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의 성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양 음악이 들어오기 까지

2. 선교사들의 사역 중 학원 사역
2.1. 학원 사역을 통해 창가의 시작
2.2. 찬송가의 비중과 의의
2.3. 창가의 사회 참여
2.4. 신문학 운동에 미친 창가의 역할

3. 찬송가의 번역문제

4. 찬송가의 출판
4.1. 개신교 찬송가
4.1.1. 찬미가
4.1.2. 찬양가
4.1.3. 찬셩시
4.1.4. 또 하나의 찬미가
4.1.5. 찬송가
4.1.6. 신뎡 찬송가
4.1.7. 신편 찬송가
4.1.8. 합동찬송가
4.1.9. 새찬송가
4.1.10. 개편 찬송가
4.1.11. 새통일 찬송가 출현
4.2. 복음성가
4.2.1. 신증 복음가
4.2.2. 부흥성가
4.2.3. 복음찬미
4.3. 어린이 찬송가
4.3.1. 아동찬송가
4.3.2. 어린이 찬송가
4.3.3. 아동 찬송가
4.3.4. 어린이 찬송가
4.3.5. 어린이 찬송가

본문내용

세웠다.
1. 중첩된 것을 단일화한다. 2. 국가, 민요 등의 곡조와 가사 등은 재검토한다. 3. 종류별로 편찬하는 데 유의한다. 4. 예배용 찬송을 보강한다. 5. 특정예배시에 사용할 찬송을 보강한다. 6. 우리 찬송(한국 가사와 곡조)를 보강한다. 7. 교독문을 보충한다. 8. 가사를 모두 검토한다. 그리고 그 외에 묵도 찬송, 송영, 아멘찬송 등을 대폭 보강하기로 했다.
만 5년에 걸쳐 이룩한 개편찬송가의 완성은 1967년 12월 15일에 그 초판을 보게 되었다(총620장). 특기할 것은 종래의 찬송가에서 볼 수 없었던 한국인 저작 찬송이 이 개편찬송가에 27곡이 선정 수록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개편 찬송은 통일 「찬송가」가 출판되기까지 9년간 예장 합동 측만 제외하고 전 교파에서 사용했었다. 그 후 성결교회에서 그 교파의 찬송이 많이 누락되었다 하여 다시금 더 보충했다.
4.1.11. 새통일 찬송가 출현
1976년에서 1983년까지 8년간 사용해 온 개편 찬송가에 대한 비판 소리가 심해짐에 따라 한국 찬송가 위원회 산하교회(기감, 예장통합, 기성, 기장)에서는 개편 찬송을 표시, 개편하되 한국 전 교회가 하나의 찬송으로 부를 수 있도록 통일하자는 제안을 했다. 이리하여 1976년 11월 26일, 당시 한국찬송가 위원회 위원장인 김창희는 한국 찬송가 위원회 측 김창희, 김익선, 이우호 그리고 한국기독교 지도자 협의회 측 강신명, 지원상, 한학수 등과 찬송가 통일을 위한 간담회를 갖고 1977년 2월 3일 개신교 각 교단대표들이 감리회 본부 감독실에서 「한국찬송가 통일 위원회」를 조직, 위원장에 김창회, 부위원장에 정봉조(예장합동), 조남기(예장통합) 등을 선출하였다. 4개월 후인 1977년 6월 12일자 교회연합신문에 의하면 위원장이 이봉성으로 교체됨에 따라 추진 중이던 통일찬송가위원장도 이봉성으로 교체하여 7가지 원칙 1. 합동, 새찬송가, 개편찬송가 등을 통일시킨다. 2. 새찬송가 중 곡은 같은데 가사가 다른 경우와 가사는 같은데 곡이 다른 경우에는 A, B로 수록한다. 3. 가사는 신학적으로 또는 교리적으로 구애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한다. 4. 신작 찬송을 많이 보강한다. 5. 교독문은 개역 성경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한다. 6. 소요경비는 각 교단과 기관의 협조와 헌금으로 충당한다. 7. 수익금은 찬송가 출판 후에 논의한다.
