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동티모르 PKO활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엔 동티모르 PKO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티모르 분쟁의 요인

2. 유엔 PKO 이전의 동티모르의 배경

3. 유엔 PKO 활동

4. 유엔 과도행정기구 기타활동

5. 유엔 평화유지활동 성과

본문내용

10월 25일, 안보리 결의안 1272호에 따라 200명 규모로 편성됐다. 동티모르 군 감시단의 임무는 동티모르를 지원하는 평화유지군과 달리 중립적인 위치에서 동티모르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들을 관측하고 감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군 감시단의 활동지역은 동티모르 전 지역은 물론 동티모르의 잠재적 위협세력인 인도네시아 지역도 포함됐다.
동티모르 군 감시단과 평화유지군의 관계는 이중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 군 감시단은 작전적인 측면에서 평화유지군사령관의 통제를 받지만 행정적인 측면에서는 오히려 평화유지군사령관을 포함한 모든 요소를 감시하는 전혀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 감시단의 임무는 자체의 작전명령에 의해 수행되지만 그들의 작전명령은 대부분 평화유지군의 작전명령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발전되었다.
그 같은 임무수행을 위해 군 감시단본부를 딜리에 두고 군사분계선과 서티모르 지역에 위치한 외꾸시는 물론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와 통합군사령부가 위치한 발리섬의 덴파샤, 그리고 서티모르 쿠팡에 연락장교를 파견했다. 감시단의 총병력은 최초 200명으로 출발해 평화유지군 감축과 같은 개념에 따라 점차 감축해 왔으며 2006년 6월 완전 철수했다.
2) 유엔 민간경찰(UN Civil Police)
동티모르 독립정부 수립과정에서 유엔 민간경찰의 역할을 빼어 놓을 수 없다. 그들의 임무는 동티모르에서 전문적이고 민주적인 경찰권 행사를 통해 주민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동티모르 경찰 창설 및 발전을 위해 선발된 동티모르 경찰을 지도하고 훈련하는 것도 그들의 임무였다.
그 같은 임무를 위해 동티모르에 민간경찰을 파견한 국가 및 인원은 2000년 5월을 기준으로 37개국, 1천5백여 명이었으며, 2002년 초에는 1,640명이 됐다. 유엔경찰은 딜리에 본부를 두고 13개 군 단위로 지역경찰서를 설치했으며, 딜리와 바우까우에 각각 1개 중대 규모의 기동타격대를 편성했다. 그 외에도 해안 및 국경선 담당 부서, 요인 경호대, 경찰학교를 편성했다.
그 후 유엔 경찰은 동티모르 자체 경찰 야성과 유엔기구 감축계획에 따라 동티모르가 독립정부를 수립한 2002년 5월, 1,250명으로 감축됐다. 이어서 유엔 경찰은 경찰관할권을 동티모르 경찰에게 인계한다는 계획에 따라 2002년 말까지 6개 군의 경찰서와 지서를 동티모르 경찰에 인계했다.
그리고 매월 5% 수준으로 감축을 계속해오다가 2004년 1월 2,800여명 규모로 성장한 동티모르 경찰에 경찰청을 이양함으로써 경찰권 이양을 마무리했다. 그 후 대폭 감소된 유엔 경찰은 100여명 정도의 고문관만 남아 활동하다가 2006년 6월까지 완전 철수했다.
3) 유엔 난민고등판무관실 및 국제이주기구
난민문제를 해결하고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유엔기관이 유엔 난민고등판무관실(UN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이다. 그 밖에 유엔기관은 아니지만 국제사회에서 이주문제를 담당하는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가 있다.
동티모르에서 발생한 난민지원을 위해 1999년 9월, 유엔 난민고등판무관실 동티모르본부가 다국적군의 전개와 함께 딜리에 설치됐으며, 바뚜가데, 수아이, 외꾸시에 사무소가 설치됐다. 그 후 서티모르로 이주한 난민의 귀환을 독려하기 위해 서티모르 아탐부아 사무실이 추가로 설치됐다. 인원은 유엔직원 20여명과 현지 고용인으로 편성되었다.
한편 국제이주기구는 유엔 난민고등판무관실과 긴밀한 협조 하에 난민귀환을 도왔다. 그 과정에서 국제이주기구는 오스트레일리아, 포르투갈 등에서 지원된 65대의 차량을 이용해 난민들을 원래의 지역으로 복귀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5. 유엔 평화유지활동 성과
동티모르에서의 유엔 평화유지활동은 성공사례로 꼽힌다. 성공적인 유엔의 활동은 동티모르의 정치, 사회, 경제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하나의 국가를 운영하기 위한 기초적인 바탕을 마련하였다. 유엔의 지속적인 동티모르 분쟁해결 노력은 분쟁을 단순히 중지시킨 것을 넘어선 평화재건이라는 유엔의 변화된 산물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 참고문헌논문
‘한국군 동티모르 파병과 띠모르레스떼 탄생’, 최용호, 200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동티모르 분쟁 연구 : 분쟁의 발생원인과 해결요인을 중심으로’, 조형찬, 2003, 국방대 안전보장대학원
‘동티모르 독립에 있어서 U.N.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관한 고찰’, 이지현, 2003, 국민대대학원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5.3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