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옵션거래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변동성이 클수록 옵션의 가치는 올라간다
- 옵션의 손실은 옵션 프리미엄에 한정되는 반면 이득은 전부 얻을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동성이 클수록 만기 이전에 옵션의 기준물 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높아질 가능성(콜-옵션) 또는 낮아질 가능성(풋-옵션)이 크다
3) 만기까지 남은 기간
옵션은 만기까지 남은 기간이 줄수록 그 가치는 낮아지게 된다
- 만기까지 남은기간이 줄어들수록 옵션 보유자에게 유리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옵션의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간가치는 점차 줄어들어 만기 직전에는 0이 되고 내재가치만 남게 된다)
7. 옵션(OPTION)과 헤지(Hedge)
1. 옵션(OPTION)계약의 유형
2. 옵션(OPTION)의 이익관계
1) 가격이 상승할때 이익 : 콜옵션
2) 가격이 하락할때 이익 : 풋옵션
3. 단순투기거래
1) 콜옵션 매입(Long call)
콜옵션의 매입(Long call)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적지 않게 상승할 것을 기대하면서도 혹시 발생할 수 있는 가격하락의 위험에 대비하는 전략으로서 가격하락시 최대 손실수준을 사전에 일정 수준(지급프리미엄)으로 확정시켜 놓을 수 있다. 이익은 기초물가격에 비례하여 이론적으로 무제한이다. 어떤 주식에 대해 행사가격 60원의 콜옵션을 4원의 프리미엄을 내고 사는 경우 이익을 볼 수 있는 조건은 만기시 기초물가격이 64원을 넘게 나타나야 한다.
2) 콜옵션 매도(Short call)
이 전략은 기초자산 가격이 큰 변화가 없거나 하락할 것이 예상될때 프리미엄의 수입을 목적으로 하게된다. 이 수입은 기초물가격의 변동과 무관하게 사전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최대이익 수준이 사전에 정해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상이 틀려 기준물가격이 상승하여 손실이 발생할 때는 그 크기는 기준물가격에 비례하여 이론적으로는 무제한이라는 무한의 위험을 갖는다. 의무이행의 담보로서 일정수준의 증거금(margin)을 예치하여야 한다
3) 풋옵션 매입(Long put)
기초자산의 가격이 적지 않게 하락할 것을 기대하면서도 예상외로 발생 할 수 있는 가격상승에대처하는 방안으로서 가격상승시의 최대손실수준을 사전에 일정수준(지급프리미엄)으로 고정시켜 놓게 해준다. 이익은 기초물가격이 떨어질수록 커지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기초물가격이 0이 될때 최대이익(행사가격-지급프리미엄)이 생긴다
4) 풋옵션 매도(Short put)
기초물가격의 별 변화가 없거나 다소 상승 할 것이 예상될때 프리미엄의 수입을 목적으로 택하여 가능한 최대수입을 사전에 확정지우며, 손실은 기초물가격의 하락에 비례하여 커지며 최대손실은 이론적으로 기초물가격이 0이 될때 발생한다. 이익을 볼 조건은 만기이전의 경우 옵션의 프리미엄이 매도시보다 떨어지는 것이며,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는 풋옵션의 내재가격이 매도가격보다 낮아지는 것이다.
4. 합성포지션 거래
1) 합성풋매입(protective call)
기초자산을 보유한 상태에서 해당 풋옵션을 구입하면 단순히 콜옵션만을 매입하는 경우와같은 손익구조를 보이며 이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는 기초자산가격 상승시 그 상승이익은 고스란히 얻게되며 손실은 단지 옵션의 소멸에 따른 프리미엄 지출액에 불과하다. 무한의 이익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a점을 b점으로 이동시켜주는 대신 무한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지출프리미엄으로 한정
2) 합성풋매도(covered call)
기초자산 보유자가 해당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서 기초자산가격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질때 그 손실액을 줄일수 있게 해준다. 옵션매도로 수입을 올린 상태에서 기초자산가격이 콜옵션의 행사가격 이하로 떨어질 경우 옵션은 소멸되어 프리미엄수입과 그에 따른 이자수입까지 합친 수입이 기초자산에서의 손실을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기초자산의 시장 전망면에서 이 전략은 앞의 합성콜 대비하여 보합세를 예상할 때 또는 강세의 경우도 그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약세 때도 그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적게 전망될때 효과를 낼수 있는 전략이다
3) 합성풋매입(protective call)
미래의 일정시점이나 기간에 특정현물을 매입할 예정에 있을때 해당 콜옵션을 매입하면 현물구입시 실제로 가격이 올라 옵션의 행사가격을 넘어설 경우 옵션을 행사함으로써 현물에서 입는 손실을 옵션에서의 이익으로 상쇄시킬수 있게 된다. 이 전략의 손익구조는 형태면에서는 단순히  풋옵션 을 매입하는 것과 동일하다. 현물의 미래 시장 전망에 있어서는 다음의 풋옵션 매도전략을 감안하여 이 전략은 가격변동폭이 상대적으로 클 확률이 높다고 판단될 때 효과적이다
4) 합성콜매도(covered put)
미래에 보유할 기초자산의 가격상승위험에 대비해서 풋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데, 가격상승이옵션의 행사가격을 초과할 경우 옵션은 소멸되어 당사자는 옵션프리미엄과 거기서 발생한 이자를 합친 수입을 얻게 되며, 이는 기초자산에서 입는 손실을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준다. 그러나 가격상승폭이 확대될때 헤지의 효과는 줄어들게 된다. 기초자산의 가격전망에 관해서는 합성풋매입과 대조적으로 가격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적을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5. 극단적 사례
1) 가격이 극단적으로 변할것으로 예상할 때
어제 밤에 꿈에 돌아가신 할머니께서 원/달러환율이 급결하게 변할것이라고 말씀하시고는꿈이 깼다. 상승할것인지 아니면 하락할것인지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변한다고 하셨으니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때 이익이 나는 콜옵션 매입, 하락할때 이익이 나는 풋옵션을 동시에 매입하는 전략을 세우면 검은색 손익그래프가 그려진다 이때 가격이 급격히 상승, 하락하면 모두 이익이지만 변하지 않으면 옵션프리미엄만큼 손해가 발생한다
2) 2) 가격이 지속적으로 변하지 않을것으로 예상할 때
어제 밤에 꿈에 돌아가신 할머니께서 원/달러환율이 아주 안정적으로 유지될것이라고 말씀하시고는 꿈이 깼다. 가격변동이 없을것이라고 하셨으니 이때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콜옵션과 풋옵션을 모두 매도하면 가격변화가 없으면 옵션 프리미엄만큼 이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게 되면 막대한 손실을 보게 된다.

키워드

경제,   경영,   노트,   필기,   옵션,   선물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4.27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7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