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헤어지는 장면을 마지막으로 하나 될 수 없음을 시사하는 듯하다. 지배자인 자신들이 무조건 위에 있다는 독단적인 가치관을 전제로 한 영국인들의 타자성과 아지즈와 같은 강자에 약한 타자성이 만남으로써 영화의 가장 중요한 갈등의 원인이 만들어지고, 결국 영국인과 인도인은 모든 면에서 하나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영화에서 데이비드 린 감독은 동굴에 대한 설명이나 동굴 속에서의 사건에 대해 언급을 피함으로써 사건의 진실은 물론 인도 자체에 대한 신비감을 조성한다. 그리고 아지즈가 재판에 오르는 사건을 묘사할 때 인도인들이 아지즈의 무죄를 주장하며 영국인들과 대립하는 모습을 통해 거대한 나라 인도를 지탱하는 보이지 않는 힘의 원천을 보여 주려 했던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추천자료
인터넷?!의 모든것
메이지유신부터 세계대전까지의 일본
경복궁 문화유적 답사- 광화문, 해태, 근정전, 사정전, 근령전, 교태전, 아미산, 경회루, 수...
[영화분석] 영화 속에 나타난 ‘전쟁의 폭력성’과 ‘인종 차별’
오리온 초코파이 마케팅 분석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사회의 도래,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정치적 의미, 정보기술...
도선사 답사 report
[통일교육][사회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남북관계]통일교육의 정의, 통일교육의 중요성, 사...
아브라함에 대하여 조사
구약성서 아브라함 인물조사
한국교회사
[일상생활사] 담배의 역사 -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과 문화, 담배의 상업적 ...
[관광과지리] 영월의 대표적인 문화관광지 ‘법흥사(法興寺)’
[한국문화사] <담배> 담배의 역사 - 담배의 개념과 어원, 담배의 시작과 전래과정, 우리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