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쾌락원칙을 추구
쾌락원칙과 해탈원칙을 지향하는 이드는 자아의관점에서 보면 자기중심적이고 반사회적이며 파괴적인 충동
좀처럼 변하지 않으며 보수적
이드의 에너지는 상당 부분 자아에 이전 : 이전시킴으로 성욕동을 우회적으로 실천
이드의 에너지를 초자아에게 직접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자아 : 현실원칙
후천적으로 이드로부터 분화된 자아는, 이드와 외부 세계 사이의 관계를 대립과 불일치에서 조화로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 본능욕동들을 외부세계의 요구하는 방식으로 변형하여 분출 혹은 적절상황에서만 직접적 분출을 허용하거나 여건이 안될때는 억압한다.(유기체의 안정된 보존)
자아는 이드, 초자아, 현실의 요구를 두루 충족하여 각각의 욕구들을 서로 화해시킬수 있어야 한다.
제 1기능 : 방어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외부 자극과 내부충동들로부터 개체를 안전하게 보존하고자 한다)
제 2기능
- 조정 : 정신기관들 사의의 대립관계를 조화롭게 조정
- 현실 검증과 통합 : 개체의 안전한 외부 세계 적응을 돕기 위해 외부세계를 가능한 정화하게 인식하고자 한다
- 환상기능 : 외부세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으려 하지만, 다른한편으로 환상을 일으키기도한다.
- 내적 성찰과 언어 소통 : 외부세계를 검증하는 동시에 정신 내면에 대한 성찰을 시도
자아의 구성요소 : 지각조직인 의식에서 출발하며, 지각한 내용의 흔적을 저장하고 있는 전의식을 통합함으로써 형성
- 자아는 관심을 쏟았다가 포기한 대상들이 남긴 침전물, 삶의 과정에서 상실한 대상들의 흔적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외부 대상(현실 세계 속에서 맺는 중요한 대상)에 대한 동일시과정을 거쳐서 형성되고 발달
출생 이후부터 현재까지 경험하고 내면화한 외부 대상들의 영향력을 현재관점에서 반영
이드의 본능욕구와 이를 금지하는 초자아의 엄한 명령, 외부세계의 냉정한 요구사이에서 자아는 갈등을 겪는다
초자아 : 도덕적 원칙
삶의 목표, 양심, 금지 명령, 죄책감 등의 정신현상을 유발하는 가장 인간적이고 문화적인 정실활동
자아에 대해 항상 명령하고 지시하는 상급기관의 역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지속적으로 억압
부모가 미친 유년기의 영향력과, 성장 과정에서 자신이 동일시한 권위 대상의 도덕관점과 규범 요구들이 어떠했는가를 반영
이드속에 저장되어있는 지난 시대의 경험들은 초자아를 거쳐 자아에 전달
긍정적 기능 : 자아에게 자아이상을 제공함으로써, 자아 발달의 촉매제 역할, 도덕원칙에 따라 자아에게 금지명령을 내린다(사회적 현실에 적응하기 위한 필수조건), 원초적 공격성에 대항하는 심리적 힘
부정적 기능 : 융통성의 부족으로 현실환경과 자아의 현상태를 고려하지 못함, 자아에게 오직 승화만을 요구(이때 초자아의 이상적요구가 자아가 감당할수 있는 능력보 다 강할 때 정신의 평형이 위협, 이드의 성욕동과 파괴적 죽음본능은 초자아의 이면에서 자신의 욕구를 교모하게 관철
죄책감 : 초자아에 대한 자아의 불안, 도덕 규범을 벗어나려는 욕망이 과도할 경우 자동적으로 초자아의 문책이 가해져 죄책감 발생
쾌락원칙과 해탈원칙을 지향하는 이드는 자아의관점에서 보면 자기중심적이고 반사회적이며 파괴적인 충동
좀처럼 변하지 않으며 보수적
이드의 에너지는 상당 부분 자아에 이전 : 이전시킴으로 성욕동을 우회적으로 실천
이드의 에너지를 초자아에게 직접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자아 : 현실원칙
후천적으로 이드로부터 분화된 자아는, 이드와 외부 세계 사이의 관계를 대립과 불일치에서 조화로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 본능욕동들을 외부세계의 요구하는 방식으로 변형하여 분출 혹은 적절상황에서만 직접적 분출을 허용하거나 여건이 안될때는 억압한다.(유기체의 안정된 보존)
자아는 이드, 초자아, 현실의 요구를 두루 충족하여 각각의 욕구들을 서로 화해시킬수 있어야 한다.
제 1기능 : 방어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외부 자극과 내부충동들로부터 개체를 안전하게 보존하고자 한다)
제 2기능
- 조정 : 정신기관들 사의의 대립관계를 조화롭게 조정
- 현실 검증과 통합 : 개체의 안전한 외부 세계 적응을 돕기 위해 외부세계를 가능한 정화하게 인식하고자 한다
- 환상기능 : 외부세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으려 하지만, 다른한편으로 환상을 일으키기도한다.
- 내적 성찰과 언어 소통 : 외부세계를 검증하는 동시에 정신 내면에 대한 성찰을 시도
자아의 구성요소 : 지각조직인 의식에서 출발하며, 지각한 내용의 흔적을 저장하고 있는 전의식을 통합함으로써 형성
- 자아는 관심을 쏟았다가 포기한 대상들이 남긴 침전물, 삶의 과정에서 상실한 대상들의 흔적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외부 대상(현실 세계 속에서 맺는 중요한 대상)에 대한 동일시과정을 거쳐서 형성되고 발달
출생 이후부터 현재까지 경험하고 내면화한 외부 대상들의 영향력을 현재관점에서 반영
이드의 본능욕구와 이를 금지하는 초자아의 엄한 명령, 외부세계의 냉정한 요구사이에서 자아는 갈등을 겪는다
초자아 : 도덕적 원칙
삶의 목표, 양심, 금지 명령, 죄책감 등의 정신현상을 유발하는 가장 인간적이고 문화적인 정실활동
자아에 대해 항상 명령하고 지시하는 상급기관의 역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지속적으로 억압
부모가 미친 유년기의 영향력과, 성장 과정에서 자신이 동일시한 권위 대상의 도덕관점과 규범 요구들이 어떠했는가를 반영
이드속에 저장되어있는 지난 시대의 경험들은 초자아를 거쳐 자아에 전달
긍정적 기능 : 자아에게 자아이상을 제공함으로써, 자아 발달의 촉매제 역할, 도덕원칙에 따라 자아에게 금지명령을 내린다(사회적 현실에 적응하기 위한 필수조건), 원초적 공격성에 대항하는 심리적 힘
부정적 기능 : 융통성의 부족으로 현실환경과 자아의 현상태를 고려하지 못함, 자아에게 오직 승화만을 요구(이때 초자아의 이상적요구가 자아가 감당할수 있는 능력보 다 강할 때 정신의 평형이 위협, 이드의 성욕동과 파괴적 죽음본능은 초자아의 이면에서 자신의 욕구를 교모하게 관철
죄책감 : 초자아에 대한 자아의 불안, 도덕 규범을 벗어나려는 욕망이 과도할 경우 자동적으로 초자아의 문책이 가해져 죄책감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