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로그램 신청개요
Ⅱ. 신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Ⅲ. 신청프로그램의 세부내용 및 실시방법
Ⅳ. 사업기대효과
Ⅴ. 프로그램 평가
Ⅱ. 신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Ⅲ. 신청프로그램의 세부내용 및 실시방법
Ⅳ. 사업기대효과
Ⅴ. 프로그램 평가
본문내용
에 자유로운 토론을 한다.
준비
코리더 5명
1-1
부모모임⑤
① 자녀의 성적고민 및 진로상담에 관한 사회복지사와 상담 및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준비 및 진행
부모들만 참석(자녀제외)
2-1
2-2
11회
“가는 거야”
① 함께 응원을 하며 농구관람을 한다.
준비
코리더 5명
2-1
2-2
12회
“앞에서 잡아주고 뒤에서 밀어주고”
① 장애체험을 하며 등산을 한다.
준비 및 진행
코리더 5명
1-1
1-3
부모모임⑥
①부 모모임을 통해 발전된 점이 있었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② 가족관계 문제항목을 체크해 본다.
참관자의 역할
부모들만 참석(자녀제외)
2-1
2-2
13회
“마지막 축제”
① “최강가족”선출하여 가족여행의 기회를 제공한다.
② 프로그램에 대한 자유로운 토의를 한다.
③ 기념촬영
진행자의 역할
사후검사
(척도검사)
※ 인터넷 카페는 수시로 점검을 하며 주요 내용들은 가족 일기를 쓰도록 활용하고, 공지사항 등을 알리는 장이된다.
2. 프로그램 일정표
내용 기간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비고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모든 프로그램은 주말에 이루어짐.
홍보 및 모집
O.T
1회기
2회기
부모모임①
3회기
4회기
부모모임②
5회기
6회기
1박2일
부모모임③
7회기
8회기
부모모임④
9회기
10회기
부모모임⑤
11회기
12회기
부모모임⑥
13회기
Ⅳ. 사업기대효과
1)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격차를 줄 일 수 있다.
2) 가족관계가 증진됨으로써 자녀들의 비행 및 가족해체를 줄 일 수 있다.
3) 가족의 구성원들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Ⅴ. 프로그램 평가
1. 과정평가
1) 참여도
2) 프로그램 과정일지
2. 결과평가
1) 프로그램 만족에 대한 설문지 평가
2)효과성 평가
성과평가
목표1
가족기능강화
목표2
의사소통증진
평가지표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자녀들의 부모에 대한 이해정도
의사소통향상
가족응집력 강화
가족관계의 갈등요인과 문제의 개선
측정도구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척도(부모용)
자녀들의 부모에 대한 이해정도 척도(자녀용)
의사소통척도
가족응집력척도
가족관계의 갈등요인과 문제항목
평가방법
사전사후검사를 하여 인식 및 이해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본다.
척도검사를 통하여 의사소통과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갈등요인과 문제항목을 체크하며 개선 및 해결한다.
준비
코리더 5명
1-1
부모모임⑤
① 자녀의 성적고민 및 진로상담에 관한 사회복지사와 상담 및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준비 및 진행
부모들만 참석(자녀제외)
2-1
2-2
11회
“가는 거야”
① 함께 응원을 하며 농구관람을 한다.
준비
코리더 5명
2-1
2-2
12회
“앞에서 잡아주고 뒤에서 밀어주고”
① 장애체험을 하며 등산을 한다.
준비 및 진행
코리더 5명
1-1
1-3
부모모임⑥
①부 모모임을 통해 발전된 점이 있었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② 가족관계 문제항목을 체크해 본다.
참관자의 역할
부모들만 참석(자녀제외)
2-1
2-2
13회
“마지막 축제”
① “최강가족”선출하여 가족여행의 기회를 제공한다.
② 프로그램에 대한 자유로운 토의를 한다.
③ 기념촬영
진행자의 역할
사후검사
(척도검사)
※ 인터넷 카페는 수시로 점검을 하며 주요 내용들은 가족 일기를 쓰도록 활용하고, 공지사항 등을 알리는 장이된다.
2. 프로그램 일정표
내용 기간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비고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모든 프로그램은 주말에 이루어짐.
홍보 및 모집
O.T
1회기
2회기
부모모임①
3회기
4회기
부모모임②
5회기
6회기
1박2일
부모모임③
7회기
8회기
부모모임④
9회기
10회기
부모모임⑤
11회기
12회기
부모모임⑥
13회기
Ⅳ. 사업기대효과
1)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격차를 줄 일 수 있다.
2) 가족관계가 증진됨으로써 자녀들의 비행 및 가족해체를 줄 일 수 있다.
3) 가족의 구성원들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Ⅴ. 프로그램 평가
1. 과정평가
1) 참여도
2) 프로그램 과정일지
2. 결과평가
1) 프로그램 만족에 대한 설문지 평가
2)효과성 평가
성과평가
목표1
가족기능강화
목표2
의사소통증진
평가지표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자녀들의 부모에 대한 이해정도
의사소통향상
가족응집력 강화
가족관계의 갈등요인과 문제의 개선
측정도구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척도(부모용)
자녀들의 부모에 대한 이해정도 척도(자녀용)
의사소통척도
가족응집력척도
가족관계의 갈등요인과 문제항목
평가방법
사전사후검사를 하여 인식 및 이해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본다.
척도검사를 통하여 의사소통과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갈등요인과 문제항목을 체크하며 개선 및 해결한다.
추천자료
한국 교회의 사회복지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프로그램계획서(프로포져)
사회복지프로그램
사회복지프로그램 기획시 고려사항
빈민구제를 위한 교회의역할,교회사업과 일반사회사업간의차이점,교회가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리(
사회복지프로그램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모형(합리모형,점증모형,혼합관조모형)
유럽(덴마크나 노르웨이, 스웨덴, 프랑스 등) 선진국의 가족복지프로그램 및 정책과 사례, 정...
[유럽(덴마크나 노르웨이, 스웨덴, 프랑스 등) 선진국의 가족복지프로그램 및 정책과 사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