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을 한다. 신과 인간의 중개자인 셈이다.
사회의 바리데기가 된 우리들의 오래된 심리치료사
사람들은 중요하고 절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무당을 찾는다. 마을의 평안함과 풍년, 풍어를 빌고자 할 때 무당을 청해 굿을 한다. 조상이 죽어 그 영혼을 좋은 곳으로 천도하고자 할 때, 객사하거나 물에 빠져 죽은 영혼을 맞이하고 건져 올리고자 할 때, 까닭없이 아프고 우환이 있어 걱정이 끊이지 않을 때 무당을 찾아간다. 그리고 굿을 한다.
한국문화의 심층부에 자리하고 있는 지핵
신과 인간의 매개자로서의 무당의 역할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수많은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무당들은 다양한 상황에 처한 숱한 삶의 내력과 만나면서 그것을 신에게 고하고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하는 매개자로 살아가고 있다.
사회의 바리데기가 된 우리들의 오래된 심리치료사
사람들은 중요하고 절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무당을 찾는다. 마을의 평안함과 풍년, 풍어를 빌고자 할 때 무당을 청해 굿을 한다. 조상이 죽어 그 영혼을 좋은 곳으로 천도하고자 할 때, 객사하거나 물에 빠져 죽은 영혼을 맞이하고 건져 올리고자 할 때, 까닭없이 아프고 우환이 있어 걱정이 끊이지 않을 때 무당을 찾아간다. 그리고 굿을 한다.
한국문화의 심층부에 자리하고 있는 지핵
신과 인간의 매개자로서의 무당의 역할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수많은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무당들은 다양한 상황에 처한 숱한 삶의 내력과 만나면서 그것을 신에게 고하고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하는 매개자로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