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의 역사와 규칙 및 경기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주심에게 모욕적인 언동을 하거나, 불손한 태도로 항의, 질문을 할 때.
3) 주심의 허락없이 경기장에 들어가거나 선수를 교대할 때.
4) 제출된 선수 명단에 유니폼 번호가 이중으로 되었을 때.
5) 파울을 범하나 경기자가 손을 들어 인정하지 않았을 때.
6) 5파울 퇴장을 당한 선수가 다시 경기장으로 들어갔을 때.
7) 기타 비신사적인 행동을 했을 때, 선수 개인뿐만이 아니라 그 팀 전체에도 테크니컬 파울을 선언하고 팀파울에 그 수를 포함시킨다.
11. 팀파울 :
1) 한 팀의 개개인 선수의 파울을 합한 수가 7개가 되면 8개째부터의 파울은 원 앤드 원 (one and one : 첫번째 자유투가 성공되면 하나를 더 던지고, 실패하면 그대로 인플레 이)이 적용된다.
2) 이때 상대 팀에서는 상황에 따라 작전상(프리드로우 2개로 얻는 점수보다 시간을 벌기 위해서) 사이드아웃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3) 팀파울은 전.후반을 따로 나누어 적용한다.
12. 퍼스널 파울 : 퍼스널 파울을 범한 위반자에게는 1개의 파울을 기록하고 고의적인 파울인 경우에는 프리드로우 2개를 상대에게 준다.
13. 파울이 슛 동작 중에 일어난 경우에는,
1) 골인이 된 경우에는 보너스로 프리드로우 1개를
2) 노골인 경우에 3점라인 밖에서의 슛 동작은 3개, 그 외는 2개의 자유투를 상대편에게 준다.
1) holding : 상대편경기자를 잡았을 때.
2) tripping : 상대편 경기자를 다리로 방해하거나 걸어서 넘어뜨렸을 때.
3) pushing : 상대편 경기자를 손으로 밀었을 때.
4) charging : 상대편 경기자를 몸으로 밀거나 고의적으로 부딪혔을 때.
5) hocking : 상대편 경기자를 손으로 치거나 때렸을 때.
6) 진로방해 : 상대편 경기자의 진로를 고의적을 방해했을 때.
14. 프리드로우 : 심판이 프이드로우를 주었을 때에는 프리드로우 라인에서 볼을 건네 주어 인 플레이한다. 드로우어는 볼을 건네 받으면 5초내에 슛한다. 드로우어는 프리드로우 라인 바로 뒤에 서서 어떤 방법으로 드로우 해도 좋다. 그러나 볼이 링, 바스켓, 백보드의 어느 것 인가에 닿기 전에는 프리드로우 라인 또는 프리드로우 라인을 넘어 마루에 닿아서는 안된다. 드로우어의 상대측 팀의 두 경기자는 프리드로우 레인을 따라 바스킷에서 가 장 가까운 양쪽위치에 선다. 그 밖의 경기자는 바스킷에서 가장 가까운 양쪽위치에 선 경기자에 이어서 프리드로우 레인을 따라 서클 방향으로 교대로 선다. 그렇게 서고 남은 경기자는 그 외의 장소라면 어디에서도 좋다. 드로우어 외의 경기자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드로우어나 심판의 마음을 어지럽히거나 방해하거나 하는 행동. 또 볼이 링이나 바스킷, 백보드의 어느 것 엔가에 닿기 전에 위치를 바꾸는 일
15. 피봇(pivot) : 공을 받는 순간 한쪽 또는 양쪽 발이 바닥에 닿았을 경우를 1동작이라 하고, 이어서 한 발을 고정하고 다른 발을 좌.우로 이동했을 경우를 2동작이라 하면
1) 1동작일때는 드리블을 할 수 있지만 2동작일 때는 드리블을 할 수 없다.
2) 2동작일 때 주축을 이루고 고정된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선 안된다.
<경기 방법>
1) 경기인원 : 각 팀은 5명으로 구성되며, 7명까지 교체 선수를 둘 수 있다.
2) 경기 시간 : 전, 후반 각각 20분이며, 중간의 휴식 시간은 10분이다.
중학생인 경우에는 전, 후반 각 각 15분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연장전은 전, 후반 구분 없이 5분간이며, 승부가 나지 않았을 경우에 는 승부가 결정될 때까지 경기를 계속해서 실시한다. 세계 농구 연맹에 속해 있는 각 지역의 국가 또는 지역조직위원회는 경기 시간을 12분씩 4쿼터 (quarter), 또는 전, 후반 각각 22분씩으로 경기 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휴식 시간도 15분으로 늘릴 수 있다.
3) 경기 개시 -> 센터라인에서 점프볼로 경기가 시작된다.
4) 경기의 종료
경기는 계시원의 종료 신호로 끝난다. 만약 전 후반전이나 연장전에 있어서 계시원의 종료 신호와 동시에 파울이 발생하여 벌칙으로 프리스로가 주어지는 경우에는 프리스로를 한 다 음 경기가 끝나게 된다. 또한 경기 종료 전에 공이 이미 손에서 떨어져 슛이
성공되었다면 이는 득점으로 인정된다.
5) 득점
3점 라인 안에서의 슛(라인을 밟고 행해지는 슛 포함)에 의한 골은 2점, 밖에서의 슛에 의한 골은 3점, 프리스로에 의한 골은 1점이다.
6) 작전타임
전 후반 각각 2회씩, 연장전시에는 1회씩 1분간의 작전 타임을 가질 수 있다. 전반전에 사용하지 않은 작전 타임은 후반전이나 연장전에 사용할 수 없다. 작전 타임은 경기가 중단되었을 경우 가능하며, 터치 아웃 되었을 경우에는 공격권을 가지고 있는 팀만이 작전 타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작전 타임은 선수가 요청할 수 없고, 반드시 감독이나 코치가 요청해야 한다.
7) 선수 교대
선수 교대는 인원과 횟수에 제한이 없으며, 20초 이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작전 타임과 마찬가지로 파울로 인한 경기 중단 시나 터치 아웃시 공격권을 가지고 있는 팀만이 선수 교대를 할 수 있다. 단 공격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대 팀에서 선수 교대를 할 경우에는 같이 선수 교대를 할 수 있다.
8) 프리스로
프리스로(free throw)는 공격자가 슛하는 동작에서 발생한 파울에 대한 벌칙으로, 3점 슛할 때 발생한 파울에 대해서는 3개, 2점 슛에 대한 파울 시에는 2개가 주어진다. 또한 슛이 성공되었을 경우에는 슛에 의한 득점이 인정되고 추가로 1개의 프리스로가 주어지게 된다. 상대팀의 팀파울 이후에 발생한 파울에 대해서는 2개의 프리스로가 주어진다. 프리스로는 심판이 볼을 건네준 후부터 5초 이내에 실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공격권이 상대 팀에게 넘어간다.
9) 개인 및 팀 파울
개인 파울(foul)은 4회까지 가능하며, 5회가 되면 퇴장이 된다. 또한 한 팀이 7회의 파울을 범했을 경우 팀 파울에 걸리게 되며, 8회째 부터의 파울에 대해서는 2개의 프리스로가 상대 팀에게 주어진다. 단, 공격자 파울인 경우에는 예외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5.2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