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교육의 내용과 현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교육의 내용과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1. 북한의 교육
1) 북한 교육의 방향
2) 북한 교육의 분석

2. 북한의 교육제도
1) 학 제
2) 무상교육제
(1) 보통교육
① 초등 의무교육
② 중등 의무교육
③ 11년간 의무교육
(2) 고등교육
3) 특수교육제
(1) 특기자교육
(2) 사범교육

3. 북한의 교육내용

4. 북한의 교육방법

참고자료

본문내용

'긍정적 학습법'을 장려하고 인내력, 지구력, 자발심을 고취·함양할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집단주의 교육방법 뿐 아니라 이의 실천이나 생산활동과의 결합도 중요시한다. 학생에게 공부만 시키면'머저리 인테리','양반 인테리'가 되기 때문에 노동을 시킴으로써 사상을 개조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또'산지식을 가르친다'는 명분으로 학생들을 수시로 생산노동에 동원하거나 혹은 집체적 군사훈련에 참여시키고 있다. 결국 이같은 북한의 집단주의적 획일적 교육방법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퇴화시키거나 외부환경에 자율적·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약화시킨다. 왜냐하면 어떤 인간이든 집단과 조직에 대한 집착이 강할수록 개인의 독창성과 자율성은 위축되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과 훈련에서 지나친 획일성의 요구는 비인간화 현상을 초래한다. 집단주의원칙에 입각한 교육은 조건반사적인 인간, 수동적·기계적 인간을 양성할 뿐이다.
참고문헌
http://ipcp.edunet4u.net/%7Eteacher14/index.htm
김형찬 등, '북한의 교육', (서울 : 을유문화사, 1990)
이향규, '북한 과학기술자의 양성', [과학문화연구센터 2001년도 연구논문집] (20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4.29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