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진단 검사
췌장질환진단을 위한 검사 9가지 정리
Ⅱ. 임상검사와 Cancer marker
Ⅲ. 수술 전 일반적 검사
수술을 위해 필요한 검사 정리
Ⅳ. 수술적 치료
Ⅴ. 수술전 간호
Ⅵ. 수술후 간호
수술후 겪을 수 있는 합병증, 당뇨관리, 식이 진행 여부, 배액관을 종류및 관리등 환자가 경험 하는 전반적 치료과정 정리
Ⅶ. 수술후 진단 검사
prn)
Ⅷ. ONC, TR consultation(항암요법, 방사선요법)
Ⅶ. 수술후 진단 검사
Ⅷ. ONC, TR consultation
췌장질환진단을 위한 검사 9가지 정리
Ⅱ. 임상검사와 Cancer marker
Ⅲ. 수술 전 일반적 검사
수술을 위해 필요한 검사 정리
Ⅳ. 수술적 치료
Ⅴ. 수술전 간호
Ⅵ. 수술후 간호
수술후 겪을 수 있는 합병증, 당뇨관리, 식이 진행 여부, 배액관을 종류및 관리등 환자가 경험 하는 전반적 치료과정 정리
Ⅶ. 수술후 진단 검사
prn)
Ⅷ. ONC, TR consultation(항암요법, 방사선요법)
Ⅶ. 수술후 진단 검사
Ⅷ. ONC, TR consultation
본문내용
ural Dranage(->역류 가능하므로 Infection에 주의한다)
Plate 교환-clear 할시 하지 않는다.
Pouch 교환- 2일에 1회 하기로 한다(소독), 병동마다 다름.
100cc/day 인 경우 pouch 제거 후 Gauze Dranage
담당의가 2-3일에 걸쳐서 1회에 2-3cm씩 cutting 후 제거
5) T-tube
보통 brownish color임.
leakage or pain이 없을 시 퇴원 전에 remove하나 T-tube clamping 상태로 퇴원했다가 외래에서 remove하기도 함.
T-tube remove하기 전 보통 tube clamping exercise를 하는데 2,4,8,16시간 순으로 clamping exercise한 후 abdomen pain, fever, shivering 없고 괜찮을시 all clamping시작. 단 반드시 취침전에는 release하고 수면취하도록 설명해주어야 함.
Natural drainage
Bile bag 은 1주에 한번 교환하며 교환시 3-Way는 clear 할 경우 교환하지 않음 TSO 시 2일에 1회 Dx.
■ 표 2 삽입 ■
Ⅶ. 수술후 진단 검사
1. CT f/u: 문합 site leakage소견여부 확인위해.
- POD#7에 시행(Dr.송)
- POD#9-10 에 시행(Dr.한)
2. UGI
식이 진행 안되거나 수술시 문제있었을 경우 POD#7에 시행(주치의 결정)
Ⅷ. ONC, TR consultation
- Invasin 이나 남아있는 암종이 남아 있으나 그 정도가 경미한 경우 ONC consult를 내고 주치의 판단시 남아있는 암종이 깊어 TR필요한 경우 동시에 consultr. ONC에서 TR요구 할 경우 추가로 Consultation 함.
- Chemo/ TR Tx 의 방법이나 Schedule 은 타과 상의 후, 결정되며 퇴원시 OPD c Lab을 필요로 함.
< 췌장 >
** 췌장암 환자에게서의 항암요법 **
< 췌장 >
지난 20여년간 췌장암 치료를 위한 항암요법제로는 다른 소화기암에서와 마찬가지로 thymidylate synthase를 억제하는 항 대사물질인 5-fluorouracil(5-FU)이 가장 기본적인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5-FU를 근간으로 하는 항암약물요법은 보고에 따라 반응율에 많은 차이를 보이며, 생존율이나 임상증상의 호전에도 뚜렷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5-FU 이외에도 doxorubicin, mitomycin C, cisplatin, streptozocin, paclitaxel 등 다양한 약제들이 단독 또는 병합으로 시도되었으나 이들 역시 5-FU 단독 사용의 경우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결국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췌장암에서의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짧은 생존율, 남은 여생 동안의 삶의 질 등을 고려할 때 극히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pyrimidine계 항대사물질인 gemcitabine(GemzarO, Eli Lily, Indianapolis, IN, USA)이 새로운 항암제로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5-FU에 비해 임상증상의 호전(clinical benefit response)과 경도의 생존율 향상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 1997년 미국 FDA에서는 진행성 췌장암의 일차 치료제로 공인하였다. 그러나 췌장암에서 gemcitabine의 공인은 지금까지 미국 FDA의 항암제 공인 역사상 유래가 없었던 일로, 항암약제의 항암 효과 측면이 아닌 임상증상의 호전이라는 측면에서 공인된 최초의 약제이며, 이와 같은 측면은 췌장암에서 탁월할 항암효과를 보이는 약제의 개발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야기해 주고 있다.
