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책소개
II. 저자 소개
III. 책 내용의 분석
1. 우리마을 우리푸드
2. 생태환경을 고려한 미국의 커뮤니티 계획 사례
3. 우드랜즈의 생태환경(Woodlands, Texas)
4. 우드랜즈(Woodlands) 개발과 생태환경 보존의 노력
5. 이상적인 주거지역
6.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계획을 위한 노력
1) 경제적 자립성
2) 사회적 자립성과 다양한 문화행사
3) 건설 중인 타운 센터
Ⅳ. 감상평
II. 저자 소개
III. 책 내용의 분석
1. 우리마을 우리푸드
2. 생태환경을 고려한 미국의 커뮤니티 계획 사례
3. 우드랜즈의 생태환경(Woodlands, Texas)
4. 우드랜즈(Woodlands) 개발과 생태환경 보존의 노력
5. 이상적인 주거지역
6.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계획을 위한 노력
1) 경제적 자립성
2) 사회적 자립성과 다양한 문화행사
3) 건설 중인 타운 센터
Ⅳ. 감상평
본문내용
로 심각해지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지금 당장의 삶에는 문제가 없을지 모르나, 현재와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후대 인류의 삶이 위험에 처하리란 점은 분명하다. 그렇기에 곳곳에서 환경을 생각하는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아직 미약한 움직임이긴 하나, 이러한 움직임이 널리 퍼져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잡는다면 이야기는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의 탄생을 가능케 만들어 준 이타카 에코빌리지는, 책의 표지에도 적혀 있듯 ‘자연과 문명이 조화를 이룬 생태마을’이다. 발전만을 중시하는 주류에 반기를 든, 어찌 보면 다분히 반항적(?)인 기질로 그득한 사람들이 모여 만든 이 마을은 건설 10년이 넘은 현재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마을이 지금과 같은 모습이었던 것은 아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과정은 언제나 고통을 수반함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본래 함께 모여 살지 않던, 전혀 알지도 못하던 사람들이 오로지 흡사한 생각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한 곳에 모였으니 긴장과 갈등이 있으리라는 건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그리고, 아무리 주류를 거부한다 하여도 재산권이라는 사회 제도마저도 거부할 순 없었기에, 이타카를 건설하는 내내 사람들은 돈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야만 했다. 공동체란 말을들으면 뭔가 따뜻한 온기를 느끼는듯 하다. 뜻을 같이한 사람이 모여사는 공간과 사람들의 집단을 가리키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여기 이 공동체를 들여다 보면서 느끼는것은 우리 옛마을과 별반 다를게 없을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이처럼 지속가능한 문명을 위한 동지적의식에서 모여 생태에 맞는 마을을 만든것과, 아예 처음부터 지속가능한 형태의 농작을하였던 우리 시골마을과 차이가 별로 없다는데 있다. 잇다면 이타카는 새롭게 다시 시작하였다는것이고, 우리 옛마을들을 그런것쯤은 아예 생각도 안하지만 이미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있다는데 있다
우리마을이 우릴 살린다. 지금 농촌문제를 떠드는 사람은 이미 소수이다. 어쩔수없는 현상따위로 여긴지 오래이다. 해결책이 없다고 치부해버리는듯하다. 우리 옛마을, 시골마을들이 해체되어간다. 그 마을에 촌노들의 경로당만 있고, 아이의 울음소리도 끓어진지 오래이다. 그러나 여기 생태환경에 적합하려 무수한 돈을 투자한 이마을에 못지않은게 우리들의 시골마을이다. 비료나 농약주지않고 농사짓기만 할 수 있다면 이들보다 더한 지속가능한 문명에 가깝다. 즉 꺼꾸로 외국의 공동체를 빌려오는게 아니라, 우리의 옛마을들에다 공동체의 정신을 심는게 더 빠르고 확실한 길이다
아파트에서의 삶이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분명 아파트는 편리하다. 하지만 편리함을 담보로 우리는 무엇을 잃었던가? 나만 해도 옆집에 누가 사는지 잘 알지 못하며, 굳이 알려고 하질 않는다. 나는 나요, 남은 남일 뿐이라는 사고가 팽배해 있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화려한 문명에도 불구하고 외롭다. 네온 사인의 번쩍거림이 더해갈수록 우리가 느끼는 외로움의 농도도 더욱 짙어만 간다.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해야만 하는 유대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타카의 사람들이 건설한 것은 다름 아닌 ‘인간성’이지 않나 한다. 직접 몸을 움직여 자신이 살 집을 세우고 자신이 먹을 식물을 재배하는 못지 않게 이 점은 주목 받아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자연의 많은 부분이 성장을 위해 파괴되고 있으며, 많은 인간들은 이를 ‘발전’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파괴한 것은 비단 자연뿐이 아니다. 