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의 목표
2. 기본이론
3. 사용 기기 및 부품
4. 실험방법
5. 데이터 분석 및 결과
6. 참고
2. 기본이론
3. 사용 기기 및 부품
4. 실험방법
5. 데이터 분석 및 결과
6. 참고
본문내용
수 있겠으나, 가장 큰 이유는 저항을 만들 때부터 생긴 오차이다. 하지만 저항의 오차값은 매우 작기 때문에 그리 큰 영향은 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실험을 하였다. 역시 이런 오차값을 줄이려면 더 정확한 기기로 더 잘 만들어진 저항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 첫 번째 실험은 오실로스코프의 내부 저항을 1MΩ이라고 가정하고 1MΩ저항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채널1과 채널2를 정해 그곳에 흐르는 전압값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역시 전선 내부의 저항, 파워 서플라이내부의 저항과 저항 자체의 오차값, 그리고 오실로스코프 내부의 저항 등으로 인해 오차값이 있긴 하였지만 대체로 이론값과 일치했다고 볼 수 있었다. 채널1의 값은 3.07V - 3V = 0.07V의 오차값이 있었고, 채널2는 6.07V - 6V = 0.07V의 오차값이 있었다. 오차값을 줄이려면 더 잘 만들어진 기기를 사용해야 하겠지만 그 값이 매우 작았기 때문에 실험하는데 무리는 없었다.
- 두 번째 실험은 저항하나를 빼고, 그 대신에 오실로스코프를 마치 저항처럼 연결하여, 첫 번째 실험과 비교하여 오실로스코프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이 실험의 결과 1MΩ저항과 오실로스코프가 6V의 전압을 거의 3V씩 나눠 가져 오실로스코프의 내부저항이 1MΩ이라는 가정과 거의 근접하게 결과값이 나왔다. 물론 3.08V - 3V = 0.08V라는 오차값이 있긴 하였지만 거의 이론값과 근접하였기 때문에 신기하기도 했고 성공적인 실험이었다.
6. 참고
<김상배 저, 기초전기전자실험, 홍릉과학출판사>
- 첫 번째 실험은 오실로스코프의 내부 저항을 1MΩ이라고 가정하고 1MΩ저항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채널1과 채널2를 정해 그곳에 흐르는 전압값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역시 전선 내부의 저항, 파워 서플라이내부의 저항과 저항 자체의 오차값, 그리고 오실로스코프 내부의 저항 등으로 인해 오차값이 있긴 하였지만 대체로 이론값과 일치했다고 볼 수 있었다. 채널1의 값은 3.07V - 3V = 0.07V의 오차값이 있었고, 채널2는 6.07V - 6V = 0.07V의 오차값이 있었다. 오차값을 줄이려면 더 잘 만들어진 기기를 사용해야 하겠지만 그 값이 매우 작았기 때문에 실험하는데 무리는 없었다.
- 두 번째 실험은 저항하나를 빼고, 그 대신에 오실로스코프를 마치 저항처럼 연결하여, 첫 번째 실험과 비교하여 오실로스코프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이 실험의 결과 1MΩ저항과 오실로스코프가 6V의 전압을 거의 3V씩 나눠 가져 오실로스코프의 내부저항이 1MΩ이라는 가정과 거의 근접하게 결과값이 나왔다. 물론 3.08V - 3V = 0.08V라는 오차값이 있긴 하였지만 거의 이론값과 근접하였기 때문에 신기하기도 했고 성공적인 실험이었다.
6. 참고
<김상배 저, 기초전기전자실험, 홍릉과학출판사>
추천자료
[공학실험] OP AMP 실험
OP-AMP의 기본활용
클리퍼와 클램퍼회로
물리결과보고서(R-C 회로, R-L 회로)
삼각파 발생회로 -질문에대한답,회로구성,결과 및 토의
[기초회로실험][예비]RL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전자공학실험 에미터접지증폭기의특성 실험보고서<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
(결과) 15.소신호 공통소스 FET 증폭기 실험
04물리 rc회로실험 - 물리실험, 회로실험
(홍익대학교) 계측 및 신호처리 - 반전증폭기(inverting amplifier)
전자전기설계실험_RLC Circuit
전자공학 실험 - 다이오드 특성곡선 결과 보고서
[전자회로]- [bjt]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원리 :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특성 이해
03장,접지 예비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