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덕적 인격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Kant
2) Herbart
3) Peters
(2) 자연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Rousseau
2) Ellen Key(여성해방론자)
(3) 문화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Spranger
2) Dilthey
3) Kerschensteiner
(4) 사회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Natorp
2) Dewey
3) Pestalozzi
(5) 종교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Comenius
2) Frobel
3) Maritain(1940년대 항존주의)
1) Kant
2) Herbart
3) Peters
(2) 자연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Rousseau
2) Ellen Key(여성해방론자)
(3) 문화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Spranger
2) Dilthey
3) Kerschensteiner
(4) 사회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Natorp
2) Dewey
3) Pestalozzi
(5) 종교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1) Comenius
2) Frobel
3) Maritain(1940년대 항존주의)
본문내용
중심, 자유, 흥미 중심, 개별학습)
② 실용주의 대표자
③ 상대적 진리관
3) Pestalozzi
① 교육목적
3H : 조화인을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3H = Head, Heart, Hand)
사회개혁의 수단 : 인간개조 가능
② 교육내용 : 수(논리적 사고능력을 기르기 위해 필요), 형(도화-공간적 능력), 언어(표 현능력)
③ 교육방법
합자연의 원리 : 아동발달 고려, 아동중심
직관의 원리 : 감각적 경험을 통해 외부세계와 사물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
노작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 스스로 노력과 자발적 참여를 통해 실현
조화의 원리
친근성의 원리 : 가정이 가장 중요한 자연적 관계
④ Brameld : 교육은 사회적 자아실현이다.(문화개조주의=재건주의)
(5) 종교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교육을 ‘신의 의사를 실현하는 과정’ 으로 보는 입장이다. 인간의 神性을 중시한다.
1) Comenius
① 합자연의 원리(객관적 자연주의)를 주장한다.
② 직관의 원리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이 좋다.
③ 집단훈육제(6명씩) : 학교에서집단훈육교육이 없다면 물 없는 물레방아와 같다.
2) Frobel
① 조기교육의 대표자
② 통일의 원리 : 범신론
③ 연속적 자기 활동의 원리 (노작교육)
④ 놀이학습 : 은물 (은혜받은 물건)을 통한 유희의 원리(유치원)
3) Maritain(1940년대 항존주의)
① 실존철학을 교육철학에 적용하였다.
② 교육이란 신의 의사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③ Pestalozzi의 영향을 받았다.
④ 조화의 원리
⑤ 친근성의 원리 : 가정이 가장 중요한 자연적 관계
② 실용주의 대표자
③ 상대적 진리관
3) Pestalozzi
① 교육목적
3H : 조화인을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3H = Head, Heart, Hand)
사회개혁의 수단 : 인간개조 가능
② 교육내용 : 수(논리적 사고능력을 기르기 위해 필요), 형(도화-공간적 능력), 언어(표 현능력)
③ 교육방법
합자연의 원리 : 아동발달 고려, 아동중심
직관의 원리 : 감각적 경험을 통해 외부세계와 사물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
노작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 스스로 노력과 자발적 참여를 통해 실현
조화의 원리
친근성의 원리 : 가정이 가장 중요한 자연적 관계
④ Brameld : 교육은 사회적 자아실현이다.(문화개조주의=재건주의)
(5) 종교성에 중점을 두는 입장
교육을 ‘신의 의사를 실현하는 과정’ 으로 보는 입장이다. 인간의 神性을 중시한다.
1) Comenius
① 합자연의 원리(객관적 자연주의)를 주장한다.
② 직관의 원리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이 좋다.
③ 집단훈육제(6명씩) : 학교에서집단훈육교육이 없다면 물 없는 물레방아와 같다.
2) Frobel
① 조기교육의 대표자
② 통일의 원리 : 범신론
③ 연속적 자기 활동의 원리 (노작교육)
④ 놀이학습 : 은물 (은혜받은 물건)을 통한 유희의 원리(유치원)
3) Maritain(1940년대 항존주의)
① 실존철학을 교육철학에 적용하였다.
② 교육이란 신의 의사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③ Pestalozzi의 영향을 받았다.
④ 조화의 원리
⑤ 친근성의 원리 : 가정이 가장 중요한 자연적 관계
추천자료
사상가 슈타이너
유아교육사상가
교육사상가(John Locke)에대한 상세한 글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안창호)(교육사상가 안창호)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 그노시즘)의 개념,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 그노시즘)의 목적, 영지...
[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 접근이론][교육사회학 연구방법][교육사상]교육사회학의 정의, 교육...
사상가 - 공자, 맹자, 순자, 장자, 주자, 노자
유아교육사상가의 생애와 교육방법
유아교육사상가 중 한 사람 조사하기
보육사상가의 이론들을 간단히 비교하여 보고 토론하여 본인의 철학을 세워봅니다.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 ...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
교육사 공통)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
[교육사]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