을 세웠다. 그리하여 찬송가 통일 작업이 약 80% 진행되는 도중 1978년 8월 정기총회에서 찬송가 합동추진위원회에서 제의한 위원확대 문제가 야기되고 그로인하여 편집 제작 사업이 일시 중단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그러나 양측의 꾸준한 노력으로 1981년 4월 9일 개편찬송가와 합동찬송가의 단권을 소유한 한국찬송가위원회와 새찬송가를 출판해 온 예장합동측에서 각각 대표 4명씩과 양측에서 추천하는 대표 4명 등 도합 12명의 대표로 「한국 찬송가 공회」를 조직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이 공의회는 그 출판권을 대한 기독교서회에 생명의 말씀사에 양도하였고 교단의 무성의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순조롭지 못했던 작업이 진행되어 드디어 7년만인 1983년 11월 20일 역사적인 통일 새 「찬송가」가 출판되었다. 이 찬송가의 내용을 보면, 찬송은 총 558장, 교독문 76편, 앞면지에는 주기도문, 사도신경, 뒷면에는 십계명이 수록되어 있다.
4.2. 복음성가
4.2.1. 신증 복음가
1911년 동양선교회의 선교사 카우만과 킬보튼이 출판한 211곡을 선정하여 총 212곡을 선정하여 총 212며인 「신증 복음가」를 출판했는데 이 찬송에는 부흥가 또는 복음가가 다른 찬송가 보다 더 많이 수록되었고, 이 복음가의 번역, 편집자인 이장하는 그 후 부흥성가 발행에도 크게 공헌했다. 당시 책값은 1원이었으며 이 신증복음가는 1922년에 재판으로 출간하면서 작사, 작곡가의 허락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4.2.2. 부흥성가
「신증 복음가」를 발행한 동양선교회는 또다시 1930년에 245곡을 수록한 부흥성가를 총 281면으로 대폭 늘려 발행했다. 이 책을 발간하기 전 1913년에 복음가와는 별도로 「부흥가」를 출판한 바 있다. 이 동양선교회는 훗날 「성결교회」를 창설한 교회다. 이 성결교회는 1938년에 이르러 1919년에 출판한 「신흥 복음가」를 주축으로 같은 장수 245곡 무곡조 「부흥성가」를 헤인스 발행인으로 출판했다. 1923년 10월 8일에 또 다른 부흥성가가 나왔는데 부흥회적 찬송가만 따로 뽑아 편집하여 「부흥 찬송가」라 하였다. 연희전문학교에 근무하던 북장로교파의 편집자 로드와 발행자 본윅이 출판하였으며 수록된 14곡 전곡이 부흥가로 되었다.
4.2.3. 복음찬미
1948년 동아기독교회 명의로 107곡의 복음찬미가 수록되어 있으며 발행자 이종덕의 이름으로 출간했다. 이 교회는 충청남도 강경에 본부를 두었으며 이 찬송집은 후일 침례교로 개편되면서도 한동안 사용되기도 하였다.
4.3. 어린이 찬송가
4.3.1. 아동찬송가
1936년 현제명이 편집하고 장로교 총무 정인과가 발행인으로 101곡을 수록하여 114면으로 발간하였다. 이 찬송은 한국 최초의 어린이 찬송가라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4.3.2. 어린이 찬송가
1953년 한국기독교아동교육연구회에서 발행한 것으로 신정, 시편찬송가 및 부흥성가에서 발췌하였으며 111곡이 수록되어 있다.
4.3.3. 아동 찬송가
1966년 감리교 총리원 교육국에서 발행한 것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곡들을 수록한 찬송가였다.
4.3.4. 어린이 찬송가
1968년 5월 한국교회음악협회가 편집하고 박재훈을 발행자로 하여 총 224면으로 송영을 합해 222곡이 수록되어 있다. 어린이 찬송이라고 하지만 어린이 노래만으로 편집된 것이 아니고 적절한 곡을 발췌하여 어린이 노래로 주일학교에서 부르게 한 것들이었다.
4.3.5. 어린이 찬송가
찬송가 위원회에서 1973년에 출간한 것과, 1953년에 이미 출간되었던 어린이 찬송가를 증보해서 주일학교 교재사에서 1976년에 출간한 「어린이 찬송가」가 있다. 그 후 1979년 12월 10일에 발행한 「어린이 찬송가」는 한국찬송가위원회에서 423곡을 수록 출간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5.3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