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신경증 OCD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박신경증 OC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념

2. 역학

3. 원인

4. 임상 양상

5. 진단

6, 경과 및 예후

7. 치료

본문내용

약물의 효과로 증세 자체는 소실되더라도 투여를 중단하면 재발되기 쉽기 때문에 장기 투약이 필요한다.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면 lithum으로 강화할 수 있다. 약물치료를 행동치료와 병행하면 효과가 가장 좋다고 한다. 불안과 우울이 동반될때는 이에 해당되는 약물을 병용하는 것이 좋다.
2. 정신사회적 치료
정신치료는 최근 사용되는 빈도가 줄어들고 있으나, 한다면 지지적이거나 분석적 정신치료를 시도한다. 분석적 정신치료는 장기간을 요하며 경비도 많이 들지만 이로써 환자의 병전 인격 자체를 치료하기는 극히 어렵다. 그러나 비록 강박증에 시달리지만, 직장이 있고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교육수준이 비교적 높고, 감정표현이 잘 되면서 자기 문제에 대한 통찰력이 있을 때, 그리고 환경여건에서 오는 증세의 악화와 불안이나 우울을 인정하여 극복하려는 의지가 있을 때, 분석정신치료로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치료거부나 약물거부 등에 대해서는 역동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행동치료로서 노출 및 반응차단이 주로 사용되며, 기타 탈감작, 사고중단, 혐오조건화 등이 효과가 있다고 한다.
기타 가족치료가 부부나 가족들을 위해 도움이 된다.
3. 기타
모든 치료수단에도 효과가 없는 환자에게는 정신외과적 수술을 시행해 볼 수 있으며, 20~30%에서 효과가 있다. 이때 경련이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기타 bimedial leukotomy를 통해 thalamus와 frontal cortex의 연결을 끊기도 한다.
내용출처 :
-최신정신의학
-http://plaza.snu.ac.kr/~ocd/ 서울대학교 병원 강박증 클리닉.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6.1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