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훑어보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북한의 정치체제
2)북한의 경제체제
3)북한의 군사체제

3.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북한은 포장의 달인이다. 나라 이름부터 시작해서 체제, 심지어 사람들의 생활 모습까지도 모두 포장한다. 가끔 외국 귀빈들이 올라치면 그들이 지나갈 때 거리에서 고기를 구워먹으라는 당의 지시로 처음 고기 맛을 봤다는 탈북자의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다. 겉으로 민주주의 공화국을 표방하고 헌법까지 버젓이 있는 판국에 표면만 보고 북한을 연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1970년대부터 헌법만 보고 북한을 연구하던 남한의 현실에 8,90년대 들어오기 시작한 탈북자들은 북한 연구에 있어 한줄기 빛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탈북자들의 증언으로 인해 주체사상이 무엇인지, 당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고 북한의 실제를 알게 되었고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이어지는 독재가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지도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러 참고서 목록 중 ‘10년 후의 북한’을 고른 이유도 이 같은 현실을 개탄함과 동시에 어느 한 쪽의 입장이 아닌, 객관적인 북한을 알고 싶어서였기 때문이다. 남과 북을 다 겪어본 전문가들이 각 분야에서 알고 있는 지식과 경험, 앞으로의 전망 등을 상세히 제시한 내용은 그 어느 책보다도 읽기 쉽고 도움이 많이 되었다. 그 중 북한의 정치, 경제, 국방체제의 형성 과정은 정확한 기록을 토대로 좋은 사료로서 실려있었다.
2. 본론
1) 북한 정치체제
(1) 사회주의의 형성
우리 나라에 사회주의가 보급된 것은 1920년대 초반이다. 당시 진행되던 반일민족해방운동은 청산리, 봉오동 전투 등 민족주의자들 중심의 무력항쟁 노선과 임시정부, 각 산하기관 중심의 외교적 노선이 있었다. 이들은 조국 광복을 위해 싸운다지만 분열과 화합이 끊이지 않았고 항일 투사들이 회의를 느끼기 시작했다. 그 무렵 러시아에서 10월 혁명이 일어났고 그 후 얼마 있지 않아 한반도에도 사회주의가 들어오게 되었다. 19세기 중반에 칼 마르크스의 『공산당선언』,『자본론』을 기본으로 한 러시아의 사회주의 혁명은 유럽 전 지역과 아시아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한반도 또한 예외일 수 없었다. 특히 일본의 산업화 전략으로 인해 생겨난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해방을 외치는 사회주의에 쉽게 매료되었고 그를 바탕으로 1925년에는 조선공산당이 창건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사회주의와 당에 익숙지 않던 당원들은 파가 나뉘어 싸우다가 결국 코민테른의 지시에 해산되고 말았다. 그러나 일제의 가혹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맥을 유지하던 공산주의자들은 동북항일투쟁을 통해 그 입지를 굳혀가게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6.10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688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