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질환의 진단과 분류
2. 정신질환분류의 난이성
3. DSM과 정신질환분류
4.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장애
5. 신경증(neurosis)과 정신증(psychosis)
6. 현실검증력
2. 정신질환분류의 난이성
3. DSM과 정신질환분류
4.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장애
5. 신경증(neurosis)과 정신증(psychosis)
6. 현실검증력
본문내용
일어나는 일(내적 현실)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다. 무엇이 진짜이고, 무엇이 진짜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현실 검증력이 없는 사람은 실제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데도 무엇인가를 들었다(환청)고 하고, 이것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철썩 같이 밑는다. 또한 현실 검증력이 없는 사람은 아내나 남편이 바람을 핀다는 자신의 생각(질투망상)을 절대적으로 믿는다. 바로 환각과 망상이 정신증적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장애로서는 정신분열증과 기타 정신증적 장애에 포함되는 장애와 기분 장애 중에서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 장애가 여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신경증이라고 할 수 있는 여러 장애들은 정신적으로 어렵고 힘들기는 하지만 현실 검증력은 있다. 무엇이 현실이고 무엇이 환상인지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공포증인 환자들은 수행과 평가에 대한 불안으로 사회적 환경을 피하게 된다. 하지만 이 사람들은 현실감이 있다. 무엇이 자신의 생각이고, 무엇이 실제로 일어나는 일인지를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경증적 장애이다. 신경증적 장애는 정신증적 장애를 제외한 나머지 장애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때로는 현실 검증력이 없는 것 같기도 하고, 때로는 있는 것 같기도 한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신경증과 정신증의 두영역의 사이인 경계선에 걸쳐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서, 이름이 붙은 정신장애가 바로 경계선이다. DSM 4판에서는 경계선을 성격장애 중하나로 넣고 있기는 하지만, 신경증과 정신증의 구분에서는 나름대로 한축을 차지하는 정신장애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정신질환 [mental illness]
일본 기업의 근로자지원프로그램 - 정신질환을 앓는 근로자에 대한 프로그램 -
정신질환약물
스트레스와정신건강- 스트레스 정의, 증상, 연령에 따른 스트레스, 정신질환, 스트레스 대처 ...
'뷰티풀 마인드' 정신질환적 분석
장애인 가족교육의 의의와 정신질환 가족교육 실례
정신질환자 사례와 그에따른 간호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의 개념과 원인
[정신건강문제의 현황]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유병률과 정신건강시설 현황, 전문가의 활동과 ...
스트레스와 관련되는 정신질환의 종류에 대해 작성하고, 그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 ...
현대인의 정신질환 및 알코올중독 대상자 실태 보고서
정신질환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질환의 증상
아동발달의 유전적 요인(생득설, 유전성 정신질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