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홍여하의 생애와 학문경향
2.『휘찬여사』의 편찬과 내용
3.역사인식
4.사학사적 의의
Ⅲ.결론
Ⅳ. 참고문헌
Ⅱ.본론
1.홍여하의 생애와 학문경향
2.『휘찬여사』의 편찬과 내용
3.역사인식
4.사학사적 의의
Ⅲ.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에 서술하여 중국[本紀]-고려[華]-거란 여진 일본[外夷], 중국[化]-고려[華]-거란 여진 일본[夷]이라는 인식체계를 세웠다. 이는 당시 조선사회를 강력히 규정하고 있었던 화이론의 역사적 반영이기도 하였다.
또한 역사발전의 기준이 물적 객관적인 요소가 아닌 도덕적 주관적 요소에 있다고 보아, 당시 군사력 등 물리력을 장학하고 정국을 주도하였던 서인들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며 영남 남인의 정치적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다. 이러한 의도는 왕권의 입장에서 씌어진『고려사』를 대본으로『휘찬여사』를 저술하고, 고려를 군왕이 약하고 신하가 강하여 군주의 도가 없는 시대로 비판하며 왕권강화를 주장한 데서도 드러난다.
Ⅲ.결론
홍여하는 사람들이 우리 역사에 너무 무지하고 기존 역사책에 문제가 많다고 인식했다. 동국의 역사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을 강조한 그였기에 스스로 역사서를 찬술하는 일에 나서기도 했다. 우리 역사 즉, 동사를 중시하는 마음이 성리학의 마음공부와 결합하여 심법에 기초한 역사서 찬술로 이어진 것이다. 그는 기자를 정통으로 보고 기자→마한→신라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세웠다. 기자 조선을 인정한 것은 청나라의 오랑캐 국가라는 대명의리에서 비롯된 감이 짙다. 일종의 조선 중화주의의 역사적 표현인 셈이다. 한편 임금과 아버지는 샘의 근원과 같아서 원류가 바르면 신화와 자식은 저절로 따라간다는 \'군신론\'은 당파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남인계의 왕권강화론을 대변한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박찬승 외 2명,『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창비, 1994
김영택,「목재 홍여하의 역사의식과 문학관 연구」2005
또한 역사발전의 기준이 물적 객관적인 요소가 아닌 도덕적 주관적 요소에 있다고 보아, 당시 군사력 등 물리력을 장학하고 정국을 주도하였던 서인들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며 영남 남인의 정치적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다. 이러한 의도는 왕권의 입장에서 씌어진『고려사』를 대본으로『휘찬여사』를 저술하고, 고려를 군왕이 약하고 신하가 강하여 군주의 도가 없는 시대로 비판하며 왕권강화를 주장한 데서도 드러난다.
Ⅲ.결론
홍여하는 사람들이 우리 역사에 너무 무지하고 기존 역사책에 문제가 많다고 인식했다. 동국의 역사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을 강조한 그였기에 스스로 역사서를 찬술하는 일에 나서기도 했다. 우리 역사 즉, 동사를 중시하는 마음이 성리학의 마음공부와 결합하여 심법에 기초한 역사서 찬술로 이어진 것이다. 그는 기자를 정통으로 보고 기자→마한→신라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세웠다. 기자 조선을 인정한 것은 청나라의 오랑캐 국가라는 대명의리에서 비롯된 감이 짙다. 일종의 조선 중화주의의 역사적 표현인 셈이다. 한편 임금과 아버지는 샘의 근원과 같아서 원류가 바르면 신화와 자식은 저절로 따라간다는 \'군신론\'은 당파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남인계의 왕권강화론을 대변한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박찬승 외 2명,『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창비, 1994
김영택,「목재 홍여하의 역사의식과 문학관 연구」2005
추천자료
[한국문화사]조선시대 혼인제도 조사 (A+리포트)
『열하일기』에 나타난 박지원의 역사인식과 상대주의적 사고
[조선시대][공예][그림][왕의 의복][과거제도][교육제도][기녀제도][군사조직]조선시대 공예,...
[조선시대][조선시대 왕권][조선시대 왕조][조선시대 왕조실록][왕의 일상][왕복][왕실 호칭]...
언간(諺簡)으로 알아본 조선시대 생활사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관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관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
[조선시대화가]조선시대화가 인제 강희안, 조선시대화가 겸재 정선, 조선시대화가 표암 강세...
[사회복지발달과정]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과정에서의 조선시대 구제사업에 대해 서술하시오.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님 작품분석, 조선...
[일본역사인식][일본역사인식과 식민통치][일본역사인식과 제도개혁][일본역사인식과 정치][...
[기녀(기생), 기녀(기생) 유래, 기녀(기생) 기원, 기녀(기생) 치장과 생계, 기녀(기생) 사회...
[한국사] 조선시대 농민
[문학교육론] 홍길동전에 담긴 전통문화 - 조선시대의 신분제도, 한국의 영웅상