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적\" 이란 어휘는 \"사람이 말할 때 말하는 그 사람의 사상이나 감정보다는 그 외적인 것과의 양쪽, 그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편견없이 사실대로 나타내는 일반적인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 교육의 표준은 성경이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은 절대적 권위가 있다. 이런 절대적 권위를 예수님께서 마24:35에 \"천지는 없어지겠으나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고 말씀하셨다. 즉 기독교 교육은 이런 절대적인 성경권위에 기초하고 있다. 기독교 교육에 헌신하는 교사들이 그 성경을 가르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3)생활 훈련
\"지키게 하라\" 즉 생활 훈련이 세 번째의 교육 목표이다. 우리는 인간 사회에 살고 있다. 사람들은 자기 본위로 살고 있는 까닭에 자신들을 신격화시키고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이 사는 사회를 중요시하는 사람들 중에는 사회주의를 매우 중요시하며 강조하고 있다. 이 문제는 일반 교육목표의 중요한 요소 이다. 기독교 교육은 사회적응에 대한 목표가 일반 교육에서의 주장과는 판이하게 다른 것이다.
일반 교육은 사회가 주체가 되어 인간이 그것에 적응해야 한다. 즉 사회에 비위를 맞추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진리 자체도 사회환경과 분위기와 상황에 따라 변해진다. 그렇다면 만고불변의 절대적인 진리인 성경이 사회의 환경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해야 된다.
그러므로 성경의 기초위에 있는 기독교 교육은 일반 교육의 교육 목표와 달리 적응이라는 말보다는 훈련이라는 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훈련은 진리에 따라 살도록 생활지도하는 것이다. 그것은 사회에 적응시키는 것보다 진리에 적응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빛 자체가 그 본질인 밝음을 그대로 산 위에 세운 등대와 같이 사면에 비춰야 됨을 뜻한다.
예수님께서 \"나는 세상의 빛이라\"(요8:12)고 하셨으며 또 우리에게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마5:14)고 말씀하셨다. 빛의 역할을 잘 하려면 우리에겐 훈련이 필요하다. 훈련이란 말씀에 따라 사는 순종을 뜻하며 말씀에 순종하여 주님의 본을 따라 행하는 과정이다. 이런 생활지도가 기독교 교육 목표의 중요한 부분이다. 주님께서는 12제자들과 3년 동안 동거 동락하여 언어 행동 제반에 따르는 생활을 실제로 인도하셨다.
우리 교사들도 주님의 본을 따르는 삶을 보여주면서 성경말씀에 순종하는 생활, 겸손한 생활, 봉사생활, 헌신생활 등의 실천과 함께 학생들을 잘 지도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은 세상에 속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하나님 나라에 속하여 있다. 그래서 교사들은 \"마땅히 행할 일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 길을 떠나지 아니하리라\"(잠22:6)는 말씀대로 배움에 있는 자들에게 부지런히 계명을 지키는 생활을 지도해야 된다. 마땅히 행할 바라는 것은 신명기 6:6-7에 있는 말씀대로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여호와 하나님을 잘 섬기게 하는 것이다. 여호와를 잘 섬긴다는 것은 교회 출석을 잘하게 하며 기도생활, 성경 읽기, 전도, 교회 봉사, 사회봉사를 잘하게 하는 것이다.
기독교 교육의 표준은 성경이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은 절대적 권위가 있다. 이런 절대적 권위를 예수님께서 마24:35에 \"천지는 없어지겠으나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고 말씀하셨다. 즉 기독교 교육은 이런 절대적인 성경권위에 기초하고 있다. 기독교 교육에 헌신하는 교사들이 그 성경을 가르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3)생활 훈련
\"지키게 하라\" 즉 생활 훈련이 세 번째의 교육 목표이다. 우리는 인간 사회에 살고 있다. 사람들은 자기 본위로 살고 있는 까닭에 자신들을 신격화시키고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이 사는 사회를 중요시하는 사람들 중에는 사회주의를 매우 중요시하며 강조하고 있다. 이 문제는 일반 교육목표의 중요한 요소 이다. 기독교 교육은 사회적응에 대한 목표가 일반 교육에서의 주장과는 판이하게 다른 것이다.
일반 교육은 사회가 주체가 되어 인간이 그것에 적응해야 한다. 즉 사회에 비위를 맞추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진리 자체도 사회환경과 분위기와 상황에 따라 변해진다. 그렇다면 만고불변의 절대적인 진리인 성경이 사회의 환경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해야 된다.
그러므로 성경의 기초위에 있는 기독교 교육은 일반 교육의 교육 목표와 달리 적응이라는 말보다는 훈련이라는 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훈련은 진리에 따라 살도록 생활지도하는 것이다. 그것은 사회에 적응시키는 것보다 진리에 적응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빛 자체가 그 본질인 밝음을 그대로 산 위에 세운 등대와 같이 사면에 비춰야 됨을 뜻한다.
예수님께서 \"나는 세상의 빛이라\"(요8:12)고 하셨으며 또 우리에게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마5:14)고 말씀하셨다. 빛의 역할을 잘 하려면 우리에겐 훈련이 필요하다. 훈련이란 말씀에 따라 사는 순종을 뜻하며 말씀에 순종하여 주님의 본을 따라 행하는 과정이다. 이런 생활지도가 기독교 교육 목표의 중요한 부분이다. 주님께서는 12제자들과 3년 동안 동거 동락하여 언어 행동 제반에 따르는 생활을 실제로 인도하셨다.
우리 교사들도 주님의 본을 따르는 삶을 보여주면서 성경말씀에 순종하는 생활, 겸손한 생활, 봉사생활, 헌신생활 등의 실천과 함께 학생들을 잘 지도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은 세상에 속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하나님 나라에 속하여 있다. 그래서 교사들은 \"마땅히 행할 일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 길을 떠나지 아니하리라\"(잠22:6)는 말씀대로 배움에 있는 자들에게 부지런히 계명을 지키는 생활을 지도해야 된다. 마땅히 행할 바라는 것은 신명기 6:6-7에 있는 말씀대로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여호와 하나님을 잘 섬기게 하는 것이다. 여호와를 잘 섬긴다는 것은 교회 출석을 잘하게 하며 기도생활, 성경 읽기, 전도, 교회 봉사, 사회봉사를 잘하게 하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설화신학과 기독교교육
간주관성과 기독교교육
종교심리와 기독교교육을 읽고
어거스틴의 기독교교육론 서평
수치심과 기독교교육
뇌이론과 기독교교육
이야기를통한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한국 교회 에큐메니칼운동의 역사 - 대한제국시기, 일제의 식민지배시기, 1950년...
[기독교교육심리] 브루너(Jerome S. Bruner)의 「발견 학습 이론」에 대한 이해 (학습이론)
[기독교교육심리] 심리사회 발달 이론을 체계화한 에릭슨(에릭손/Erik Erikson)은 어떤 사람...
[기독교Christian교육심리]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의 이해(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
[기독교基督敎교육심리]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 6단계에 대한 이해
[기독교교육심리] 피아제(Jean Piaget)의 생애와 인지발달(Cognitive Development) 이론의 핵...
[기독교교육심리]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단계별 이해 (1.유아기, 2.초기 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