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린 등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목적하는 빛깔을 내기 위해서는 허가된 색소들을 배합한다. 비타르계 색소는 천연색소를 화학합성하거나 화학 처리한 것으로 β-카로틴 ·수용성 안나토 ·황산구리 ·산화제이철 ·캐러멜, 구리 및 철 클로로필린나트륨 ·산화티타늄 등이 허가되어 있다.
9. 우유 및 유제품
제품
첨가물
골든슈레드 피자치즈
분말셀룰로스
크래프트벨비타슬라이스치즈
구연산나트륨, 소르빈산(합성보존료)
해태유업슬라이스치즈
밀크팻프리퍼레이션P3, 유화염, 카제인나트륨
해태모닝버터
식염0.398%, 안나토색소
KRAFT PARMESAN
셀룰로오스파우더, 소르빈산칼륨(합성보존료)
○ 가장 많이 쓰이는 식품 첨가물 - [소르빈산]
- 합성보존료로서 식품의 PH를 낮춰주며 치즈, 어육가고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반응을 빨리하게 하기위해서 소르빈산칼륨같은 화합물로 사용하기도 한다.
10. 잼류
제품
첨가물
SKIPPY녹차딸기잼
펙틴
스키피땅콩버터크리미
식물성경화유(채종유,면실유,대두유), 정제염1.2%
딸기잼
구연산, 펙틴
청정원짜먹는잼(딸기)
구연산, 펙틴
블루베리잼
펙틴,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 구연산이 대부분에 첨가되어있다. 청양음료에 신맛을 내는 것으로도 사용되며 새콤한 종류의 쨈에 많이 들어있다. 펙틴의 경우 잼을 겔로 만들기 위해 들어갔으며, 땅콩잼의 경우 식물성경화유가 첨가되어있다. 경화유란 불포화지방산(대부분 식물성기름)에 수소를 첨가하여 이중결합을 단일결합으로 바꾸어 주어서 포화지방산으로 만드는 것이다. 땅콩크림을 좀 더 응고력있게 만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11. 기타
제품
첨가물
돌아온 왕꿈틀이
합성착색료(식용색소 황색 제4호)
허브를담은복숭아홍차
구연산
농심포스틱
혼합제제(산화전분, 말토덱스트린)
짱구
정제염, 탄산수소나트륨
오리온고소미
산도조절제, 산탄검, 산성아황산나트륨(산화방지제)
오뚜기북어국
덱스트린, 정제염, 구연산
알마늘절임류
빙초산(합성식초), 삭카린나트륨(합성감미료), 소르빈산칼륨(합성보존료), 글리신, 구연산, DL-사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합성조미료)
싱그람오이피클
솔빈산칼륨(합성보존료), 식염, 사카린나트륨(합성감미료)
○ 젤리류의 경우, 식용착색료가 첨가되어있다.
○ 새콤한 맛을 내는 홍차의 경우, 구연산이 첨가되었다.
○ 말토덱스트린
- 호정(糊精)이라고도 한다. 녹말보다 분자량이 작은 다당을 총칭한다. 녹말을 약간 분해한 고분자량에서 요오드-녹말반응을 보이지 않는 저분자량의 것까지 넓은 범위의 것을 말한다. 가용성 녹말도 덱스트린의 일종이다. 생체 내에서는 침(타액)과 소장 내의 세균에 의해 녹말에서 덱스트린을 생성하는 반응이 이루어진다. 공업적으로는 주로 가산배소법(加酸焙燒法)이 사용되며, 가수분해의 정도에 따라 백색 ·담황색 ·황색의 3종류가 있다. 백색 덱스트린은 찬물에 40 % 이상, 더운물에는 완전히 녹으며, 주로 견직물의 끝 마무리풀 또는 약의 부형제(賦形劑)로 사용된다. 담황색 및 황색 덱스트린은 찬물에 완전히 녹고 점성도는 낮으며, 용도는 사무용 풀, 수성도료, 제과(製菓)의 조합용이나 약품의 부형제, 연탄의 점결제 등으로 사용되는 등 다양하다.
○ 절임류의 경우에는 삭카린나트륨와 솔빈산칼륨이 들어가 감미료와 청량감을 주는 보존료가 들어갔다.
◎ 고찰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의 제조, 가공이나 보존을 할 때에 필요에 의해서 첨가, 침윤, 혼합하거나 사용되는 물질이며 천연첨가물과 화학적 합성품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 종류에는 보존료(방부제), 살균료, 산화방지제(항산화제), 조미료(정미료), 감미료, 산미료, 강화제, 착색료(식용색소), 발색제(색소고정제), 착향료, 팽창제, 표백제, 소맥분 개량제, 품질가령재(결착제), 호료증정제 및 안정제, 유화제(계면활성제)정도가 있다. 식품첨가물을 과량으로 섭취 시에는 사람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성장기어린이의 발육저하, 신체 기능 저하 등 인공감미료인 아세설팜칼륨이 갑상선에 악영향을 주고, 천연 카페인은 임산부 유산, 아질산나트륨은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번에 조사하면서 관찰된 점은 첨가제가 들어갔을 것이라고 예측되는 식품에 내용표시가 되어있지 않고 표시되어있는 것에도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아 소비자로 하여금 선택에 혼란을 초래하는 것이 많았다.
요즘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폐해가 발표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천연 첨가물의 개발과 명확한 내용표시의 법규제화와 법적 적정치 규제를 명확히 해야겠다.
