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서관정보정책의 스펙트럼과 지향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도서관정보정책의 스펙트럼과 지향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 도서관 ․ 정보정책의 스펙트럼과 지향성


Ⅰ. 서론 : 왜 정책 문제를 재론 하는가

Ⅱ.한국의 문화정책과 도서관, 그 질곡의 궤적
 1. 문화와 정책의 함수관계
 2. 문화(도서관)정책의 변천과 특징
 3. 문화정책 속의 도서관 : 창백한 자화상
  (1) 행정체계의 난맥상과 그 폐해
  (2) 문화천시 풍조와 인프라의 현주소
  (3) 디지털 정책과 도서관 정체성의 와해

Ⅲ. 도서관 ․ 정보정책의 스펙트럼과 지향성
 1. 정보문화의 신 패러다임과 지평
 2. 도서관 ․ 정보정책의 스펙트럼과 한계
 3. 도서관 ․ 정보정책의 지향성 모색

Ⅴ. 결론 : 변방에서 중심으로

본문내용

주주의, 진작 촉진 책임, 공공성의 원칙을 견제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정보정책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장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정보정책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장해여 한다.
넷째, 미래의 도서관 정보정책은 문화복지 차원에서 지식정보의 활용과 생활정보의
향유를 강조해야 한다.
다섯째, 도서관 정보정책에서 정부차원의 총괄적 정책기능은 집중하되 하위정책이나 계획은 지역별 여건과 격차를 고려하여 수립 집행하는 지향성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서관 정보정책의 가장 중요한 지향성은 핵심역량의 강화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도서관 정보정책의 지향성은 어느 부처나 단체가 정책을 수립 집행하든 간에 기본정신을 바탕으로 살아야 한다.
Ⅴ. 결론 : 변방에서 중심으로
미래의 도서관은 양질의 실물자료, 전문성이 높은 사서, 인간공학적인 정보기술을 결합하여 자료이용과 정보접근의 게이트웨이 기능을 강조해야 한다. 따라서 도서관 정보정책도 절대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하드웨어 부문과 그것의 기능성을 상화하는 소프트웨어부문을 동시에 지향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대중들은 문화복지를 체감하며, 도서관은 정보자료의 요람과 정보문화의 구심체가 될 수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6.0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