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知識으로서의 敎科에 대한 考察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람직한 知識으로서의 敎科에 대한 考察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마음의 중충구조의 이해
1. 교육과 마음
2. 성리학과 마음
3. 중층구조의 아이디어: 이와 기

Ⅲ. 바람직한 지식으로서의 교과
1. 이심일 세기 학교교육의 과제
2. 이기철학의 교육
3. 교육과정의 이해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성격상 공통성을 가진다고 볼 결정적인 근거는 성리학과 칸트 철학의 유사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이환기·이홍우·김광민, 마음의 교과: 열린교육의 이론적 쟁점, 교육과학사(2002).
칸트가 인식의 논리적 형식을 분석하였을 때 그가 염두에 두었던 것은 성리학의 교과에서 주종을 이루고 있었던 도덕적, 형이상학적 지식이 아닌, 근대 물리학의 지식이었습니다. 만약 성리학과 칸트 철학 사이의 유사성이 확인될 수 있다면 그것은 그대로 성리학의 교과와 오늘날의 교과 사이의 공통성을 확인할 근거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두 철학 사이의 관련은 근래 중국학 학자들 사이에 부분적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칸트 철학이 성리학의 이론과 모든 근본적인 면에서 일관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어느 편인가 하면 두 철학은 그 상호관련에 의해서만 올바르게 이해된다고 말할 수 있다. 한가지 사실을 지적하자면, 교과의 의미 그리고 그것을 중심으로 한 학교 교육이 대중매체에서의 공개 토론의 주제로 등장하는 현실이다. 공개토론에서의 극단적인 발언 예를 들면 학교교육을 부정하고 동네형으로부터 배운 것이 전부라는 등의 발언 등은 우리가 처한 현실이 얼마나 암담한지를 여실히 나타낸다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에는 고무적인 면도 없는 것이 아니다. 서양의 선진국에서 부러워 할 만큼 긴 전통이 흐르고 젊은이들이 대학으로 몰려드는 것은, 오로지 출세를 하고 좋은 배우자를 구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될지 모르지만, 그 결정은 아무렇게나 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과학적인 교육과정 운동은 어디까지나 그 과학적인 것이 단지 서양의 잣대에서 물리적인 과학에만 의존해서 될 것이 아니다. 물리적인 과학은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에 그것을 기준잣대로 들이대어서는 안 되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것은 우리 조상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훌륭한 전통을 늘 새롭게 갈고 닦아서 더욱 빛나게 하는 데에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 시대 이 나라에 태어나서 교육학을 공부하게 된 사람으로서의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參考文獻】
'마음의 신비와 교육의 신비', 2006년 6월,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청강연 원고
김대현·김석우,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2000).
김재춘 외 3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0.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2003.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이기철학에 나타난 교육이론, 사대논총 제30집, 1985.
이칭찬·황선경,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동문사, 2003.
이홍구 외 2인,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2003.
이홍우, 교육의 동양적 전통, 교육과학사, 2000.
______, 성리학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00.
이환기·이홍우·김광민, 마음의 교과: 열린교육의 이론적 쟁점, 교육과학사, 2002.
한국교육과정학회, '이심일 세기 학교교육의 과제', 교육과정연구 제18권 제1호, 2000.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5.2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