9. 우유 및 유제품
제품
첨가물
골든슈레드 피자치즈
분말셀룰로스
크래프트벨비타슬라이스치즈
구연산나트륨, 소르빈산(합성보존료)
해태유업슬라이스치즈
밀크팻프리퍼레이션P3, 유화염, 카제인나트륨
해태모닝버터
식염0.398%, 안나토색소
KRAFT PARMESAN
셀룰로오스파우더, 소르빈산칼륨(합성보존료)
○ 가장 많이 쓰이는 식품 첨가물 - [소르빈산]
- 합성보존료로서 식품의 PH를 낮춰주며 치즈, 어육가고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반응을 빨리하게 하기위해서 소르빈산칼륨같은 화합물로 사용하기도 한다.
10. 잼류
제품
첨가물
SKIPPY녹차딸기잼
펙틴
스키피땅콩버터크리미
식물성경화유(채종유,면실유,대두유), 정제염1.2%
딸기잼
구연산, 펙틴
청정원짜먹는잼(딸기)
구연산, 펙틴
블루베리잼
펙틴,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 구연산이 대부분에 첨가되어있다. 청양음료에 신맛을 내는 것으로도 사용되며 새콤한 종류의 쨈에 많이 들어있다. 펙틴의 경우 잼을 겔로 만들기 위해 들어갔으며, 땅콩잼의 경우 식물성경화유가 첨가되어있다. 경화유란 불포화지방산(대부분 식물성기름)에 수소를 첨가하여 이중결합을 단일결합으로 바꾸어 주어서 포화지방산으로 만드는 것이다. 땅콩크림을 좀 더 응고력있게 만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11. 기타
제품
첨가물
돌아온 왕꿈틀이
합성착색료(식용색소 황색 제4호)
허브를담은복숭아홍차
구연산
농심포스틱
혼합제제(산화전분, 말토덱스트린)
짱구
정제염, 탄산수소나트륨
오리온고소미
산도조절제, 산탄검, 산성아황산나트륨(산화방지제)
오뚜기북어국
덱스트린, 정제염, 구연산
알마늘절임류
빙초산(합성식초), 삭카린나트륨(합성감미료), 소르빈산칼륨(합성보존료), 글리신, 구연산, DL-사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합성조미료)
싱그람오이피클
솔빈산칼륨(합성보존료), 식염, 사카린나트륨(합성감미료)
○ 젤리류의 경우, 식용착색료가 첨가되어있다.
○ 새콤한 맛을 내는 홍차의 경우, 구연산이 첨가되었다.
○ 말토덱스트린
- 호정(糊精)이라고도 한다. 녹말보다 분자량이 작은 다당을 총칭한다. 녹말을 약간 분해한 고분자량에서 요오드-녹말반응을 보이지 않는 저분자량의 것까지 넓은 범위의 것을 말한다. 가용성 녹말도 덱스트린의 일종이다. 생체 내에서는 침(타액)과 소장 내의 세균에 의해 녹말에서 덱스트린을 생성하는 반응이 이루어진다. 공업적으로는 주로 가산배소법(加酸焙燒法)이 사용되며, 가수분해의 정도에 따라 백색 ·담황색 ·황색의 3종류가 있다. 백색 덱스트린은 찬물에 40 % 이상, 더운물에는 완전히 녹으며, 주로 견직물의 끝 마무리풀 또는 약의 부형제(賦形劑)로 사용된다. 담황색 및 황색 덱스트린은 찬물에 완전히 녹고 점성도는 낮으며, 용도는 사무용 풀, 수성도료, 제과(製菓)의 조합용이나 약품의 부형제, 연탄의 점결제 등으로 사용되는 등 다양하다.
○ 절임류의 경우에는 삭카린나트륨와 솔빈산칼륨이 들어가 감미료와 청량감을 주는 보존료가 들어갔다.
◎ 고찰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의 제조, 가공이나 보존을 할 때에 필요에 의해서 첨가, 침윤, 혼합하거나 사용되는 물질이며 천연첨가물과 화학적 합성품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 종류에는 보존료(방부제), 살균료, 산화방지제(항산화제), 조미료(정미료), 감미료, 산미료, 강화제, 착색료(식용색소), 발색제(색소고정제), 착향료, 팽창제, 표백제, 소맥분 개량제, 품질가령재(결착제), 호료증정제 및 안정제, 유화제(계면활성제)정도가 있다. 식품첨가물을 과량으로 섭취 시에는 사람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성장기어린이의 발육저하, 신체 기능 저하 등 인공감미료인 아세설팜칼륨이 갑상선에 악영향을 주고, 천연 카페인은 임산부 유산, 아질산나트륨은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번에 조사하면서 관찰된 점은 첨가제가 들어갔을 것이라고 예측되는 식품에 내용표시가 되어있지 않고 표시되어있는 것에도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아 소비자로 하여금 선택에 혼란을 초래하는 것이 많았다.
요즘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폐해가 발표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천연 첨가물의 개발과 명확한 내용표시의 법규제화와 법적 적정치 규제를 명확히 해야겠다.
추천자료
쌀 가공 식품의 종류와 비교
육가공품에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의 종류와 특징
농산식품학 쌀2차가공품
당절임식품 가공 잼
<동물성 식품 가공학 레포트>우유 및 유제품을 생산하는 유가공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수산 가공 식품 성분 특성
두류가공(식품) 종류 제조과정
[식품산업][식품공학][식량문제][식품원료][가공특성]식품산업의 발전과 식품공학 및 식품산...
식품 가공 및 조리시 발생하는 유해물질 조사 (A4 10장)
[식품 가공 실험보고서] 과살의 총산 정량 및 산도 당도 측정
[식품 가공 실습 실험보고서] 멥쌀과 찹쌀의 판정
[식품 가공 실습] 소맥분의 글루텐량 측정
농산 식품 가공학 실습 식빵 - 식빵 제조와 글루텐 측정.pptx
냉동가공 식품과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