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대상지 개요
3. 급수 방법 선정 - 고가수조 방식
4. 대상지 Model
5. 급수량 산정
6. 각층 수평지관경
6. 1 3,4층 수평지관
6. 2 1,2층 수평지관
7. 급수 수직주관경
7.1 3,4층 급수 수직주관경
7.2 1,2층 급수 수직주관경
8. 배수 관경 설정
8.1 배수수평지관의 관경
8.2 배수수직관의 관경
8.3 배수수평주관의 관경
9. 맺음말
2. 대상지 개요
3. 급수 방법 선정 - 고가수조 방식
4. 대상지 Model
5. 급수량 산정
6. 각층 수평지관경
6. 1 3,4층 수평지관
6. 2 1,2층 수평지관
7. 급수 수직주관경
7.1 3,4층 급수 수직주관경
7.2 1,2층 급수 수직주관경
8. 배수 관경 설정
8.1 배수수평지관의 관경
8.2 배수수직관의 관경
8.3 배수수평주관의 관경
9. 맺음말
본문내용
용 유수량 : 335 ℓ/min
허용 마찰 손실 수두
, , L = 16m , L' = 16 X 0.3 = 4.8m
관경: 65 mm 유속: 1.6 m/sec
7.2 1,2층 급수 수직주관경
1층 기구급수단위
개수 X 기구급수단위
계
대변기
3 X 10
30
세면기
3 X 2
6
샤워기
3 X 4
12
청소싱크
1 X 4
4
세탁용싱크
1 X 5
5
음수기
1 X 2
2
59
2층 기구급수단위
개수 X 기구급수단위
계
대변기
6 X 10
60
세면기
6 X 2
12
샤워기
6 X 4
24
청소싱크
2 X 4
8
세탁용싱크
2 X 5
10
음수기
2 X 2
4
107
sol)
동시 사용 유수량 : 265 ℓ/min
허용 마찰 손실 수두
, , L = 20m , L' = 20 X 0.3 = 6.0m
관경: 65 mm 유속: 1.25 m/sec
동시 사용 유수량 : 210 ℓ/min
허용 마찰 손실 수두
, , L = 24m , L' = 24 X 0.3 = 7.2m
관경: 50 mm 유속: 1.7 m/sec
8. 배수 관경 설정
8.1 배수수평지관의 관경
3,4층 기구
fuD x 개수
대변기
8 x 2 = 16
소변기
4 x 3 = 12
세면기
1 x 2 = 2
청소싱크
3 x 1 = 3
샤워기
4 x 3 = 12
세탁싱크
2 x 1 = 2
음수기
0.5 x 1 = 0.5
계 fuD = 47.5
1,2층 기구
fuD x 개수
대변기
8 x 3 = 16
세면기
1 x 3 = 2
청소싱크
3 x 1 = 3
샤워기
4 x 3 = 12
세탁싱크
2 x 1 = 2
음수기
0.5 x 1 = 0.5
계 fuD = 44.5
* fuD=47.5 에 해당하는 관경은 100mm가 된다. * fuD=44.5에 해당하는 관경은 100mm가 된다.
그림2. 배수수직관 관경도
8.2 배수수직관의 관경
1) 각 층의 fuD합계 = 47.5 x 2 + 44.5 x 2 = 184 따라서 관경은 100mm
2) 1층분 또는 1브랜치 간격분의 최대 fuD는 4층에서 47.5 이므로 관경은 100mm
∴ 관경은 100mm를 채용한다.
8.3 배수수평주관의 관경
각층fuD합계=47.5 x 2 +44.5 x 2 = 184
∴ 관경은 125mm를 채용한다.
9. 맺음말
- 이번 연구과제인 급수설비에 대해 연구해 봄으로써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각각의 급수시스템마다의 장단점도 분석하였고, 우리가 선택한 고가수조 방식에 대해서는 더욱 심층적인 내용을 공부할 수 있었다.
