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발해사 왜곡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구려, 발해사 왜곡문제
<목 차>
Ⅰ. 서론

Ⅱ. 동북공정의 배경과 의도
1. 동북공정의 배경: 중국의 현황
2. 동북공정의 의도

Ⅲ. 한국 측의 대응과 동북공정에 관련된 시각들
1. 대응 과정
2. 동북공정과 관련된 쟁점들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대 이후 문화주의적 천하관을 고수해왔으며, 사회주의 국가로 근대국가를 탄생시켰다는 점에서 자본주의와 결합한 민족국가의 보편적 역사와도 들어맞지 않는다. ‘중국 현대화의 근본적인 걸림돌이 민족국가화의 시도’라는 견해는 시민사회가 부재한 상태에서 근대국가체제에 돌입한 중국의 현재를 보여준다. 사회주의에서 급속도로 자본주의화 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근대국가로서 지배의 넓이를 확보하고 있다면, 지배의 깊이는 확보하지 못한 것이다. 근대국가로서의 중화인민공화국의 세계관이 실은 전통적인 천하사상과 근대 국가사상이 결합된 것이었다는 점에서 최근 서부지역의 개발과 서북, 서남공정, 동북공정은 ‘지배의 깊이’를 확보하려는 중국의 노력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Ⅳ. 결론
동북공정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중국이 고구려사와 발해사를 자국의 역사로 편입시키려한다는 점이고, 거기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그 역사들은 ‘우리민족’의 역사임을 항변한다. 그런데 사실 고구려사와 발해사가 중국사로 편입된다는 것은 그 역사들을 한국사로 여겨왔던 기존의 인식 틀과 아무 차이도 없다. 혈통이나 문화를 따져봤을 때 고구려와 발해는 중국보다는 한국의 구성원이나 문화와 더 관련이 깊다고? 그래서 어쨌다는 말인가? 그 ‘과학적으로 밝혀낸’ 동질성이 과거의 역사를 특정한 근대국가의 국가 정체성으로 귀속시키는 것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는가?
나는 중국의 동북공정보다 ‘우리민족의 역사를 빼앗겨서는 안 된다’고 단호하게 말하는 사람들을 더 경계한다. ‘우리민족’이라는 내집단과 외부집단을 가르는 배타적인 인식 속에서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묶인 내집단은 동질화와 융합을 강요당하며 ‘민족 대 민족’ 이외의 다른 전선은 인정되지 않는다. ‘우리 민족’이라는 말은 각종 사회적 차별과 불합리를 감추는 집단적 환각으로 작용해왔고 현재도 그러하다고 생각한다. 만약 내가 중국의 동북공정에 위기의식을 가진다면 그것은 민족의 정체성과 위상을 염려하는 것이 아니요, 민족주의와 민족주의로 고양된 국가주의의 위험성에 대해 경계하는 것이다. 하상주단대공정이나 동북공정 등 시대와 지역을 아우르는 역사프로젝트에 의해 강화되는 ‘중국민족’의식과 그 민족의식의 형성을 위한 대내적 억압과 대외적 배타성-제국주의, 팽창주의의 염려가 있는-에 대해 경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건대 동북공정에 대한 ‘우리민족의 역사를 빼앗기면 안 된다’라는 인식은 위험하다. 한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을 ‘민족’이라는 하나의 갈래로 재단하고, ‘민족의 역사’라는 말로 민족을 특정한 실체로 나아가 운명적인 공동체로 승격시키는 이러한 인식은 민족주의대 민족주의라는 해결될 수 없는 대립구도를 낳고 사회구성원에 대한 억압을 강화할 뿐이다.
<참고문헌>
비교역사문화연구소 편, 근대의 국경 역사의 변경: 변경에 서서 역사를 바라보다, 휴머니스트, 2004.
송기호, 중국의 한국고대사 빼앗기 공작, 역사비평, 65, 겨울호, 역사비평사, 2003.
우실하, 동북공정의 선행 작업들과 중국의 국가 전략, 울력, 2004.
이성시, 만들어진 고대, 서울: 삼인, 2001.
2004년 서울대학교 민주화교수협의회 학술토론회 자료집.
박장배, <중국의 소수민족정책과 지역구조>
여호규(2004),「중국의 東北工程과 高句麗史 인식체계의 변화」
유용태, <중국대학 역사교재의 한국사 인식과 중화사관>
이개석, <현대 중국 역사학 연구의 추이와 동북공정의 배경>
이희옥, <동북공정 추진 현황과 추진 기관 실태>
임상선, <중국의 발해 고구려사 왜곡의 내용과 문제>
서울산업대신문, <‘중국고구려’론 주장하는 중국의 진의와 우리의 대응 방향>2004. 10. 4, 25일자 기사.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6.07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