나무 한 그루가 베어질 때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내고 있으며, 산이 붉은 밑둥을 드러낼 때마다 우리는 인간다운 삶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책의 탄생을 가능케 만들어 준 이타카 에코빌리지는, 책의 표지에도 적혀 있듯 ‘자연과 문명이 조화를 이룬 생태마을’이다. 발전만을 중시하는 주류에 반기를 든, 어찌 보면 다분히 반항적(?)인 기질로 그득한 사람들이 모여 만든 이 마을은 건설 10년이 넘은 현재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마을이 지금과 같은 모습이었던 것은 아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과정은 언제나 고통을 수반함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본래 함께 모여 살지 않던, 전혀 알지도 못하던 사람들이 오로지 흡사한 생각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한 곳에 모였으니 긴장과 갈등이 있으리라는 건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그리고, 아무리 주류를 거부한다 하여도 재산권이라는 사회 제도마저도 거부할 순 없었기에, 이타카를 건설하는 내내 사람들은 돈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야만 했다. 공동체란 말을들으면 뭔가 따뜻한 온기를 느끼는듯 하다. 뜻을 같이한 사람이 모여사는 공간과 사람들의 집단을 가리키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여기 이 공동체를 들여다 보면서 느끼는것은 우리 옛마을과 별반 다를게 없을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이처럼 지속가능한 문명을 위한 동지적의식에서 모여 생태에 맞는 마을을 만든것과, 아예 처음부터 지속가능한 형태의 농작을하였던 우리 시골마을과 차이가 별로 없다는데 있다. 잇다면 이타카는 새롭게 다시 시작하였다는것이고, 우리 옛마을들을 그런것쯤은 아예 생각도 안하지만 이미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있다는데 있다
우리마을이 우릴 살린다. 지금 농촌문제를 떠드는 사람은 이미 소수이다. 어쩔수없는 현상따위로 여긴지 오래이다. 해결책이 없다고 치부해버리는듯하다. 우리 옛마을, 시골마을들이 해체되어간다. 그 마을에 촌노들의 경로당만 있고, 아이의 울음소리도 끓어진지 오래이다. 그러나 여기 생태환경에 적합하려 무수한 돈을 투자한 이마을에 못지않은게 우리들의 시골마을이다. 비료나 농약주지않고 농사짓기만 할 수 있다면 이들보다 더한 지속가능한 문명에 가깝다. 즉 꺼꾸로 외국의 공동체를 빌려오는게 아니라, 우리의 옛마을들에다 공동체의 정신을 심는게 더 빠르고 확실한 길이다
아파트에서의 삶이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분명 아파트는 편리하다. 하지만 편리함을 담보로 우리는 무엇을 잃었던가? 나만 해도 옆집에 누가 사는지 잘 알지 못하며, 굳이 알려고 하질 않는다. 나는 나요, 남은 남일 뿐이라는 사고가 팽배해 있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화려한 문명에도 불구하고 외롭다. 네온 사인의 번쩍거림이 더해갈수록 우리가 느끼는 외로움의 농도도 더욱 짙어만 간다.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해야만 하는 유대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타카의 사람들이 건설한 것은 다름 아닌 ‘인간성’이지 않나 한다. 직접 몸을 움직여 자신이 살 집을 세우고 자신이 먹을 식물을 재배하는 못지 않게 이 점은 주목 받아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자연의 많은 부분이 성장을 위해 파괴되고 있으며, 많은 인간들은 이를 ‘발전’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파괴한 것은 비단 자연뿐이 아니다. 나무 한 그루가 베어질 때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내고 있으며, 산이 붉은 밑둥을 드러낼 때마다 우리는 인간다운 삶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식자재마케팅 사례연구 (CJFS,아워홈,삼성에버랜드,신세계푸드를 중심으로)
국내 환경친화적(친환경) 건축사례 - 무주 구름샘 마을
우리금융지주(우리은행) 기업분석
We Start 운동(위스타트 마을, 사업소개, 추진분야, 조직운영, 홍보와 문제점, 토론회, 사례,...
4학년)도덕-4.우리가지키는푸른별-자연속의 나와 우리
[학교교육][미국의 학교교육 사례][학교교육의 제고 방안]학교교육의 목적, 학교교육의 수준,...
직장인을 위한 웰빙 패스트 푸드 사업계획서 및 창업계획서[A+ 평가 레포트★★★★★]
[사업계획서] 전통찻집(한옥마을의 전통분위기를 이용한 전통찻집) - 다모
초등6)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 4. 우리학교 우리고장 (도덕57-62쪽 (2/3)차시) : 학교...
55,서양도시계획사,미국도시계획사,미국도시계획,지역계획,도시미화운동,근린주구이론,미국지...
100,서양도시계획사,초기미국도시계획,지역계획,대도시권계획,도시미화운동,페리,근린주구,지...
[미국 교육정보화][IT교육]미국 교육정보화의 평가, 미국 교육정보화의 기반구축, 미국 교육...
지역사회개발의 개념 및 특성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역사회개발 사례를 소개. -...
[기업회계][기업회계 미국 사례][기업회계 주가영향]기업회계의 의의, 기업회계의 제정,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