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낭압전과 심근증의 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심낭압전 (cardiac tamponade)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검사실 소견
5. 치료
6. 예후

심근증 (cadiomyopathy)
1. 종류
2. 심근증의 기능상 분류 및 임상증상
3. 치료

본문내용

3) 다른 비 외과적 치료 - 항 부정맥제인 dysopyramide는 좌심실 수축기 기능의 저하와 말초혈관 수축기능이 함께 있어 중상 호전 및 압력경사 완화를 기대.
Aimodarone은 심실상성 및 심실성 빈맥에 효과적이고, 또 비후성 심근증의 예후를 좋게한다
4) 인공 심박동기를 이용한 DDD 조율 - DDD 형의 인공심장박동기의 삽입이유출로 압력경사가 있는 증상이 심한 환저에서 삽입하면 50%의 환자에서 증상이 호전되고 압력경사가 하강한다. 중격통과 관상동맥에 선택적으로 알코올을 주입하면 유출로 압력경사의 감소 및 증상의 호전이 있으나, 장기적인 예후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5) 외과적 요법 - 유출로 압력경사를 줄이기 위한 수술방법은 내과적 치료에 듣지 않는 50mmHg 이상 압력경사와 증상이 심한 환자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극 중격의 근절개술 - 근절제술을 시행하고 증상이나 폐쇄가 심하게 남은 경우, 승모판에 원래 질환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적극적인 내과적, 외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환자에서 심장이식술이 가능한데, 특히 비후성 심근증이 확장성 심근증으로 변화하거나, 울혈성 심부전의 중상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게서 고려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6.0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