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별 학습과 같은 형태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수업 진행 중 도움닫기는 잘되나 점프가 잘 되지 않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점프는 잘 되지만 공중동작과 착지가 잘 안 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평가를 통해서 해결 할 수 있는 것이다. 어느 지점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는 지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교정에 도움이 되고 다른 학습자들도 지켜봄으로써 같은 문제가 있는 학습자에게 도움을 준다. 체육수업은 필기검사와 실기검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실기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된다.
1) 학습자 성취 평가
평가 관점
평가 척도
반영
결과
평가
방법
상
중
하
이해
높이뛰기의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를 하였는가?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를 하였다.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다.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이해가 다소 부족하다.
10%
실기
검사
스텝의 일정 간격과 리듬감, 점핑, 착지대의 자세를 이해하였는가?
스텝, 간격, 리듬, 점핑, 착지대의 자세를 잘
이해하였다.
스텝, 간격, 리듬, 점핑, 착지대의 자세를 비교적 잘 이해하였다.
스텝, 간격, 리듬, 점핑, 착지대의 자세의 이해가 다소 부족하다.
10%
주의사항을 잘 이해하였는가?
주의사항을 잘 이해하였다.
주의사항을 비교적 잘 이해하였다.
주의사항을
이해하지 못하였다.
10%
기능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가?
배면뛰기 동작의 수행에 있어 전혀 무리가 없다.
배면뛰기 동작이 비교적 잘 이루어 진다.
배면뛰기 동작이 전혀 이루어 지지 않는다.
30%
자연스럽게 동작이 이어지는가?
도움닫기-발 구름-공중동작-착지가 자연스럽다.
도움닫기-발 구름-공중동작-착지가 비교적잘 이루어진다.
도움닫기-발 구름-공중동작-착지가 이어지지 않는다.
15%
시작할 때 보다 향상되었는가?
확실히 향상되었다.
어느 정도 향상되었다.
향상되지
않았다.
15%
태도
학생들의 흥미도와 참여도가 어떠하였는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학생들이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참여가
다소 부족했다.
5%
질서 정연 했는가?
질서를 잘
지켰다.
비교적 질서를
잘 지켰다.
질서를 잘
지키지 못했다.
5%
2) 자기평가서
평가 관점
척도
높이뛰기 기술을 잘 이해하였는가?
상
중
하
도움닫기 - 발 구름 - 공중동작 - 착지 가 잘 이루어 졌는가?
상
중
하
학급친구들 앞에서 높이뛰기 시범을 잘 보였는가?
상
중
하
부분적인 기술이 전체적으로 연결이 잘 되었는가?
상
중
하
처음 시작했을 때 보다 자세와 기록이 향상되었는가?
상
중
하
친구들의 자세에서 오류 점을 잘 찾아 낼 수 있었는가?
상
중
하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였는가?
상
중
하
3) 교사의 수업 평가
평가 관점
척도
수업계획
본시 목표 달성을 위해 학습자의 개별차를 반영한 수업을 하였는가?
상
중
하
목표 수준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적절하게 선정되었는가?
상
중
하
학습자 분석
학습자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 졌으며, 분석결과가 매체 선정에 적절히 반영되었는가?
상
중
하
목표진술
목표가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진술되었는가?
상
중
하
방법, 매체 및 자료의 선정
수업 방법과 선정된 매체의 관련성이 높은가?
상
중
하
자료활용
선정된 매체 및 자료를 교실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는가?
상
중
하
학습자 참여
학습자를 고려한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였는가?
상
중
하
수업 진행시 학습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는가?
상
중
하
평가 및 수정
평가방법은 학습목표를 평가하기에 적절한
것이었는가?
교실환경에 적절한 매체 및 자료를 성정하였는가?
( 매체 및 자료 자체의 적절성 등 )
상
중
하
1) 학습자 성취 평가
평가 관점
평가 척도
반영
결과
평가
방법
상
중
하
이해
높이뛰기의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를 하였는가?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를 하였다.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다.
배면뛰기 방법에 대하여 이해가 다소 부족하다.
10%
실기
검사
스텝의 일정 간격과 리듬감, 점핑, 착지대의 자세를 이해하였는가?
스텝, 간격, 리듬, 점핑, 착지대의 자세를 잘
이해하였다.
스텝, 간격, 리듬, 점핑, 착지대의 자세를 비교적 잘 이해하였다.
스텝, 간격, 리듬, 점핑, 착지대의 자세의 이해가 다소 부족하다.
10%
주의사항을 잘 이해하였는가?
주의사항을 잘 이해하였다.
주의사항을 비교적 잘 이해하였다.
주의사항을
이해하지 못하였다.
10%
기능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가?
배면뛰기 동작의 수행에 있어 전혀 무리가 없다.
배면뛰기 동작이 비교적 잘 이루어 진다.
배면뛰기 동작이 전혀 이루어 지지 않는다.
30%
자연스럽게 동작이 이어지는가?
도움닫기-발 구름-공중동작-착지가 자연스럽다.
도움닫기-발 구름-공중동작-착지가 비교적잘 이루어진다.
도움닫기-발 구름-공중동작-착지가 이어지지 않는다.
15%
시작할 때 보다 향상되었는가?
확실히 향상되었다.
어느 정도 향상되었다.
향상되지
않았다.
15%
태도
학생들의 흥미도와 참여도가 어떠하였는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학생들이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참여가
다소 부족했다.
5%
질서 정연 했는가?
질서를 잘
지켰다.
비교적 질서를
잘 지켰다.
질서를 잘
지키지 못했다.
5%
2) 자기평가서
평가 관점
척도
높이뛰기 기술을 잘 이해하였는가?
상
중
하
도움닫기 - 발 구름 - 공중동작 - 착지 가 잘 이루어 졌는가?
상
중
하
학급친구들 앞에서 높이뛰기 시범을 잘 보였는가?
상
중
하
부분적인 기술이 전체적으로 연결이 잘 되었는가?
상
중
하
처음 시작했을 때 보다 자세와 기록이 향상되었는가?
상
중
하
친구들의 자세에서 오류 점을 잘 찾아 낼 수 있었는가?
상
중
하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였는가?
상
중
하
3) 교사의 수업 평가
평가 관점
척도
수업계획
본시 목표 달성을 위해 학습자의 개별차를 반영한 수업을 하였는가?
상
중
하
목표 수준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적절하게 선정되었는가?
상
중
하
학습자 분석
학습자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 졌으며, 분석결과가 매체 선정에 적절히 반영되었는가?
상
중
하
목표진술
목표가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진술되었는가?
상
중
하
방법, 매체 및 자료의 선정
수업 방법과 선정된 매체의 관련성이 높은가?
상
중
하
자료활용
선정된 매체 및 자료를 교실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는가?
상
중
하
학습자 참여
학습자를 고려한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였는가?
상
중
하
수업 진행시 학습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는가?
상
중
하
평가 및 수정
평가방법은 학습목표를 평가하기에 적절한
것이었는가?
교실환경에 적절한 매체 및 자료를 성정하였는가?
( 매체 및 자료 자체의 적절성 등 )
상
중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