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업소개
2. 시장 환경 분석
3. 경쟁사분석
4. SWOT분석
5. STP분석
6. 4P 분석
7. 마케팅전략
8. 문제점과 개선방안
9. 결 론
2. 시장 환경 분석
3. 경쟁사분석
4. SWOT분석
5. STP분석
6. 4P 분석
7. 마케팅전략
8. 문제점과 개선방안
9. 결 론
본문내용
뜻하는 ‘Prestige Product'의 합성어로 대중에게 맞는 명품을 만드는 브랜드를 뜻한다. 빈폴의 타겟층은 기본적으로 ’Non-age'이지만 중심 타겟은 20~30대 남,여성이다. 그리고 이들에게 세련되고 고품격의, 그러면서도 일상적인 캐주얼 브랜드를 제공하고 있다. 즉 명품을 바라지만 가격의 부담을 안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적정선의 가격에서 명품에 견줄만한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빈폴은 ‘BeanPole HOMME’ 라는 Extended Brand는 보유하고 있지만, 중저가를 노리는 브랜드는 없다. 기본적으로 ‘No Sale'을 추구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가격이 낮은 브랜드를 출시하는 것이 좀 더 폭 넓은 타겟층을 보유할 수 있을 것이다. 합리적인 가격과 고품질의 제품, 명품의 대중화 바람을 타고 빈폴은 매스티지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3) 유통 전략 측면에서의 문제점
빈폴 역시 전자 상거래 시대에 맞는 새로운 유통 채널의 확보가 필요하다. 인터넷 쇼핑몰의 성황에 따라 여러 수많은 의류 브랜드들이 웹상에서의 판매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는데 비해, 빈폴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하다. 몇몇 쇼핑몰에 항목으로 올라있다 하더라도, 명목상일 뿐 실제로는 품목 수도 적을뿐더러 관리도 소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웹상에서의 거래가 빈폴의 고급화된 이미지에 적합하지 않고, 그 이미지를 오히려 격하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오히려 배송 체제를 차별화 하거나 새로운 제품 결합을 개발한다면 고급 이미지는 여전히 유지하면서도 시장 점유율은 확대되는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틈새시장의 개발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재의 빈폴 매장들은 유명 백화점을 중심으로 수도권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어서 지방에서의 인지도가 낮다.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도 유통망을 확대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키우는 마케팅 활동을 장기적으로 지속함으로써 새로운 수요를 이끌어 내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개선방안>
빈폴은 온라인 전용몰을 오픈해서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월상품 같은 경우, 아울렛 매장으로 보내는 것 보다 온라인에서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이 이미지 재고에도 큰 기회를 줄 것이다. 아울렛 매장들 사이에 빈폴이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이 이미지 상 더 고급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수도권이 아닌 지방 주요 도시의 백화점부터 매장을 만드는 것을 시작으로 주요 시내 거리에 ‘스트리트 샵’을 오픈함으로써 지방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실하게 키울 수 있다.
(4) 촉진 전략 측면에서의 문제점
현재 빈폴은 너무 편중된 광고에 집중되고 있다. 너무 고급화 전략에만 치중한 나머지 소비자들이 더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는 접근하지 못했다. 그래서 빈폴은 새로운 마케팅을 도입해서 기존 이미지를 유지하며 이미지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빈폴은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한계에 부딪히게 되고 세계적인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폴로와 차별화를 해서 국내 인지도를 향상하려 노력하고 세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
<개선방안>
TV광고에서 볼 수 있는 기존의 해외 스타를 활용한 CF는 우리들에게 빈폴만의 차별화 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지 않다. 해외 스타를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우리 정서에 맞고 우리나라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국내 스타를 활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또한 주요 타겟층이 20~30대인 점에서 온라인상에서의 광고도 필요하다. 빈폴 같은 경우에는 온라인 광고를 하지 않는 편인데 요즘 같은 시대에 온라인 광고는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세련된 온라인 광고를 통해 빈폴은 기존의 고급화 된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고 이미지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엔터테인먼트가 부상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더 이상 단순한 소비의 개념이 아닌 즐거운 소비를 만들어주는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9. 결론
폴로에 비해 매출과 유통망에선 앞서면서도 브랜드력이 약하다는 핸디캡이 있던 빈폴은 1년 전 폴로를 앞서 `토종 브랜드가 원조 브랜드를 이겼다`는 명성을 얻었으나 최근 들어 신세계 롯데 현대 등 주요 백화점 서울권 매출에서는 폴로가 빈폴을 제치고 월등히 앞서가고 있다. 브랜드 감도를 체크할 수 있는 압구정 갤러리아 백화점은 폴로와 빈폴 제품 차이를 구성비로 살펴봤을 때,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폴로 100에 빈폴은 절반인 50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정경호 신세계백화점 남성의류 바이어는 "글로벌 브랜드인 폴로가 다양한 상품 라인을 앞세운 제품력으로 올해 매출이 급증했다"면서 "20~30대 남성 고객들의 구매가 증가하고 있고, 서구적이면서도 빈티지한 스타일에 대한 선호로 폴로 아성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빈폴은 그동안 명품이미지 구축을 위해 마케팅전략에 힘쓴 반면 제품의 다양한 구성, 급변하는 소비자들의 선호를 반영시키는 상품 또는 트렌드를 이끌어갈 만한 매력적인 상품 출시에 미진하였기 때문에 1년 전 폴로로부터 탈환한 정상자리를 굳건히 지키지 못하였다.
