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슈퍼 자본주의의 핵심내용분석과 요약.
본론- 슈퍼 자본주의,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 슈퍼 자본주의가 전하는 핵심메시지를 통하여.
- 슈퍼 자본주의, 그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결론- 개인적인 시각으로 보는 슈퍼 자본주의.
본론- 슈퍼 자본주의,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 슈퍼 자본주의가 전하는 핵심메시지를 통하여.
- 슈퍼 자본주의, 그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결론- 개인적인 시각으로 보는 슈퍼 자본주의.
본문내용
이러한 부는 곧 사람들이 ‘주머니 두둑한 소비자’가 돼 자동차와 다른 제품들을 살 수 있도록 했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이 부분적으로는 소수 기업들(oligopolies)의 담합을 통해 생산, 가격, 임금을 유지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렇게 정리한다. “ ‘무늬만 황금’인 시대였던 이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보와 안정성, 그리고 국부 증진을 그 어느 때보다 즐기고 사랑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냉전 기간 중 놀랄만한 발전을 일궈낸 기술 덕택에 결국 분열되고 만다.
교통·통신 비용은 진공관이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s)에, 운반용 나무상자가 철제 컨테이너에 각각 자리를 내주게 되면서 획기적으로 낮아지기 시작했다. 공급 체인이 ‘글로벌’해지면서,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이어지는 모든 단계에서 잔인한 경쟁이 이뤄지는 시대가 열렸다.
비록 안정된 체제는 붕괴됐지만, 소비자들과 투자가들에겐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현상이었다.
머지 않아 미국인들은 도요타 자동차를 타기 시작했고, 중국산 전자레인지 속에 조리할 음식을 가득 채워 넣기 시작했다. 무자비한 아웃소싱이 시작되면서, 일자리는 줄어들기 시작했다.
저자는 이를 ‘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라고 표현한다.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을 무턱대고 탓할 수 만은 없는 일이다. 그들은 우리가 요청한 대로 해주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만약 정치인들이 진정으로 월마트의 CEO 리 스콧(Scott)이 보다 많은 직원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기를 원한다면, 규칙을 바꿔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신기술의 보급은 탈규제를 촉진시켰고 특히 금융분야에서 개인들을 단순한 저축자에서 투자자로 변화시켰다.
이런 흐름에 따라 월마트는 가장 싼 가격에 상품을 팔게 됐지만, 직원들의 임금과 복지수준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증시는 80년대 초부터 2000년대까지 계속해서 올라갔다. 슈퍼자본주의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가득하지만 사실 미국인들은 소비자와 투자자로서 엄청난 득을 보았다는 저자의 분석이 날카롭다.
이 책은 미국과 유럽은 물론 아시아·라틴아메리카·아프리카까지 다양한 경제 모델의 성공과 실패사례를 제시한다.
저자의 해박한 지식에 특유의 통찰력이 더해졌지만 비교적 쉽게 읽힌다.
‘중국이 걱정스럽다’(15장)에선 2006년 출간한 저서 『중국이라는 거짓말』의 연장선상에서 중국 경제의 실상과 허상을 파헤치고 있다.
저자는 미국 자본주의가 제2차 세계대전 뒤 번영을 구가하면서 민주주의와 균형을 이뤘지만 1970년대 말부터는 민주주의보다 우위에 섰다며 이를 ‘슈퍼 자본주의’라고 부른다.
‘슈퍼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대인은 주체적 권리를 부르짖는 시민이 아니라 소비자, 투자자로 분화됐다. ‘슈퍼 자본주의’가 가속화하면서 기업들은 공공 정책을 가장한 이윤 창출에까지 나섰다.
저자는 ‘슈퍼 자본주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보다 기업이 아예 정치와 공공성에 개입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이 부분적으로는 소수 기업들(oligopolies)의 담합을 통해 생산, 가격, 임금을 유지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렇게 정리한다. “ ‘무늬만 황금’인 시대였던 이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보와 안정성, 그리고 국부 증진을 그 어느 때보다 즐기고 사랑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냉전 기간 중 놀랄만한 발전을 일궈낸 기술 덕택에 결국 분열되고 만다.
교통·통신 비용은 진공관이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s)에, 운반용 나무상자가 철제 컨테이너에 각각 자리를 내주게 되면서 획기적으로 낮아지기 시작했다. 공급 체인이 ‘글로벌’해지면서,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이어지는 모든 단계에서 잔인한 경쟁이 이뤄지는 시대가 열렸다.
비록 안정된 체제는 붕괴됐지만, 소비자들과 투자가들에겐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현상이었다.
머지 않아 미국인들은 도요타 자동차를 타기 시작했고, 중국산 전자레인지 속에 조리할 음식을 가득 채워 넣기 시작했다. 무자비한 아웃소싱이 시작되면서, 일자리는 줄어들기 시작했다.
저자는 이를 ‘파우스트적 거래(Faustian bargain)’라고 표현한다.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을 무턱대고 탓할 수 만은 없는 일이다. 그들은 우리가 요청한 대로 해주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만약 정치인들이 진정으로 월마트의 CEO 리 스콧(Scott)이 보다 많은 직원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기를 원한다면, 규칙을 바꿔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신기술의 보급은 탈규제를 촉진시켰고 특히 금융분야에서 개인들을 단순한 저축자에서 투자자로 변화시켰다.
이런 흐름에 따라 월마트는 가장 싼 가격에 상품을 팔게 됐지만, 직원들의 임금과 복지수준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증시는 80년대 초부터 2000년대까지 계속해서 올라갔다. 슈퍼자본주의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가득하지만 사실 미국인들은 소비자와 투자자로서 엄청난 득을 보았다는 저자의 분석이 날카롭다.
이 책은 미국과 유럽은 물론 아시아·라틴아메리카·아프리카까지 다양한 경제 모델의 성공과 실패사례를 제시한다.
저자의 해박한 지식에 특유의 통찰력이 더해졌지만 비교적 쉽게 읽힌다.
‘중국이 걱정스럽다’(15장)에선 2006년 출간한 저서 『중국이라는 거짓말』의 연장선상에서 중국 경제의 실상과 허상을 파헤치고 있다.
저자는 미국 자본주의가 제2차 세계대전 뒤 번영을 구가하면서 민주주의와 균형을 이뤘지만 1970년대 말부터는 민주주의보다 우위에 섰다며 이를 ‘슈퍼 자본주의’라고 부른다.
‘슈퍼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대인은 주체적 권리를 부르짖는 시민이 아니라 소비자, 투자자로 분화됐다. ‘슈퍼 자본주의’가 가속화하면서 기업들은 공공 정책을 가장한 이윤 창출에까지 나섰다.
저자는 ‘슈퍼 자본주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보다 기업이 아예 정치와 공공성에 개입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말한다.
추천자료
독후감- 오너쉽 솔루션
(독후감) '문명의 충돌'을 읽고
[서평]『권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 권력 쟁탈 없이 세계를 변혁하라!! -
[동서양고전 (A+완성)]에리히 프롬(에릭 프롬)의 『 소유냐 존재냐 』읽고 요약정리 및 독후...
'소유의 종말'에 대한 내용분석과 나의 독후감(A+감상문)
코리아웨이 서평
88만원세대 -독후감-
독후감 -원미동 사람들
[독후감] 클라이브 해밀턴의 ‘성장숭배(Growth Fetish)’을 읽고
아르마니 패션 제국 독서감상문 : 아르마니 패션제국 독후감, 독서감상문
유시민의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을 읽고(부자의경제학, 빈민의경제학, 경제이론, 자본...
[독후감] 닌텐도처럼 팔아라
서평 - 설득의 심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