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경우이며, 이로 인해 머리카락이 많이 빠져 버리게 된 경우가 자주 있다.
14)성격 장애
성격장애는 지속적이고, 융통성이 없으며, 부적응적인행동 및 내적 경험의 유형이 라고 정의된다. 이 장애는 DSM체계상의 Ⅱ축상에 표기된다. 예를 들면, 분열성 성격장 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고독하고 친구가 거의 없으며, 칭찬 및 비난에 대해 무관심하다.
자애성 성격의 소유자는 자신이 대단히 중요한 인물이라고 과장되게 생각하고 있으 며, 큰 성공을 꿈꾸고,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이 자기에게 주의를 기울여줄 것을 요구하 며, 남을 이용해 먹으려는 경향이 크다 . 반사회적 성격은 15세 이전에 부상하는데 무 단결석, 가출, 비행 및 아무하고나 싸움질하는 근성을 통해서 표출된다. 반사회적 성격의 소유자는 성인이 된 후에도 직장을 유지하고, 배우자나 부모로서의 책임을 다하며, 미래 나 심지어는 당장 내일에 대한 사전계획을 세우고, 법률을 준수하는데 무관심하다. 또 정신병질이라고도 불리는 이 장애자는 사회적 규범을 어기고도 죄책감이나 수치감을 느 끼지 않는다.
15)기타 임상적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장애
광범위한 이 범주에는 정신장애로 간주되지 않지만 주목할 만하거나 처치를 고려해야 만 할 상태가 포함된다. 이 범주는 공식적으로 갖다붙일 만한 정신장애가 없음에도 불 구하고, 정신보건기관에 찾아온 사람들을 분류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어떤 의학적 질병이 부분적으로 심리적 조건에 의해 야기되었거나 악화된 것으로 여겨질 경 우, 진단은 신체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학적 요인이다. 이전에는 이런 상태가정신생 리성 장애 또는 정신 신체장애로 언급되었다. 이 범주에 속하는 기타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학업문제(예: 성적 저하)
반사회적 행동(예: 전문적 도둑질)
꾀병 일을 안하기 위해 신체적이거나 심리적 증상을 고의로 나타내는 것
대인관계문제(예: 형제나 배우자와의 관계가 나쁨)
직장문제(예: 하는 일에 대한 불만족)
신체적 혹은 성적 학대
사별
처치에의 불복종(예: 약물복용의 거부)
종교적이거나 영적인 문제(예: 자신의 신앙에 대하여 의문을 품는 것)
일시적 생활관련 문제(학교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생활의 변화에 의해 야기된 난관
16)섬망, 치매, 건망증, 및 그밖의 인지장애
이 범주에는 인지가 심각하게 손상된 장애가 포함된다. 섬망은 의식이 흐릿하고, 주 의를 집중하지 못하며, 사고의 흐름이 일관성이 없는 장애이다. 이 장애는 물질 남용뿐 만 아니라 몇 가지 의학적 문제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 치매는 정신능력 중에서도 특히 기억이 퇴화된 것으로 알츠하이머병과 뇌졸중을 위시하여 몇 가지 의학적인 문제 와 남용과도 관련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의 분류기준과 이상행동의 증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지금 현재 쓰고있는 분류에 대해서는 낙인을 찍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조심해서 잘 사용하면 될 것이고 또 현재의 진단에 대한 비판으로는 이것이 과연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가의 논란의 여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를 함으로써 이것이 이상행동의 원인과 치료에 기여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다.
참고문헌
현대심리학, 서장원 저, 반도출판사(1995); p.302-p.327
정신건강 심리치료(꿈해석과 정신분석), 권육상 저, 학문사(1999);p.19-p.73
최신정신간호학, 도복늠 외 9명공저, 도서출판 현문사(1990)
이상심리학, 이봉건 역, 시그마프레스(1999);p.3-p.16
심리학의 이해, 김정희 외 9명 공저, 학지사(1999);p.307-p.345
개정판 심리학(인간의 이해), 이수원외, 정민사(2000);p.301-p.332
14)성격 장애
성격장애는 지속적이고, 융통성이 없으며, 부적응적인행동 및 내적 경험의 유형이 라고 정의된다. 이 장애는 DSM체계상의 Ⅱ축상에 표기된다. 예를 들면, 분열성 성격장 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고독하고 친구가 거의 없으며, 칭찬 및 비난에 대해 무관심하다.
