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지 2번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지 살핀다.
3. 아보바이러스성 뇌염에서는 수분을 제한한다.
4. 환자에게 자주 상황을 설명해 준다.
5. 혼수에 빠질 경우 지지적인 간호를 제공한다.
6. 재활간호 프로그램의 참여를 격려한다.
7. 혼수상태 동안에도 환자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감염과정과 관련된 고체온
1. 체온 및 활력징후를 자주 모니터한다.
2.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3. 체온을 내릴 수 있는 기구들을 이용한다.
4. 수분섭취와 배설량을 측정한다.
5. 필요한 수분은 정맥주사를 통해 공급한다.
#4
인격변화와 관련된 사고과정 변화
1.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해 알려준다.
2. memory book을 제공한다.
3. 필요한 활동을 수행하도록 실마리를 제공한다.
간 호 계 획 지
간호단위 : 63병동 진단명 : 척수 손상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부동, SCI에 이차
적으로 감각운동
결함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1. 적어도 하루에 한번 모든 피부표면을 사정한다.
2. 체위 변경 후, 좌위 후, 보조기 벗은 후 피부표면을 시진한다.
3. 압력감소 침대와 mattress를 사용한다.
4. w/c에서 매 10-15분 간격으로 체중부하를 교대로 하도록 한다.
#2
방광팽만, 장팽만,
조이는 의복, 비뇨
기 감염, 욕창과
관련된 반사장애
1. 두통이 쿵쿵 두드리는 것 같은 양상인지 사정한다.
2. 혈압이 기초자료보다 20mmHg이상 상승했는지 사정한다.
3. 체온상승 없이 오한, 발한, 서맥 등이 있는지 사정한다.
4. 배뇨관이 막혀있다면 식염수를 이용해 irrigation한다.
5. 의사의 처방에 의하여 항고혈압제를 사용한다.
6.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과반사증의 원인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3
방광의 무력과
관련된 배뇨장애
1. 실금, 급뇨, 빈뇨, 야뇨 등 감염과 조절 정도를 사정 및 기록한다.
2. 방광근의 무긴장에는 정체 도뇨관을 삽입한다.
3. 정기적으로 방광의 과잉 팽만을 검사하고 정확한 I/O을 기록한다.
4. 정체 도뇨관 제거후 간헐적 도뇨를 하루 매 4시간마다 실시한다.
#4
마비와 관련된
변비 or 설사
1. 변비, 설사, 후중기(tenesmus)를 관찰한다.
2. 매복시 청결관장을 한다.
3. 수액과 음식 섭취, 배설 양상을 사정한다.
4. 하루 3000-4000cc의 수액섭취, 부피가 큰 섬유소를 권장한다.
#5
하지의 근수축 상실, 정맥복귀상실, ROM 제한과 관련된 비사용증후군 위험성
1. 편측 하지의 부종, 홍반, 온감이 있는지 관찰한다.
2. 능동운동, massage, 전기자극, 어깨와 팔의 조기운동을 실시한다.
3. compression stocking을 착용시킨다.
4. 가능한 한 빨리 관절과 지체를 움직인다.
5. 가벼운 ROM 운동을 수행하고 범위와 제한을 평가한다.
6. 대상자에게 이소성 골화증의 징후와 증상을 교육한다.
7. 고관절과 슬관절을 구부리고 앉도록 교육한다.
#6
감각결여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1. 꽉 조이는 의상, 작은 신발, brace는 착용하지 않도록 설명한다.
2. radiator, heating pad, 난로를 너무 가까이 하지 않도록 한다.
3. 무감각시 목욕물의 온도를 조심한다.
4. 규칙적으로 손·발톱을 관리하도록 한다.
#7
실재적 /잠재적
체위성 저혈압과 관련된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위험성
1. 체위성 저혈압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를 확인한다.
2. 복대를 착용하고 항색전양말을 신는다.
3. 체위를 바꾸면서 간격을 두고 서서히 머리를 올리도록 돕는다.
4. 실신을 야기하는 징후와 증상을 monitor한다 .
5. w/c는 90 에 견딜 때까지 10 씩 올린다.
6. 이동전후에 혈압을 측정한다.
7. 처방에 의해 ephedrine 주사를 사용한다.
8. 혈압이 낮아지거나 무의식이면 징후가 해결될 때까지 함께 있는다.
9. 계속 의식수준, 활력증상, 주관적 호소를 사정한다.
#8
#SCI에 이차적으로 독립성 상실,
신체기능 상실과 관련된 무력감
1. 문제에 대한 대상자의 대처와 문제해결 기술을 돕는다.
2. 가능하면 지식결여와 같은 기여요인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3. 치료나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4. 지지집단, 자조관리 집단같은 타 활동에 힘을 끌어내도록 돕는다.
5. 목사, 정신전문 간호사, 의사 등 다른 팀에게 의뢰한다.
6. 가능한 정서적 지지를 한다.
7. SCI가 아닌 사람들과 교류하게 하고, 목표를 세우도록 격려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5.26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