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남북한 단어의 비교 예시
2. 한글 맞춤법의 역사
3. 남북한 한글맞춤법의 뿌리와 나뉨
4. 남북한의 한글맞춤법 (여러 맞춤법 규정 비교)
5. 마무리
6.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및 대안
2. 한글 맞춤법의 역사
3. 남북한 한글맞춤법의 뿌리와 나뉨
4. 남북한의 한글맞춤법 (여러 맞춤법 규정 비교)
5. 마무리
6.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및 대안
본문내용
기법도 복잡한 체계가 되는 경우가 있다. ex)두음법칙
언어적 현상과 표기법 사이의 괴리가 커지게 된다
이 표음주의와 형태주의는 어느 남북한 어느 한 특징이 아니고 우리 한글의 특징이며 남북한 모두 줄곧 이 형태주의와 표음주의라는 두 가지 배타적인 원칙을 준수하면서, 양자 사이의 조화를 꾀하여 왔다. 다만 상대적으로 표음주의는 남한의, 형태주의는 북한의 맞춤법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다.
2)두음법칙
두음 법칙의 경우, 남한의 규정은 매우 복잡한데 비해, 북한의 규정은 매우 단순하다.
남한은 두음법칙과 관련된 언어적 현상이 복잡한 이유는 (제10항~12항) 북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한의 표기법을 보면 대체적으로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북한은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표기법이 매우 단순하다. (제25항) 북한말도 처음에는 남한과 별 차이 없이 두음 법칙대로 발음한 것으로 보이지만, 북한 언어정책에 따라 형태강조해 두음법칙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럼으로 해서 현재의 북한 사람들은 오랫동안의 집중적인 교육과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실제 발음도 그렇게 한다.
3) 사이시옷
남한의 경우 (제30항)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와 그 역할에 따라 사이시옷에 관한 규정이 복잡하나 북한의 표기법에는 명문 규정은 없으나 실제로 사이시옷을 일절 인정하지 않는다. 이처럼 북한의 표기법은 언중들이 혼란스러워 할 가능성이 큰 언어적 현실이나 관습을 무시하고 과감하게 단순 명료화하는 경향이 있다.
4) 북한 표기법의 단순 명료화경향의 예
① 기역(ㄱ) → 기윽, 디귿(ㄷ) → 디
언어적 현상과 표기법 사이의 괴리가 커지게 된다
이 표음주의와 형태주의는 어느 남북한 어느 한 특징이 아니고 우리 한글의 특징이며 남북한 모두 줄곧 이 형태주의와 표음주의라는 두 가지 배타적인 원칙을 준수하면서, 양자 사이의 조화를 꾀하여 왔다. 다만 상대적으로 표음주의는 남한의, 형태주의는 북한의 맞춤법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다.
2)두음법칙
두음 법칙의 경우, 남한의 규정은 매우 복잡한데 비해, 북한의 규정은 매우 단순하다.
남한은 두음법칙과 관련된 언어적 현상이 복잡한 이유는 (제10항~12항) 북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한의 표기법을 보면 대체적으로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북한은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표기법이 매우 단순하다. (제25항) 북한말도 처음에는 남한과 별 차이 없이 두음 법칙대로 발음한 것으로 보이지만, 북한 언어정책에 따라 형태강조해 두음법칙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럼으로 해서 현재의 북한 사람들은 오랫동안의 집중적인 교육과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실제 발음도 그렇게 한다.
3) 사이시옷
남한의 경우 (제30항)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와 그 역할에 따라 사이시옷에 관한 규정이 복잡하나 북한의 표기법에는 명문 규정은 없으나 실제로 사이시옷을 일절 인정하지 않는다. 이처럼 북한의 표기법은 언중들이 혼란스러워 할 가능성이 큰 언어적 현실이나 관습을 무시하고 과감하게 단순 명료화하는 경향이 있다.
4) 북한 표기법의 단순 명료화경향의 예
① 기역(ㄱ) → 기윽, 디귿(ㄷ) → 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