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향기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 같기도 하다. 여인의 향기를 보면서 가장 크게 두 가지를 느낄 수 있었다. 첫째는 주인공인 프랭크의 심리 상태였다. 그는 다른 사람의 생각은 하지 않은채 자기 자신을 자신이 만들어낸 어둠 속으로 내몰고 있다. 어둠 속에서 빠져 나오려 하기 보다는 오히려 더욱더 깊은 어둠으로 빠뜨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프랭크의 행동도 찰스를 만나면서 바뀌어 간다. 진정으로 믿고 좋아할 만한 사람이 나타난 것이었기 때문이다. 둘째는 특수교사로서 나의 자세이다. 여기서 나오는 찰스는 처음에는 선입관을 가지고 프랭크를 주시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갈수록 프랭크의 내면을 들여다본다. 여기서 나는 특수교사는 맘과 맘을 열고 함께 장애인들과 함께 생각하고 행동 해야겠다고 느꼈다. 또한 이러한 생각이 장애아동들에게 인격적 감화를 주어 자신을 좀 더 소중하게 여기고 자신의 자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가 되었으면 했고 꼭 특수 교사 뿐만 아니고 일반 시민들이 보다 더 넓은 시야로서 주위에 도움을 기다리는 장애인들에게 먼저 한발 다가가서 따뜻한 손길과 열린 마음으로 장애인들과 보다 더 더불어 가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추천자료
장애인의 성에 관한 고찰
지체장애인(지체 장애아동의 특성과 심리)
(의무고용제) 장애인의 취업 및 장애인 고용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청각장애인...
장애인과 관련된 이슈 – 장애인의 삶(성)의 의의와 문제 및 개선안을 설명한다
장애인의 성생활에 관하여
[시청각장애인 복지] 시청각 장애인이 방송 시청 어려움 원인과 그에 대한 대책
장애인의 권리, 장애인의 性 문제
중복장애인에 문화생활
장애인의 性, 현실과 사례연구
장애인가족의 현황 및 지원서비스와 대책
장애인범죄와 교정복지
[장애인 복지론] 장애인 독립 위해 법제도를 실생활에 맞게 변경 적용.
장애인 성교육 부제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