자애성 성격의 소유자는 자신이 대단히 중요한 인물이라고 과장되게 생각하고 있으 며, 큰 성공을 꿈꾸고,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이 자기에게 주의를 기울여줄 것을 요구하 며, 남을 이용해 먹으려는 경향이 크다 . 반사회적 성격은 15세 이전에 부상하는데 무 단결석, 가출, 비행 및 아무하고나 싸움질하는 근성을 통해서 표출된다. 반사회적 성격의 소유자는 성인이 된 후에도 직장을 유지하고, 배우자나 부모로서의 책임을 다하며, 미래 나 심지어는 당장 내일에 대한 사전계획을 세우고, 법률을 준수하는데 무관심하다. 또 정신병질이라고도 불리는 이 장애자는 사회적 규범을 어기고도 죄책감이나 수치감을 느 끼지 않는다.
15)기타 임상적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장애
광범위한 이 범주에는 정신장애로 간주되지 않지만 주목할 만하거나 처치를 고려해야 만 할 상태가 포함된다. 이 범주는 공식적으로 갖다붙일 만한 정신장애가 없음에도 불 구하고, 정신보건기관에 찾아온 사람들을 분류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어떤 의학적 질병이 부분적으로 심리적 조건에 의해 야기되었거나 악화된 것으로 여겨질 경 우, 진단은 신체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학적 요인이다. 이전에는 이런 상태가정신생 리성 장애 또는 정신 신체장애로 언급되었다. 이 범주에 속하는 기타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학업문제(예: 성적 저하)
반사회적 행동(예: 전문적 도둑질)
꾀병 일을 안하기 위해 신체적이거나 심리적 증상을 고의로 나타내는 것
대인관계문제(예: 형제나 배우자와의 관계가 나쁨)
직장문제(예: 하는 일에 대한 불만족)
신체적 혹은 성적 학대
사별
처치에의 불복종(예: 약물복용의 거부)
종교적이거나 영적인 문제(예: 자신의 신앙에 대하여 의문을 품는 것)
일시적 생활관련 문제(학교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생활의 변화에 의해 야기된 난관
16)섬망, 치매, 건망증, 및 그밖의 인지장애
이 범주에는 인지가 심각하게 손상된 장애가 포함된다. 섬망은 의식이 흐릿하고, 주 의를 집중하지 못하며, 사고의 흐름이 일관성이 없는 장애이다. 이 장애는 물질 남용뿐 만 아니라 몇 가지 의학적 문제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 치매는 정신능력 중에서도 특히 기억이 퇴화된 것으로 알츠하이머병과 뇌졸중을 위시하여 몇 가지 의학적인 문제 와 남용과도 관련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의 분류기준과 이상행동의 증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지금 현재 쓰고있는 분류에 대해서는 낙인을 찍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조심해서 잘 사용하면 될 것이고 또 현재의 진단에 대한 비판으로는 이것이 과연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가의 논란의 여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를 함으로써 이것이 이상행동의 원인과 치료에 기여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다.
참고문헌
현대심리학, 서장원 저, 반도출판사(1995); p.302-p.327
정신건강 심리치료(꿈해석과 정신분석), 권육상 저, 학문사(1999);p.19-p.73
최신정신간호학, 도복늠 외 9명공저, 도서출판 현문사(1990)
이상심리학, 이봉건 역, 시그마프레스(1999);p.3-p.16
심리학의 이해, 김정희 외 9명 공저, 학지사(1999);p.307-p.345
개정판 심리학(인간의 이해), 이수원외, 정민사(2000);p.301-p.332
추천자료
이상행동 양상
[피임][낙태][성적이상행동][남성피임][여성피임][성적 이상]피임과 낙태 및 성적이상행동 분...
정신간호- 이상행동의 분류
(아동행동연구) 이상행동(반응성애착장애, 분리불안장애 등)과 발달 보고서
(정신간호) 이상행동
이상행동양상 -정신과 report
이상행동의 이해-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이상행동의 정의와 유형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이상행동의 개념과 이상행동의 이론적 모델 (생리학적 모델, 심리역동...
아동기의 정신건강문제 중 이상행동을 보이는 아동과 관련된 책이나 영화, 매스컴 보도 사례 ...
인간과심리 공통 ) 1.심리학心理學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
(인간과심리2015)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설명, 인간의 이상행...
[인간人間과심리]심리학의 주요이론 중 정신분석적, 행동주의적,인본주의적 접근 설명, 인간...
(A+ 레포트,시험대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상행동 상담- 행동주의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