현대 사회로 오면서 건물 내의 여러 시스템이 발전하였다. 그 중에서도 급수시스템은 인간의 생존과 관련 된 물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더욱 높다. 각 건물에 알맞은 급수시스템을 정하고 급수량, 관경을 결정하는 것이 설비부분에 기초적인 것이지만 동시에 꼭 알아야 할 사항이다. 우리가 직접 건물을 정해보고 그 건물에 대한 급수시스템 관련 식을 계산하면서 급수설비에 대해 상당 부분 이해할 수 있었고, 그것을 토대로 급수설비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허용 마찰 손실 수두
, , L = 16m , L' = 16 X 0.3 = 4.8m
관경: 65 mm 유속: 1.6 m/sec
7.2 1,2층 급수 수직주관경
1층 기구급수단위
개수 X 기구급수단위
계
대변기
3 X 10
30
세면기
3 X 2
6
샤워기
3 X 4
12
청소싱크
1 X 4
4
세탁용싱크
1 X 5
5
음수기
1 X 2
2
59
2층 기구급수단위
개수 X 기구급수단위
계
대변기
6 X 10
60
세면기
6 X 2
12
샤워기
6 X 4
24
청소싱크
2 X 4
8
세탁용싱크
2 X 5
10
음수기
2 X 2
4
107
sol)
동시 사용 유수량 : 265 ℓ/min
허용 마찰 손실 수두
, , L = 20m , L' = 20 X 0.3 = 6.0m
관경: 65 mm 유속: 1.25 m/sec
동시 사용 유수량 : 210 ℓ/min
허용 마찰 손실 수두
, , L = 24m , L' = 24 X 0.3 = 7.2m
관경: 50 mm 유속: 1.7 m/sec
8. 배수 관경 설정
8.1 배수수평지관의 관경
3,4층 기구
fuD x 개수
대변기
8 x 2 = 16
소변기
4 x 3 = 12
세면기
1 x 2 = 2
청소싱크
3 x 1 = 3
샤워기
4 x 3 = 12
세탁싱크
2 x 1 = 2
음수기
0.5 x 1 = 0.5
계 fuD = 47.5
1,2층 기구
fuD x 개수
대변기
8 x 3 = 16
세면기
1 x 3 = 2
청소싱크
3 x 1 = 3
샤워기
4 x 3 = 12
세탁싱크
2 x 1 = 2
음수기
0.5 x 1 = 0.5
계 fuD = 44.5
* fuD=47.5 에 해당하는 관경은 100mm가 된다. * fuD=44.5에 해당하는 관경은 100mm가 된다.
그림2. 배수수직관 관경도
8.2 배수수직관의 관경
1) 각 층의 fuD합계 = 47.5 x 2 + 44.5 x 2 = 184 따라서 관경은 100mm
2) 1층분 또는 1브랜치 간격분의 최대 fuD는 4층에서 47.5 이므로 관경은 100mm
∴ 관경은 100mm를 채용한다.
8.3 배수수평주관의 관경
각층fuD합계=47.5 x 2 +44.5 x 2 = 184
∴ 관경은 125mm를 채용한다.
9. 맺음말
- 이번 연구과제인 급수설비에 대해 연구해 봄으로써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각각의 급수시스템마다의 장단점도 분석하였고, 우리가 선택한 고가수조 방식에 대해서는 더욱 심층적인 내용을 공부할 수 있었다.
현대 사회로 오면서 건물 내의 여러 시스템이 발전하였다. 그 중에서도 급수시스템은 인간의 생존과 관련 된 물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더욱 높다. 각 건물에 알맞은 급수시스템을 정하고 급수량, 관경을 결정하는 것이 설비부분에 기초적인 것이지만 동시에 꼭 알아야 할 사항이다. 우리가 직접 건물을 정해보고 그 건물에 대한 급수시스템 관련 식을 계산하면서 급수설비에 대해 상당 부분 이해할 수 있었고, 그것을 토대로 급수설비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