데에 약 12일이 걸린다.
②증상이 없으면서 더 이상의 공기유출이 없는 작은 기흉 환자에서 주로 적 응이 된다.
(2)흉강천자(thoracectesis)
①증상이 없으면서 기흉의 정도가 약간 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②그러나 이 방법은 효과적인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지 못해 공기 유출이 계 속되는 상황에서는 치료가 잘 되지 않는다. 도 종종 반복 천자를 필요로 하는 번거러움 등으로 근래에 와서는 많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
(3)흉관삽관술(thoracostomy, chest tube insertion)
①기흉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지속적인 공기유출이 잇는 경 우에도 폐의 재팽창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흡인 장치를 첨 가하여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②흉강삽관술의 일반적인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a. 단기간의 치료를 필요한 경우
b 20% 이상의 기흉이 있는 경우
c 긴장성 기흉이 있는 경우
d 증상이 잇는 경우
e 반대측 폐에 병변이 있는 경우
f 흉부 X-선 사진상 기흉이 점점 증가하는 경우
(4)화학적 흉막유착술
①지속성 또는 재발성 자연기흉이 있는 경우에는 공기유출 근원적으로 막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흉막을 유착시켜 흉막강을 아예 없애주는 것이 필요 하다. 화학적 흉막유착술이란 이러한 목적으로 흉관이나 흉강경을 통해 화 학약품을 흉막강내에 투여하여 염증을 유발시킴으로써 흉막유착을 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②흉막유착술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으로는 과거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요즘은 활석가루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드물게 퀴나크린, 머스타드질소, 요오드화 오일, 고장성 포도당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 활석가루는 석면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나중 에 중피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석면이 없는 의료용 활석가루를 사용하여야 한다.
(5)수술
①개흉술
A 개흉술 통해 흉막하 소기포를 절제한 다음, 기계적 흉막유착술을 시행 하는 방법이다. 기계적 흉막유착술에는 벽측 흉막을 제거해주는 방법과 흉막을 문질러 자극함으로서 흉막유착을 도모하는 방법의 두가지 방법 이 있다.
B 적응증
1.공기유출이 심해서 폐의 재팽창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
2.공기유출이 7~10일 이상 계속되는 경우
3.같은쪽의 재발성 기흉이 생긴 경우
4.전에 반대측에서 기흉이 생긴 병력이 있는 경우
5.양측에서 동시에 기흉이 생긴 경우
6.흉부 X-선 상에서 보이는 큰 기낭이 있는 경우
7.직업적인 요인이 있는 경우(비행기 조종사, 잠수부, 외딴곳에 사는 사 람)
8.이차성 자연기흉 환자에서 기흉의 원인 자체가 수술적응이 안되는 사 람
9.합병증이 있는 경우(혈흉, 농흉, 만성기흉)
②비디오 흉강경수술
근래에 와서 보다 덜 침습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기흉수술에 비디오 흉강경 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디오 흉강경수술에 의한 자연기흉의 수술은 전 신마취하에 환자를 측와위로
4)치료
자연기흉의 치료원칙은 먼저 흉강내에서 공기를 제거한 뒤 , 흉강을 효과적으로 폐쇄시켜 재발을 막는 것이다. 구체적인 치료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는데, 환자상태, 재발여부. 폐상태 등을 고려하여 이중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한다.
(1)관찰
①보통 환자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산소를 투여하여 기흉의 흡수를 도모하면 서 관찰한다. 흉강내 공기의 자연흡수속도는 하루에 한쪽 흉곽용적의 약 1.25%의 흡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만인 15%의 기흉이 있으면 더 이상의 공기 유출이 없는 한 완전히 흡수되는 데에 약 12일이 걸린다.
②증상이 없으면서 더 이상의 공기유출이 없는 작은 기흉 환자에서 주로 적 응이 된다.
(2)흉강천자(thoracectesis)
①증상이 없으면서 기흉의 정도가 약간 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②그러나 이 방법은 효과적인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지 못해 공기 유출이 계 속되는 상황에서는 치료가 잘 되지 않는다. 도 종종 반복 천자를 필요로 하는 번거러움 등으로 근래에 와서는 많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
(3)흉관삽관술(thoracostomy, chest tube insertion)
①기흉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지속적인 공기유출이 잇는 경 우에도 폐의 재팽창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흡인 장치를 첨 가하여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②흉강삽관술의 일반적인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a. 단기간의 치료를 필요한 경우
b 20% 이상의 기흉이 있는 경우
c 긴장성 기흉이 있는 경우
d 증상이 잇는 경우
e 반대측 폐에 병변이 있는 경우
f 흉부 X-선 사진상 기흉이 점점 증가하는 경우
(4)화학적 흉막유착술
①지속성 또는 재발성 자연기흉이 있는 경우에는 공기유출 근원적으로 막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흉막을 유착시켜 흉막강을 아예 없애주는 것이 필요 하다. 화학적 흉막유착술이란 이러한 목적으로 흉관이나 흉강경을 통해 화 학약품을 흉막강내에 투여하여 염증을 유발시킴으로써 흉막유착을 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②흉막유착술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으로는 과거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요즘은 활석가루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드물게 퀴나크린, 머스타드질소, 요오드화 오일, 고장성 포도당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 활석가루는 석면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나중 에 중피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석면이 없는 의료용 활석가루를 사용하여야 한다.
(5)수술
①개흉술
A 개흉술 통해 흉막하 소기포를 절제한 다음, 기계적 흉막유착술을 시행 하는 방법이다. 기계적 흉막유착술에는 벽측 흉막을 제거해주는 방법과 흉막을 문질러 자극함으로서 흉막유착을 도모하는 방법의 두가지 방법 이 있다.
B 적응증
1.공기유출이 심해서 폐의 재팽창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
2.공기유출이 7~10일 이상 계속되는 경우
3.같은쪽의 재발성 기흉이 생긴 경우
4.전에 반대측에서 기흉이 생긴 병력이 있는 경우
5.양측에서 동시에 기흉이 생긴 경우
6.흉부 X-선 상에서 보이는 큰 기낭이 있는 경우
7.직업적인 요인이 있는 경우(비행기 조종사, 잠수부, 외딴곳에 사는 사 람)
8.이차성 자연기흉 환자에서 기흉의 원인 자체가 수술적응이 안되는 사 람
9.합병증이 있는 경우(혈흉, 농흉, 만성기흉)
②비디오 흉강경수술
근래에 와서 보다 덜 침습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기흉수술에 비디오 흉강경 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디오 흉강경수술에 의한 자연기흉의 수술은 전 신마취하에 환자를 측와위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