<췌장 알아보기>
1. 진행성 췌장암 환자에서 Gemcitabine과 Platinum과의 병용 임상 연구
병용
환자 수
반응률(%)
생존기간(개월)
연구자
Gemcitabine/cisplatin
41
11
8.2
Heinemann et al.
42
26
7.1
Philip et al.
52
31
-
Colucci et al.
16
31
9.6
Brodowicz et al.
Gemcitabine/oxaliplatin
64
29
-
Louvet at al.
Gemcitabine/cisplatin
/epirubicin/5-FU
49
58
11
Reni et al.
약 제
반응 수/ 전체 환자 수
반응률(%)
생존기간(개월)
Raltitrexed
2/42
5
-
Irinotecan
3/34
9
5.2
Topotecan
0/15
0
-
Iproplatin
3/32
9
-
Docetaxel
5/29
17
-
Trimetrexate
0/14
0
3.3
Edatrexate
0/17
0
3.0
Farazarabine
0/14
0
-
Ifosfamide
6/27
22
-
Amonafide
0/14
0
2.8
AZQ
0/21
0
1.3
MGBG
2/32
6
7.6
Gemcitabine
5/44
11
5.6
2. 진행성 췌장암에서의 단독 항암 화학요법
** 췌장암의 동시 화학 방사선 치료 **
최근 들어 췌장암에서 동시 화학방사선 치료가 점차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식도암이나 직장암의 경우는 그 효과가 수술 효과에 근접하는 수준을 보여 표준 치료로 인정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아직까지 췌장암에서 동시 화학 방사선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더욱이 절제 가능한 췌장암에서 수술 후 빈번히 관찰되는 재발을 억제하기 위해 동시 화학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재발률을 과연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면 수술 전, 수술 후 언제 시행해야 하는지, 방사선과 항암약물을 동시에 투여할 것인지 또는 단계적으로 투여할 것인지, 항암약제 및 방사선의 적절한 용량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다. 일반적으로 항암약물요법 단독 보다는 방사선 병합 요법이 국소진행형 췌장암이나 절제가능 췌장암 환자에서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인정되고 있으나 무작위화에 의한 연구가 부족하고, 대상 환자의 수가 제한적이며, 추적관찰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정확한 병기 판단을 위한 검사법에 차이가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Plate 교환-clear 할시 하지 않는다.
Pouch 교환- 2일에 1회 하기로 한다(소독), 병동마다 다름.
100cc/day 인 경우 pouch 제거 후 Gauze Dranage
담당의가 2-3일에 걸쳐서 1회에 2-3cm씩 cutting 후 제거
5) T-tube
보통 brownish color임.
leakage or pain이 없을 시 퇴원 전에 remove하나 T-tube clamping 상태로 퇴원했다가 외래에서 remove하기도 함.
T-tube remove하기 전 보통 tube clamping exercise를 하는데 2,4,8,16시간 순으로 clamping exercise한 후 abdomen pain, fever, shivering 없고 괜찮을시 all clamping시작. 단 반드시 취침전에는 release하고 수면취하도록 설명해주어야 함.
Natural drainage
Bile bag 은 1주에 한번 교환하며 교환시 3-Way는 clear 할 경우 교환하지 않음 TSO 시 2일에 1회 Dx.
■ 표 2 삽입 ■
Ⅶ. 수술후 진단 검사
1. CT f/u: 문합 site leakage소견여부 확인위해.
- POD#7에 시행(Dr.송)
- POD#9-10 에 시행(Dr.한)
2. UGI
식이 진행 안되거나 수술시 문제있었을 경우 POD#7에 시행(주치의 결정)
Ⅷ. ONC, TR consultation
- Invasin 이나 남아있는 암종이 남아 있으나 그 정도가 경미한 경우 ONC consult를 내고 주치의 판단시 남아있는 암종이 깊어 TR필요한 경우 동시에 consultr. ONC에서 TR요구 할 경우 추가로 Consultation 함.
- Chemo/ TR Tx 의 방법이나 Schedule 은 타과 상의 후, 결정되며 퇴원시 OPD c Lab을 필요로 함.
