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출력이 바뀌고, 그다음 스위치가 OFF,ON을 반복한다 해도 출력상태는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위의 경우 단순히 채터링을 없애기 위한 것이라면 중간에 RC적분회로를 필요가 없다.
중간에 R,C의 위치가 서로 반대로 해줘야만 단발펄스가 발생이 된다. 즉 미분회로를 만들어 파형의 EDGE부분만 끄집어내고, 이것을 7400으로 정형시켜 단펄스 CLOCK을 만드는 것이다.
즉 위의 회로를 왼쪽편의 RS-FF로 채터링을 없애고 중간에 RC(바뀌었지만)로 EDGE만 끄집어 내어 단펄스를 만드는 것이다.
5. 검토 및 고찰
이번실험은 기억소자로서 플립플럽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RS 및 D 플립플럽의 원리 및 동작특성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수업시간에 배워서 이론으로만 알고 있었던 RS 및 D 플립플럽을, 실험을 통해 그 원리와 동작특성에 대해 재검토하며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실험(2)에서는 CP(클럭)를 넣어야 했는데, 클럭을 주려면 브레드보드판 5V에 바로 꽂는게 아니라 0V신호를 넣어주었다가 5V에 신호를 넣어주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플립플럽의 특성 상 실험순서를 지켜야 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 왜냐하면 전 값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 플립플럽의 특성인데, 만약 순서를 지키지 않고 +5나 0V를 넣으면 실험값이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CP입력이 들어왔을 때만 출력 Q와 Q′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3)은 NAND와 NOR을 이용해 RS래치회로를 구성한 것인데, 이론으로 알고 있던 진리표대로 R과 S값이 0,0일 때는 그 이전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1,0일 때는 Q값이 RESET이 되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T과 부정 상태도 실험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3)역시 CP입력이 들어왔을 때 출력 Q와 Q′에 변화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4)는 D형 플립플럽 회로를 구성한 것으로서 NAND와 NOR등 다른 논리회로와 조합하지 않고 7474 전용칩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D형 플립플럽은 CP가 들어올 때, D값이 0이면 Q도 0이고 D값이 1이면 Q값도 1임을 보여주었다. 즉, 파형이 똑같이 나오나 시간지연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D형 플립플럽은 데이터포트에 사용 된다고 말씀하신 교수님이 떠올랐다. 이번 실험 중에서도 저번 실험 때처럼 칩이 나가서 제대로 된 값을 얻을 수가 없었는데, 이번에는 시행착오가 있어서였는지 금방 잘못된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 성공적으로 실험을 마치면서, 이번 실험의 목적을 충분히 습득하고 이해함을 느낄 수 있어서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Ronald J. Tocci, Neal S. Widmer, and gregory L. Moss (Digital Systems Pr., 2004),p.214.
▷Ronald J. Tocci, Neal S. Widmer, and gregory L. Moss (Digital Systems Pr., 2004),pp.233-237.
▷http://blog.naver.com/dbskffl?Redirect=Log&logNo=140010178858
▷http://princess.kongju.ac.kr/DigitalMain/dvlec/textbook/chap07/digital07_4.htm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9&eid=ky2pvtvUDR4guyBYzczJZwbnfebe7i1I&qb=x8O4s8fDt9M=&pid=fsUQqdoQsDwssahLfBlsss--410180&sid=SAXfqZnABUgAAFYNP0w
중간에 R,C의 위치가 서로 반대로 해줘야만 단발펄스가 발생이 된다. 즉 미분회로를 만들어 파형의 EDGE부분만 끄집어내고, 이것을 7400으로 정형시켜 단펄스 CLOCK을 만드는 것이다.
즉 위의 회로를 왼쪽편의 RS-FF로 채터링을 없애고 중간에 RC(바뀌었지만)로 EDGE만 끄집어 내어 단펄스를 만드는 것이다.
5. 검토 및 고찰
이번실험은 기억소자로서 플립플럽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RS 및 D 플립플럽의 원리 및 동작특성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수업시간에 배워서 이론으로만 알고 있었던 RS 및 D 플립플럽을, 실험을 통해 그 원리와 동작특성에 대해 재검토하며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실험(2)에서는 CP(클럭)를 넣어야 했는데, 클럭을 주려면 브레드보드판 5V에 바로 꽂는게 아니라 0V신호를 넣어주었다가 5V에 신호를 넣어주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플립플럽의 특성 상 실험순서를 지켜야 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 왜냐하면 전 값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 플립플럽의 특성인데, 만약 순서를 지키지 않고 +5나 0V를 넣으면 실험값이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CP입력이 들어왔을 때만 출력 Q와 Q′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3)은 NAND와 NOR을 이용해 RS래치회로를 구성한 것인데, 이론으로 알고 있던 진리표대로 R과 S값이 0,0일 때는 그 이전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1,0일 때는 Q값이 RESET이 되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T과 부정 상태도 실험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3)역시 CP입력이 들어왔을 때 출력 Q와 Q′에 변화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4)는 D형 플립플럽 회로를 구성한 것으로서 NAND와 NOR등 다른 논리회로와 조합하지 않고 7474 전용칩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D형 플립플럽은 CP가 들어올 때, D값이 0이면 Q도 0이고 D값이 1이면 Q값도 1임을 보여주었다. 즉, 파형이 똑같이 나오나 시간지연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D형 플립플럽은 데이터포트에 사용 된다고 말씀하신 교수님이 떠올랐다. 이번 실험 중에서도 저번 실험 때처럼 칩이 나가서 제대로 된 값을 얻을 수가 없었는데, 이번에는 시행착오가 있어서였는지 금방 잘못된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 성공적으로 실험을 마치면서, 이번 실험의 목적을 충분히 습득하고 이해함을 느낄 수 있어서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Ronald J. Tocci, Neal S. Widmer, and gregory L. Moss (Digital Systems Pr., 2004),p.214.
▷Ronald J. Tocci, Neal S. Widmer, and gregory L. Moss (Digital Systems Pr., 2004),pp.233-237.
▷http://blog.naver.com/dbskffl?Redirect=Log&logNo=140010178858
▷http://princess.kongju.ac.kr/DigitalMain/dvlec/textbook/chap07/digital07_4.htm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9&eid=ky2pvtvUDR4guyBYzczJZwbnfebe7i1I&qb=x8O4s8fDt9M=&pid=fsUQqdoQsDwssahLfBlsss--410180&sid=SAXfqZnABUgAAFYNP0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