빈폴 레이디, 빈폴 진의 경우 2,30대를 대상으로 하는데 이들은 고풍스럽고 보수적인 스타일보다는 유행에 민감하고 앞서나가고 싶어 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빈폴의 컨셉인 현대적인 영국인의 모습을 무조건 고수하기 보다는 젊은 층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접목시켜 다양한 상품을 구성한다면 부진해진 매출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www.beanpole.co.kr
www.cii.samsung.co.kr
kr.ralphlauren.com
www.hazzys.com
www.samsungdesign.net
빈폴(Bean Pole)의 Only Number One 전략 - 라이터스 편집부, 2006
브랜드의 힘을 읽는다. - 안광호. 이진용, 더난출판, 2006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전략 - 조서환, 위즈덤하우스, 2005
회사의 운명을 바꾸는 역발상 마케팅 - 여준상, 원앤원북스, 2004
(3) 유통 전략 측면에서의 문제점
빈폴 역시 전자 상거래 시대에 맞는 새로운 유통 채널의 확보가 필요하다. 인터넷 쇼핑몰의 성황에 따라 여러 수많은 의류 브랜드들이 웹상에서의 판매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는데 비해, 빈폴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하다. 몇몇 쇼핑몰에 항목으로 올라있다 하더라도, 명목상일 뿐 실제로는 품목 수도 적을뿐더러 관리도 소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웹상에서의 거래가 빈폴의 고급화된 이미지에 적합하지 않고, 그 이미지를 오히려 격하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오히려 배송 체제를 차별화 하거나 새로운 제품 결합을 개발한다면 고급 이미지는 여전히 유지하면서도 시장 점유율은 확대되는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틈새시장의 개발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재의 빈폴 매장들은 유명 백화점을 중심으로 수도권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어서 지방에서의 인지도가 낮다.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도 유통망을 확대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키우는 마케팅 활동을 장기적으로 지속함으로써 새로운 수요를 이끌어 내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개선방안>
빈폴은 온라인 전용몰을 오픈해서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월상품 같은 경우, 아울렛 매장으로 보내는 것 보다 온라인에서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이 이미지 재고에도 큰 기회를 줄 것이다. 아울렛 매장들 사이에 빈폴이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이 이미지 상 더 고급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수도권이 아닌 지방 주요 도시의 백화점부터 매장을 만드는 것을 시작으로 주요 시내 거리에 ‘스트리트 샵’을 오픈함으로써 지방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실하게 키울 수 있다.
