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악(正樂)
2. 민속악(民俗樂)
3. 아악(雅樂)
4. 당악(唐樂)
5. 향악(鄕樂)
6. 고취악(鼓吹樂, 위장악)
7. 팔음(八音)
8. 향악기(鄕樂器, 속악기)
9. 당악기(唐樂器)
10. 아악기(雅樂器)
2. 민속악(民俗樂)
3. 아악(雅樂)
4. 당악(唐樂)
5. 향악(鄕樂)
6. 고취악(鼓吹樂, 위장악)
7. 팔음(八音)
8. 향악기(鄕樂器, 속악기)
9. 당악기(唐樂器)
10. 아악기(雅樂器)
본문내용
기, 속부는 당악기와 향악기를 묶어 분류하였다.
① 금부(金部, 쇠붙이로 만든 악기) : 편종(編鐘) 특종(特鐘) 방향(方響) 징(鉦)
② 석부(石部, 돌을 깎아 만든 악기) : 편경(編磬) 특경(特磬)
③ 사부(絲部, 실을 꼬아 줄을 만든 후, 이 줄을 공명통 위에 얹어 만든 악기) : 거문고 가야금 아쟁(牙箏) 비파
④ 죽부(竹部, 대나무로 만든 악기) : 피리 대금 당적(唐笛) 단소
⑤ 포부(匏部, 바가지를 재료로 쓴 악기) : 생황(笙簧)
⑥ 토부(土部, 흙을 구워 만든 악기) : 훈(塤) 부(缶)
⑦ 혁부(革部, 가죽을 씌워 만든 악기) : 장구 갈고(鼓) 좌고(座鼓) 절고(節鼓) 소 고(小鼓)
⑧ 목부(木部,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악기) : 박(拍) 축() 어()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8. 향악기(鄕樂器, 속악기)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에 전하는 향악기는 현금 비파 가야금 대금 장고 아박(牙拍) 무애 해금 피리 중금 소금 박 등이 포함되고 있는데, 이 중 신라시대의 삼현삼죽과 박을 제외하면 고려시대에 더 첨가된 악기는 장고 피리 해금의 3종이다. 서역 지방에서 들어왔을 가능성이 많은 피리와 당악기인 해금 장고가 속악기에 편성되면서 고려의 속악은 한결 윤택해진 셈이다.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9. 당악기(唐樂器)
방향(方響) 박(拍) 교방고(敎坊鼓) 월금(月琴) 장고(杖鼓) 당비파(唐琵琶) 해금(奚琴) 대쟁(大箏) 아쟁(牙箏) 당적(唐笛) 당(唐)피리 퉁소(洞簫) 태평소(太平簫) <13종>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10. 아악기(雅樂器)
편종(編鐘) 편경(編磬) 특경(特磬) 특종(特鐘) 약() 소(簫) 지() 훈(壎) 금(琴) 슬(瑟) 건고(建鼓) 응고(應鼓) 뇌고(雷鼓) 진고(晉鼓) 축(祝) 어() 부(缶) 삭고(朔鼓) 영고(靈鼓) 영도(靈) 도() 절고(節鼓) 화(和) 생(笙) 우() 노고(路鼓) 뇌도(雷) 노도(路) 관(管) 적() 독(纛) 휘(麾) 조촉(照燭) 순(錞) 촉() 요() 탁(鐸) 응(應) 아(雅) 상(相) 속 간(干) 척(戚) <45종>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① 금부(金部, 쇠붙이로 만든 악기) : 편종(編鐘) 특종(特鐘) 방향(方響) 징(鉦)
② 석부(石部, 돌을 깎아 만든 악기) : 편경(編磬) 특경(特磬)
③ 사부(絲部, 실을 꼬아 줄을 만든 후, 이 줄을 공명통 위에 얹어 만든 악기) : 거문고 가야금 아쟁(牙箏) 비파
④ 죽부(竹部, 대나무로 만든 악기) : 피리 대금 당적(唐笛) 단소
⑤ 포부(匏部, 바가지를 재료로 쓴 악기) : 생황(笙簧)
⑥ 토부(土部, 흙을 구워 만든 악기) : 훈(塤) 부(缶)
⑦ 혁부(革部, 가죽을 씌워 만든 악기) : 장구 갈고(鼓) 좌고(座鼓) 절고(節鼓) 소 고(小鼓)
⑧ 목부(木部,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악기) : 박(拍) 축() 어()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8. 향악기(鄕樂器, 속악기)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에 전하는 향악기는 현금 비파 가야금 대금 장고 아박(牙拍) 무애 해금 피리 중금 소금 박 등이 포함되고 있는데, 이 중 신라시대의 삼현삼죽과 박을 제외하면 고려시대에 더 첨가된 악기는 장고 피리 해금의 3종이다. 서역 지방에서 들어왔을 가능성이 많은 피리와 당악기인 해금 장고가 속악기에 편성되면서 고려의 속악은 한결 윤택해진 셈이다.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9. 당악기(唐樂器)
방향(方響) 박(拍) 교방고(敎坊鼓) 월금(月琴) 장고(杖鼓) 당비파(唐琵琶) 해금(奚琴) 대쟁(大箏) 아쟁(牙箏) 당적(唐笛) 당(唐)피리 퉁소(洞簫) 태평소(太平簫) <13종>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10. 아악기(雅樂器)
편종(編鐘) 편경(編磬) 특경(特磬) 특종(特鐘) 약() 소(簫) 지() 훈(壎) 금(琴) 슬(瑟) 건고(建鼓) 응고(應鼓) 뇌고(雷鼓) 진고(晉鼓) 축(祝) 어() 부(缶) 삭고(朔鼓) 영고(靈鼓) 영도(靈) 도() 절고(節鼓) 화(和) 생(笙) 우() 노고(路鼓) 뇌도(雷) 노도(路) 관(管) 적() 독(纛) 휘(麾) 조촉(照燭) 순(錞) 촉() 요() 탁(鐸) 응(應) 아(雅) 상(相) 속 간(干) 척(戚) <45종>
출처 - 서한범, 개정판 국악개론 : 태림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