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환경교육에 관한 서설
★ 환경 교육의 정의
★★ 환경 교육의 접근 방법
★★★ 환경 교육의 원칙
★ 환경 교육의 정의
★★ 환경 교육의 접근 방법
★★★ 환경 교육의 원칙
본문내용
and Learning, David Job, 1996, pp.31-32.에서 인용
★★★ 환경 교육의 원칙
1)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을 포함한 환경에 대한 통체성(totality)-다양한 관점(정치적경제적자 연적지리적생물학적사회학적윤리적정신적역사적기술적법률적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환경 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취학전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형태의 형 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을 통해 계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3) 전체적이고(holistic) 균형잡힌 관점에서 환경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특수한 내용과 접근을 시 도함에 있어 각각의 학문들 사이에 교류가 있어야 한다.
4) 환경 문제의 해결과 해결을 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5) 학습자가 경험을 익히고 계획하는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결과를 받아들이고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6) 현재와 잠재적인 환경적 상황에 대하여 초점을 두어야 한다.
7) 환경의 발전과 향상을 위한 계획을 구안하는데 환경적 상황을 명료하게 고려해야 한다.
8)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증진시켜야 한다.
9) 학습자들이 지리적 영역안에서 환경적 조건을 통찰할 수 있도록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 관점에서 환 경 이슈를 점검해야 한다.
10)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으로 이슈가 논의되고 있는 주제들과 관련지어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11) 모든 차원에서의 환경적 감수성, 지식, 문제 해결과 가치를 관련지어야 한다.
12) 환경 문제의 복잡성과 문제 해결 기술, 결정적 사고를 증진시키기 위한 강조를 해야 한다.
13) 실제적 행동과 첫 경험에 강조를 두고 있기 때문에 교수 - 학습이 이루어지는데 있어 다양한 교수 의 접근과 환경 학습을 이용해야 한다.
→ 출처 : UNESCO, 1990, Sourcebook in Enviromental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p.12.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환경 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환경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의 고양을 통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가치, 신념, 태도, 윤리를 갖게 하고, 나아가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의사결정과 실천적 활동을 이끌어 내려는 교육적인 활동으로 볼 수 있다.
★★★ 환경 교육의 원칙
1)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을 포함한 환경에 대한 통체성(totality)-다양한 관점(정치적경제적자 연적지리적생물학적사회학적윤리적정신적역사적기술적법률적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환경 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취학전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형태의 형 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을 통해 계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3) 전체적이고(holistic) 균형잡힌 관점에서 환경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특수한 내용과 접근을 시 도함에 있어 각각의 학문들 사이에 교류가 있어야 한다.
4) 환경 문제의 해결과 해결을 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5) 학습자가 경험을 익히고 계획하는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결과를 받아들이고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6) 현재와 잠재적인 환경적 상황에 대하여 초점을 두어야 한다.
7) 환경의 발전과 향상을 위한 계획을 구안하는데 환경적 상황을 명료하게 고려해야 한다.
8)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증진시켜야 한다.
9) 학습자들이 지리적 영역안에서 환경적 조건을 통찰할 수 있도록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 관점에서 환 경 이슈를 점검해야 한다.
10)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으로 이슈가 논의되고 있는 주제들과 관련지어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11) 모든 차원에서의 환경적 감수성, 지식, 문제 해결과 가치를 관련지어야 한다.
12) 환경 문제의 복잡성과 문제 해결 기술, 결정적 사고를 증진시키기 위한 강조를 해야 한다.
13) 실제적 행동과 첫 경험에 강조를 두고 있기 때문에 교수 - 학습이 이루어지는데 있어 다양한 교수 의 접근과 환경 학습을 이용해야 한다.
→ 출처 : UNESCO, 1990, Sourcebook in Enviromental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p.12.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환경 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환경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의 고양을 통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가치, 신념, 태도, 윤리를 갖게 하고, 나아가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의사결정과 실천적 활동을 이끌어 내려는 교육적인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교육심리(교육환경과 교사)
교육심리 교육환경과 교사
[브라질][브라질 교육환경][브라질 주요도시][브라질 삼바축제][브라질 환경도시 꾸리찌바][...
다문화교육, 평화교육, 환경교육에 대해 논하시오.
[환경교육론]환경 매트릭스 (환경문제,자연 환경,환경 운동,환경 보호등 내용정리,분석)
특수학교(장애인교육, 특수교육)의 교육환경과 교육과정, 특수학교(장애인교육, 특수교육)의 ...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인성교육, 초등학교...
초등학교(초등교육) 범교과학습 민주시민교육과 안전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 범교과학습 통...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학습의 인성교육과 통일교육,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학습의 민주시민...
홀리스틱교육의 특징, 홀리스틱교육의 역사, 홀리스틱교육의 기본방침, 홀리스틱교육과 열린...
게젤(Gesell)의 성숙이론과 몬테소리(Montessori)의 민감기 이론 - 성숙의 개념, 발달의 원리...
교육(敎育)의 사회적 기초 (교육과 사회학의 관계, 사회이론과 교육, 교육의 사회적 기능,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