< 췌장 >
** 췌장암 환자에게서의 항암요법 **
< 췌장 >
지난 20여년간 췌장암 치료를 위한 항암요법제로는 다른 소화기암에서와 마찬가지로 thymidylate synthase를 억제하는 항 대사물질인 5-fluorouracil(5-FU)이 가장 기본적인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5-FU를 근간으로 하는 항암약물요법은 보고에 따라 반응율에 많은 차이를 보이며, 생존율이나 임상증상의 호전에도 뚜렷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5-FU 이외에도 doxorubicin, mitomycin C, cisplatin, streptozocin, paclitaxel 등 다양한 약제들이 단독 또는 병합으로 시도되었으나 이들 역시 5-FU 단독 사용의 경우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결국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췌장암에서의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짧은 생존율, 남은 여생 동안의 삶의 질 등을 고려할 때 극히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pyrimidine계 항대사물질인 gemcitabine(GemzarO, Eli Lily, Indianapolis, IN, USA)이 새로운 항암제로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5-FU에 비해 임상증상의 호전(clinical benefit response)과 경도의 생존율 향상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 1997년 미국 FDA에서는 진행성 췌장암의 일차 치료제로 공인하였다. 그러나 췌장암에서 gemcitabine의 공인은 지금까지 미국 FDA의 항암제 공인 역사상 유래가 없었던 일로, 항암약제의 항암 효과 측면이 아닌 임상증상의 호전이라는 측면에서 공인된 최초의 약제이며, 이와 같은 측면은 췌장암에서 탁월할 항암효과를 보이는 약제의 개발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야기해 주고 있다.
<췌장 알아보기>
1. 진행성 췌장암 환자에서 Gemcitabine과 Platinum과의 병용 임상 연구
병용
환자 수
반응률(%)
생존기간(개월)
연구자
Gemcitabine/cisplatin
41
11
8.2
Heinemann et al.
42
26
7.1
Philip et al.
52
31
-
Colucci et al.
16
31
9.6
Brodowicz et al.
Gemcitabine/oxaliplatin
64
29
-
Louvet at al.
Gemcitabine/cisplatin
/epirubicin/5-FU
49
58
11
Reni et al.
약 제
반응 수/ 전체 환자 수
반응률(%)
생존기간(개월)
Raltitrexed
2/42
5
-
Irinotecan
3/34
9
5.2
Topotecan
0/15
0
-
Iproplatin
3/32
9
-
Docetaxel
5/29
17
-
Trimetrexate
0/14
0
3.3
Edatrexate
0/17
0
3.0
Farazarabine
0/14
0
-
Ifosfamide
6/27
22
-
Amonafide
0/14
0
2.8
AZQ
0/21
0
1.3
MGBG
2/32
6
7.6
Gemcitabine
5/44
11
5.6
2. 진행성 췌장암에서의 단독 항암 화학요법
** 췌장암의 동시 화학 방사선 치료 **
최근 들어 췌장암에서 동시 화학방사선 치료가 점차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식도암이나 직장암의 경우는 그 효과가 수술 효과에 근접하는 수준을 보여 표준 치료로 인정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아직까지 췌장암에서 동시 화학 방사선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더욱이 절제 가능한 췌장암에서 수술 후 빈번히 관찰되는 재발을 억제하기 위해 동시 화학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재발률을 과연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면 수술 전, 수술 후 언제 시행해야 하는지, 방사선과 항암약물을 동시에 투여할 것인지 또는 단계적으로 투여할 것인지, 항암약제 및 방사선의 적절한 용량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다. 일반적으로 항암약물요법 단독 보다는 방사선 병합 요법이 국소진행형 췌장암이나 절제가능 췌장암 환자에서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인정되고 있으나 무작위화에 의한 연구가 부족하고, 대상 환자의 수가 제한적이며, 추적관찰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정확한 병기 판단을 위한 검사법에 차이가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추천자료
[음악치료] 음악치료와 성공사례
[암][암 증상][암 치료][암 예방][항암][항암치료][암의 정의][암의 종류][암의 발생원인][암...
[뇌졸중][뇌졸중환자][뇌졸중치료][뇌졸중예방][뇌]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
[조음장애][구개파열][언어치료]조음장애의 원인, 구개파열의 원인, 구개파열의 유형, 구개파...
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의 원인, 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와 조음검사, 조음장애(...
[위암치료, 위암예방, 위암] 위암 완벽정리(위암의 원인과 형태 및 위암의 치료와 예방법)
[골절]골절과 무혈관성 괴사, 골절과 가골, 골절과 일리자로브 사지연장술, 골절의 치료 약물...
[간][간암][간암 치료약물][간암 치료방법]간의 구조, 간의 특징과 간암의 개념, 간암의 관련...
[음악치료][개스턴음악치료]음악치료의 의미, 음악치료의 성립배경, 음악치료의 치료적 요소,...
[만성통증, 만성통증 개념, 만성통증 환자평가, 만성통증 재활중재, 만성통증 재활치료]만성...
[물리치료] 인공관절 후 재활치료
영유아 독서 치료 프로그램 (이론적 배경, 독서치료의 기원과 역사 및 원리, 그림책 이용한 ...
음악치료 (음악치료 정의, 이론적근거, 대상, 역사, 목적, 종류, 효과, 사례 )
≪구개파열 아동 언어치료≫ 구개파열 정의와 원인, 유형, 진단 및 평가, 치료 - 구개파열 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