(4) 촉진 전략 측면에서의 문제점
현재 빈폴은 너무 편중된 광고에 집중되고 있다. 너무 고급화 전략에만 치중한 나머지 소비자들이 더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는 접근하지 못했다. 그래서 빈폴은 새로운 마케팅을 도입해서 기존 이미지를 유지하며 이미지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빈폴은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한계에 부딪히게 되고 세계적인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폴로와 차별화를 해서 국내 인지도를 향상하려 노력하고 세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
<개선방안>
TV광고에서 볼 수 있는 기존의 해외 스타를 활용한 CF는 우리들에게 빈폴만의 차별화 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지 않다. 해외 스타를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우리 정서에 맞고 우리나라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국내 스타를 활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또한 주요 타겟층이 20~30대인 점에서 온라인상에서의 광고도 필요하다. 빈폴 같은 경우에는 온라인 광고를 하지 않는 편인데 요즘 같은 시대에 온라인 광고는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세련된 온라인 광고를 통해 빈폴은 기존의 고급화 된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고 이미지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엔터테인먼트가 부상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더 이상 단순한 소비의 개념이 아닌 즐거운 소비를 만들어주는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9. 결론
폴로에 비해 매출과 유통망에선 앞서면서도 브랜드력이 약하다는 핸디캡이 있던 빈폴은 1년 전 폴로를 앞서 `토종 브랜드가 원조 브랜드를 이겼다`는 명성을 얻었으나 최근 들어 신세계 롯데 현대 등 주요 백화점 서울권 매출에서는 폴로가 빈폴을 제치고 월등히 앞서가고 있다. 브랜드 감도를 체크할 수 있는 압구정 갤러리아 백화점은 폴로와 빈폴 제품 차이를 구성비로 살펴봤을 때,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폴로 100에 빈폴은 절반인 50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정경호 신세계백화점 남성의류 바이어는 "글로벌 브랜드인 폴로가 다양한 상품 라인을 앞세운 제품력으로 올해 매출이 급증했다"면서 "20~30대 남성 고객들의 구매가 증가하고 있고, 서구적이면서도 빈티지한 스타일에 대한 선호로 폴로 아성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빈폴은 그동안 명품이미지 구축을 위해 마케팅전략에 힘쓴 반면 제품의 다양한 구성, 급변하는 소비자들의 선호를 반영시키는 상품 또는 트렌드를 이끌어갈 만한 매력적인 상품 출시에 미진하였기 때문에 1년 전 폴로로부터 탈환한 정상자리를 굳건히 지키지 못하였다.
빈폴 레이디, 빈폴 진의 경우 2,30대를 대상으로 하는데 이들은 고풍스럽고 보수적인 스타일보다는 유행에 민감하고 앞서나가고 싶어 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빈폴의 컨셉인 현대적인 영국인의 모습을 무조건 고수하기 보다는 젊은 층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접목시켜 다양한 상품을 구성한다면 부진해진 매출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www.beanpole.co.kr
www.cii.samsung.co.kr
kr.ralphlauren.com
www.hazzys.com
www.samsungdesign.net
빈폴(Bean Pole)의 Only Number One 전략 - 라이터스 편집부, 2006
브랜드의 힘을 읽는다. - 안광호. 이진용, 더난출판, 2006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전략 - 조서환, 위즈덤하우스, 2005
회사의 운명을 바꾸는 역발상 마케팅 - 여준상, 원앤원북스, 2004
추천자료
코리아나화장품의 엔시아 브랜드-기존브랜드분석과 브랜드마케팅전략
[브랜드마케팅]패션속옷브랜드 'YES' 마케팅전략 제안 (A+리포트)
[브랜드마케팅]삼성전자 ‘애니콜’ 브랜드마케팅 전략분석 (A+리포트)
[브랜드마케팅전략]광동 제약 '비타500' 기업과 제품소개 그리고 시장환경과 마케팅 전략분석...
양면적 광고, 비교 광고, 유머소구, 공포소구,TV, 라디오, 신문 등 대중매체.광고마케팅,브랜...
기아자동차,K씨리즈,기업분석,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박물관 관광,박물관 마케팅 전략,박물관 관광 국내·외 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한국 화장품, 기초화장품, 브랜드마케팅, 서비스마케팅, 글로벌경영, ...
[애경의 제품 전략]애경 브랜드하전략사례,애경 기업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커피전문점시장현황-국냐외커피브랜드시장,카페베네 VS 스타벅스,국내 커피 산업의 변천사,브...
위키피디아_유투브, 플리커,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LG생활건강- 중국 브랜딩 전략,중국시장 진출 전략,중국시장 브랜드전략,중국 진출 및 연혁,...
H&M 마케팅 사례연구 (H&M 브랜드분석+성공요인+한국진출전략+SWOT+마케팅전략+H&...
SPA 브랜드 경쟁전략SPA브랜드 마케팅SPA브랜드 사례SPA브랜드 산업환경SPA브랜드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