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망막
2. 망막박리
(1) 정의
(2) 출현
(3) 발병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예후
(8) 예방
2. 망막박리
(1) 정의
(2) 출현
(3) 발병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예후
(8) 예방
본문내용
특히 수술 후 수일간은 절대안정이 필요하다. 양안에 안대를 부착하고 누워있는 것이 좋으며 안구 내에 공기나 가스를 넣은 경우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머리위치를 유지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엎드린 자세가 필요하다.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도 수술 후 2개월, 길게는 6개월 내에 망막의 재박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7. 망막박리의 예후
대부분의 망막박리의 수술 성공률은 80% 이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망막의 재유착을 위하여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성공적으로 망막의 재유착이 이루어지면 어느 정도의 시력이 회복되고 실명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도 시력을 회복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작용하며 약 6개월간의 시일이 소요된다. 망막박리가 중심시력에 관여하는 황반부의 박리를 동반하였거나 오랜 시일이 경과한 망막박리의 경우는 수술 후의 시력회복이 좋지 않다. 망막의 재유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시력을 잃게 되고 안구가 위축되기도 한다.
8. 망막박리의 예방
앞서 말한 증상이 있는 환자는 즉시 안과 전문의에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특히 고도근시가 있거나 망막박리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하여 망막과 유리체의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망막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출처>
http://medcity.com/jilbyung/mangbakri.html
www.yakup.com/pharminfo/pharminfo2006-09-01.php
http://kimeye.com/infor/inf_rei.asp
7. 망막박리의 예후
대부분의 망막박리의 수술 성공률은 80% 이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망막의 재유착을 위하여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성공적으로 망막의 재유착이 이루어지면 어느 정도의 시력이 회복되고 실명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도 시력을 회복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작용하며 약 6개월간의 시일이 소요된다. 망막박리가 중심시력에 관여하는 황반부의 박리를 동반하였거나 오랜 시일이 경과한 망막박리의 경우는 수술 후의 시력회복이 좋지 않다. 망막의 재유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시력을 잃게 되고 안구가 위축되기도 한다.
8. 망막박리의 예방
앞서 말한 증상이 있는 환자는 즉시 안과 전문의에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특히 고도근시가 있거나 망막박리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하여 망막과 유리체의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망막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출처>
http://medcity.com/jilbyung/mangbakri.html
www.yakup.com/pharminfo/pharminfo2006-09-01.php
http://kimeye.com/infor/inf_rei.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