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북한의 교육
1) 북한 교육의 방향
2) 북한 교육의 분석
2. 북한의 교육제도
1) 학 제
2) 무상교육제
(1) 보통교육
① 초등 의무교육
② 중등 의무교육
③ 11년간 의무교육
(2) 고등교육
3) 특수교육제
(1) 특기자교육
(2) 사범교육
3. 북한의 교육내용
4. 북한의 교육방법
참고자료
1. 북한의 교육
1) 북한 교육의 방향
2) 북한 교육의 분석
2. 북한의 교육제도
1) 학 제
2) 무상교육제
(1) 보통교육
① 초등 의무교육
② 중등 의무교육
③ 11년간 의무교육
(2) 고등교육
3) 특수교육제
(1) 특기자교육
(2) 사범교육
3. 북한의 교육내용
4. 북한의 교육방법
참고자료
본문내용
'긍정적 학습법'을 장려하고 인내력, 지구력, 자발심을 고취·함양할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집단주의 교육방법 뿐 아니라 이의 실천이나 생산활동과의 결합도 중요시한다. 학생에게 공부만 시키면'머저리 인테리','양반 인테리'가 되기 때문에 노동을 시킴으로써 사상을 개조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또'산지식을 가르친다'는 명분으로 학생들을 수시로 생산노동에 동원하거나 혹은 집체적 군사훈련에 참여시키고 있다. 결국 이같은 북한의 집단주의적 획일적 교육방법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퇴화시키거나 외부환경에 자율적·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약화시킨다. 왜냐하면 어떤 인간이든 집단과 조직에 대한 집착이 강할수록 개인의 독창성과 자율성은 위축되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과 훈련에서 지나친 획일성의 요구는 비인간화 현상을 초래한다. 집단주의원칙에 입각한 교육은 조건반사적인 인간, 수동적·기계적 인간을 양성할 뿐이다.
참고문헌
http://ipcp.edunet4u.net/%7Eteacher14/index.htm
김형찬 등, '북한의 교육', (서울 : 을유문화사, 1990)
이향규, '북한 과학기술자의 양성', [과학문화연구센터 2001년도 연구논문집] (2002)
참고문헌
http://ipcp.edunet4u.net/%7Eteacher14/index.htm
김형찬 등, '북한의 교육', (서울 : 을유문화사, 1990)
이향규, '북한 과학기술자의 양성', [과학문화연구센터 2001년도 연구논문집] (2002)
추천자료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와 <춘향전>에 대해 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북한 예술의 특징과 사례분석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한국의사회와문화] 『새터민의 문화적 갈등』에 대하여
[북한의사회와경제]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북한의 언어관][북한의 언어맞춤법][북한의 언어교육][북한의 언어정책][남한의 언어정책][...
1990년대 북한 연극과 성황당 연구
문화적 상대주의 담론이 국제인권규범에서 유효한가
남북교류협력과 문화 및 학술교류협력, 사회문화교류협력, 남북교류협력과 체육교류협력, 경...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일상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주민의 가치관)
[북한의 사회와 경제 D형] 북한의 거시경제 현황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A형] 북한의 권력기관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 인민들의 대남 인식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